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과잉 철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혈소판 활성화에 미치는 작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잉 철은 폐경기 여성 및 핀란드 남성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예방통계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뇌ㆍ심혈관계 질환, 암 및 노화의 원인으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자유기 반응을 자극하고 지질과산화 반응 등을 연쇄적으로 촉진시키는데 철이 위험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뇌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중요인자인 혈소판 활성화와 관련하여 철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작용의 연구는 부족하다고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철 및 과산화수소의 자유기 형성과 관련하여 토끼 혈액에서 분리한 세정 혈소판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에서 H₂O₂ 단독 투여시 혈소판 응집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FeSO₄ 단독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하여 나타내지만, H₂O₂ 존재 하에 FeSO₄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collagen 최적의 농도(2 ㎍/mL)보다 낮은 1/10 농도(0.2 ㎍/mL)에서 H₂O₂ 및 FeSO₄의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었다. 철단독 투여시보다 과산화수소와 함께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활성화가 증대되었고 이러한 혈소판 활성화는 NAD/NADP, catalase, glutathione, mannitol, tiron 등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NADH/NADPH, SOD, aspirin 등에 의해서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NAD(H)/NADP(H) cofactor는 혈소판 응집작용을 일으키는 radical을 직접 억제하기보다 radical 생성에 관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잉철은 혈소판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H₂O₂ 존재하에 2가 철을 촉매로 하여 Fenton 반응으로 생성된 OHㆍ자유기가 혈소판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혈소판에서 자유기가 arachidonic acid 대사의 활성화와 인산화 단백질로 인한 세포내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과잉 철은 폐경기 여성 및 핀란드 남성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예방통계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뇌ㆍ심혈관계 질환, 암 및 노화의 원인으로 산...

      과잉 철은 폐경기 여성 및 핀란드 남성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예방통계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뇌ㆍ심혈관계 질환, 암 및 노화의 원인으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자유기 반응을 자극하고 지질과산화 반응 등을 연쇄적으로 촉진시키는데 철이 위험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뇌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중요인자인 혈소판 활성화와 관련하여 철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작용의 연구는 부족하다고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철 및 과산화수소의 자유기 형성과 관련하여 토끼 혈액에서 분리한 세정 혈소판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에서 H₂O₂ 단독 투여시 혈소판 응집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FeSO₄ 단독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하여 나타내지만, H₂O₂ 존재 하에 FeSO₄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collagen 최적의 농도(2 ㎍/mL)보다 낮은 1/10 농도(0.2 ㎍/mL)에서 H₂O₂ 및 FeSO₄의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었다. 철단독 투여시보다 과산화수소와 함께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활성화가 증대되었고 이러한 혈소판 활성화는 NAD/NADP, catalase, glutathione, mannitol, tiron 등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NADH/NADPH, SOD, aspirin 등에 의해서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NAD(H)/NADP(H) cofactor는 혈소판 응집작용을 일으키는 radical을 직접 억제하기보다 radical 생성에 관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잉철은 혈소판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H₂O₂ 존재하에 2가 철을 촉매로 하여 Fenton 반응으로 생성된 OHㆍ자유기가 혈소판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혈소판에서 자유기가 arachidonic acid 대사의 활성화와 인산화 단백질로 인한 세포내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iron is essential for many physiological processes, excess iron can lead to tissue damage by promo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RO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the effects of iron excess on platelet function and the thrombotic response to vascular injury are not well understood. We examined the effects of iron exces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antioxidants on platelet aggregation. Oxidative stress was accessed by either free iron (Fe?²) or hydrogen peroxide (H₂O₂), as well as their combination on washed rabbit platelets (WPs) in vitro. When WPs were stimulated with either Fe?² alone or a subthreshold concentration of collagen, which gave an aggregatory curve with a little effect, an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platelet aggregation was observ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Fe?² with H₂O₂. This aggreg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iron-catalyzed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from H₂O₂, and were inhibited by NAD/NADP (proton acceptor), catalase (H₂O₂ scavenger), tiron (iron chelator), mannitol (hydroxyl radical scavenger), and indomethacin (cyclooxygenase inhibitor), but not by NADH/NADPH (proton donor), superoxide mutase, and aspirin. However, NADH/NADPH, an essential cofactor for the antioxidant capacity by the supply of reducing potentials, showed the effect of an enhanced radical formation, suggesting a role for NADH/NADPH-dependent oxid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on (Fe?²) can directly interact with washed rabbit platelets and this aggregation be mediated by OH? formation as in the Fenton reaction, inhibited by radical scavengers.
      번역하기

      Although iron is essential for many physiological processes, excess iron can lead to tissue damage by promo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RO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

      Although iron is essential for many physiological processes, excess iron can lead to tissue damage by promo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RO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the effects of iron excess on platelet function and the thrombotic response to vascular injury are not well understood. We examined the effects of iron exces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antioxidants on platelet aggregation. Oxidative stress was accessed by either free iron (Fe?²) or hydrogen peroxide (H₂O₂), as well as their combination on washed rabbit platelets (WPs) in vitro. When WPs were stimulated with either Fe?² alone or a subthreshold concentration of collagen, which gave an aggregatory curve with a little effect, an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platelet aggregation was observ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Fe?² with H₂O₂. This aggreg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iron-catalyzed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from H₂O₂, and were inhibited by NAD/NADP (proton acceptor), catalase (H₂O₂ scavenger), tiron (iron chelator), mannitol (hydroxyl radical scavenger), and indomethacin (cyclooxygenase inhibitor), but not by NADH/NADPH (proton donor), superoxide mutase, and aspirin. However, NADH/NADPH, an essential cofactor for the antioxidant capacity by the supply of reducing potentials, showed the effect of an enhanced radical formation, suggesting a role for NADH/NADPH-dependent oxid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on (Fe?²) can directly interact with washed rabbit platelets and this aggregation be mediated by OH? formation as in the Fenton reaction, inhibited by radical scaveng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wang EH, "The role of vitamin C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iron contents and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blood liver and brain of aging rats" 33 : 507-516, 2000

      2 Born GV, "The aggregation of blood platelet" 168 : 178-195, 1963

      3 Pratico D, "Superoxide anion and hydroxyl radical release by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role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83 : 485-490, 2000

      4 Clutton P, "Regulation of endogenous reactive oxygen species in platelets can reverse aggregation" 24 : 187-192, 2004

      5 Iuliano L, "Radiolabeles native low-density lipoprotein injected into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 accumulates in macrophages of atherosclerotic plaque" 101 : 1249-1254, 2000

      6 Iuliano L, "Oxygen free racicals and platelet activation" 22 : 999-1006, 1997

      7 Pratico D, "Iron-dependent human platelet activation and hydroxy radical formation involvement of protein kinase C" 99 : 3118-3124, 1999

      8 Inoue N, "Involvement of NADH/ NADPH oxydase in human platelet ROS production" 103 : 339-409, 2001

      9 Salonen JT, "High stored iron levels are associated with excess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eastern Finnish men" 86 : 803-811, 1992

      10 Petra PR,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inflammatory cells" 278 : 2000

      1 Hwang EH, "The role of vitamin C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iron contents and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blood liver and brain of aging rats" 33 : 507-516, 2000

      2 Born GV, "The aggregation of blood platelet" 168 : 178-195, 1963

      3 Pratico D, "Superoxide anion and hydroxyl radical release by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role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83 : 485-490, 2000

      4 Clutton P, "Regulation of endogenous reactive oxygen species in platelets can reverse aggregation" 24 : 187-192, 2004

      5 Iuliano L, "Radiolabeles native low-density lipoprotein injected into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 accumulates in macrophages of atherosclerotic plaque" 101 : 1249-1254, 2000

      6 Iuliano L, "Oxygen free racicals and platelet activation" 22 : 999-1006, 1997

      7 Pratico D, "Iron-dependent human platelet activation and hydroxy radical formation involvement of protein kinase C" 99 : 3118-3124, 1999

      8 Inoue N, "Involvement of NADH/ NADPH oxydase in human platelet ROS production" 103 : 339-409, 2001

      9 Salonen JT, "High stored iron levels are associated with excess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eastern Finnish men" 86 : 803-811, 1992

      10 Petra PR,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inflammatory cells" 278 : 2000

      11 Lee JM, "Effects of supplementary diet in iron status and development in infants" 38 : 226-231, 2005

      12 Jun YS,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in mineral utilization in rats" 31 : 658-663, 2002

      13 Kim SK, "Effect of dietary iron level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and antithrombogenic capacities in 16-month-old Rats" 37 : 273-280, 2004

      14 Lee SM, "Cytosolic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status modulates oxidative damage to cells" 32 : 1185-1196, 2002

      15 Mirabelli F, "Cytoskeletal alterations in human platelet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are mediated by oxidative and Ca2+ dependent mechanism" 270 : 478-488, 1989

      16 Day SM, "Chronic iron administration increases vascular oxidative stress and accelerates arterial thrombmsis" 107 : 2601-2606, 2003

      17 Blache D, "Catechin inhibits platelet hyperativity induced by an acute iron in vivo." 33 : 1670-1680, 2002

      18 Pignatelli P,, "Carnitine inhibits arachidonic acid turnover, platelet 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284 : H41-H48, 2003

      19 Henderson LM, "Article NADPH oxidase of neutrophils" 1273 : 87-107, 1996

      20 Son DJ, "Antiplatelet effect of green tea catechin a possible mechanism through arachidonic acid pathway" 71 : 25-31, 2004

      21 Jang MJ, "Anti-platelet aggregating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Korean soybean varieties and isoflabone derivatives" 34 : 1320-1324, 2005

      22 Chao TS, "Activation of MAP kinase by calcium-dependent and calcium independent pathways Stimulation by thapsigarg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267 : 19876-19883,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