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변화와 공간디자인 개념 구조적 특성연구 = Analysis of Spacial Design Concept & Social Chan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1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We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era.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lifestyles of those living in our changing society are reproduced and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transitions in society and the role of design ar...

      (Background and Purpose) We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era.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lifestyles of those living in our changing society are reproduced and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transitions in society and the role of design are interrelated amid the ongoing changes. Design will create a new value after going beyond the traditional, and it is expected to play a decisive role in connect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humans and society. To set the direction for reestablishing the status and meaning of space design in the future, this study extracted trend codes through space design cases involving mega trends based on three axes—humans, society, and technology—of social change factors, verifying them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design exper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direction of space design through an objective and rational analysis (i.e., methodology) of social change factors and design trends. Further, suggestions are offered regarding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space design in the future. (Method) For the conceptual direction of exploration based on case analyses, respective cases have been analyzed using data regarding design trends of the past three years,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organiz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chart after extracting cases related to space design. The Delphi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gather the opinions of a group of experts comprised of educators and design professionals. This series of procedures generated the views of experts on anticipated issues so that they could be organized collectively. After applying the Delphi research method, validity was verified from the surveys of professionals regarding data based on trends. (Results) As a result of classifying space design cases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with attention focused on experience value—, highly advanced technology and human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The trend based on the factors of change is being established. (Conclusion) Humans, society, and technology are in a value-oriented relationship, and the paradigm of design is changing corresponding to changes in society. Space design is the relationship that connects space and humans with society; its value and meaning will become significant in many field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우리는 급속히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현재 변화되고 있는 새로운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요인들의 변화 속에 그 의미와 가치가 ...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우리는 급속히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현재 변화되고 있는 새로운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요인들의 변화 속에 그 의미와 가치가 재탄생 되며, 그 속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지금 보다 더 중요해 질 것이다. 디자인은 기존의 전통적인 디자인의 역할을 넘어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것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과 인간과 사회의 연결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서 공간디자인의 위상과 의미를 재확립하기 위한 방향설정을 목적으로 사회적 변화 요인 중 인간, 사회, 기술이란 3가지 축을 기준으로 메가 트렌드 안에서 공간디자인 사례를 통해 트렌드 코드를 추출하고 디자인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변화 요인과 공간디자인의 트렌드에 대한 객관적이며 타당한 분석방법론을 통해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예측하고 미래사회 공간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사례 분석에 따른 개념적 방향 탐색을 위하여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에서 발행한 디자인 트랜드에 관한‘ Trend code’ 3개년 자료에 제시된 공간디자인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디자인 관련 교육자 또는 종사자들을 집단으로 한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델파이(Delphi)조사 기법을 활용하였다. 공간디자인 관련 사례를 추출하여 분류체계분석을 통해 트렌드 키워드 도출을 하였고, 델파이 조사 방법을 대입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결과) 전문가 집단의 의견 수렴을 통해 공간디자인 사례들을 유형화시킨 결과, 인간에 해당하는 경험 가치와 고도화 된 기술의 발전, 사람과의 관계성에 주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화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인간, 사회, 기술은 가치지향성인 관계에 놓여 있으며, 사회적 변화 결과 디자인 패러다임도 나날이 진화해 가고 있다는 것을 객관화시켰다. 특히 공간디자인은 사람을 위한 공간, 사람과 사회를 연결하는 관계성이기도 하며 미래사회에서는 보다 확장된 영역에서 사회적 관계가치와 의미가 중요시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dp, "Treand code"

      2 Klaus Shub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3 Design Trend, "Start lin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 Anderson, "Murry& Hammoms" 1997

      5 Warren K., "Design Paradigm: A Source for Creative Visualizations"

      6 Lee, YS., "An action research for re-development of Taxonomic" 107-108, 2009

      7 Kim, Ji Hyun, "A study on value-driven spatial design marketing" 2016

      8 Kim, Jun ho, "A study on the semiotic literacy of the interactive modality in space" 2015

      9 Kim, Myung-yoon, "A Study of Design Activity for Realizing the Social Value" 2016

      10 Lee, KyungAh, "A Study of (FEEM :function-emotion-experience-meaning)model and development of its evaluation tool of conceptual model for space design" 2012

      1 Kidp, "Treand code"

      2 Klaus Shub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3 Design Trend, "Start lin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 Anderson, "Murry& Hammoms" 1997

      5 Warren K., "Design Paradigm: A Source for Creative Visualizations"

      6 Lee, YS., "An action research for re-development of Taxonomic" 107-108, 2009

      7 Kim, Ji Hyun, "A study on value-driven spatial design marketing" 2016

      8 Kim, Jun ho, "A study on the semiotic literacy of the interactive modality in space" 2015

      9 Kim, Myung-yoon, "A Study of Design Activity for Realizing the Social Value" 2016

      10 Lee, KyungAh, "A Study of (FEEM :function-emotion-experience-meaning)model and development of its evaluation tool of conceptual model for space design" 2012

      11 Choi, Yoo Sik, "A Study for Extensibility of Digital Space Design" 2014

      12 Kim, Woon-geol, "A Space Marketing Study based on the Change of the Third Space Paradigm"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