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영애, "황룡사 중금당 佛眷屬 16존상의 복원-불제자상,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리고 공양자상-" 신라사학회 (23) : 299-339, 2011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Ⅰ" 93-95, 1984
3 이강근, "화엄사의 불전과 17세기 재건역" 14 : 89-, 1997
4 허형욱, "화엄사의 불교미술" 75-77, 2010
5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Ⅲ 자료집" 35-, 2010
6 이지관, "한국고승비문총집"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74-177, 2000
7 한재원, "한국 고대 신중상 연구" 홍익대학교 2018
8 심효섭, "한국 고대 불교사원내 사천왕문의 형성考" 9 : 83-84, 2000
9 장충식, "통일신라석탑 부조상의 연구" 154·155 : 96-116, 1982
10 문명대, "통일신라불교조각사 연구(下)" 예경 232-278, 2003
1 임영애, "황룡사 중금당 佛眷屬 16존상의 복원-불제자상,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리고 공양자상-" 신라사학회 (23) : 299-339, 2011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Ⅰ" 93-95, 1984
3 이강근, "화엄사의 불전과 17세기 재건역" 14 : 89-, 1997
4 허형욱, "화엄사의 불교미술" 75-77, 2010
5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Ⅲ 자료집" 35-, 2010
6 이지관, "한국고승비문총집"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74-177, 2000
7 한재원, "한국 고대 신중상 연구" 홍익대학교 2018
8 심효섭, "한국 고대 불교사원내 사천왕문의 형성考" 9 : 83-84, 2000
9 장충식, "통일신라석탑 부조상의 연구" 154·155 : 96-116, 1982
10 문명대, "통일신라불교조각사 연구(下)" 예경 232-278, 2003
11 윤여창, "통일신라 탑부조 신장상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지현, "통일신라 佛塔의 四天王像과 그 의미"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7 (17): 83-112, 2010
13 "태조실록 7권, 태조4년 6월 1일"
14 노명신, "조선후기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202 : 105-, 1994
15 심영신, "조선후기 사천왕도(四天王圖)의 제작과 봉안 양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8) : 49-82, 2016
16 정은우, "조선후기 대형 소조사천왕상의 구조와 제작기법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2 : 131-161, 2016
17 임영애, "조선시대 사천왕상 존명의 변화" 한국미술사학회 265 (265): 73-104, 2010
18 이대암, "조선시대 라마계 천왕문의 수용 및 전개에 대하여-천왕문의 배치와 사천왕 배열에 관한 문제-"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47-66, 2007
19 김경미,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과 배치형식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8 (48): 4-23, 2015
20 林錫珍, "조계산 송광사지" 송광사 168-, 1965
21 최연식, "완주 송광사의 창건 배경 및 조선후기 불교 문파와의 관계" 보조사상연구원 (47) : 131-167, 2017
22 허형욱, "영원한 생명의 울림 - 통일신라 조각" 국립중앙박물관 320-329, 2008
23 고경, "역주 보림사 중창기" 장흥문화원 96-, 2001
24 임영애, "신라의 조각과 회화" 경상북도 52-, 2016
25 임영애, "신라 불탑 탑신(塔身) 부조상의 추이 -금강역사상에서 사천왕상으로-" 한국고대학회 (35) : 225-248, 2011
26 노명신, "송광사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13 : 95-, 1999
27 中村元, "불교정치사회학" 불교시대사 204-208, 1993
28 金岡秀友, "불교의 국가관" 總和閣 I18-I19, 1978
29 임영애, "북방 다문천의 보탑 도상 해석- 도상 형성 원인과 원·고려 이전의 양상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9) : 86-115, 2010
30 강삼혜, "나말려초 僧塔 塔身 神將像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3) : 2006
31 김상현, "고려시대의 호국불교 연구-金光明經 信仰을 中心으로" 1 : 203-, 1976
32 어강석, "고려 후기 문인의 원 문화 수용과 의식 변화" 20 : 341-370, 2003
33 정요근, "고려 역로망 운영에 대한 원(元)의 개입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64) : 161-195, 2007
34 김철웅, "高麗와 중국 元·明 교류의 통로" 동양학연구원 (53) : 65-82, 2013
35 "高麗國天台佛恩寺重興記, 『東文選』 70"
36 "頤齋集 卷之一"
37 김길웅, "錫杖寺址 出土 塑造神將像의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5) : 99-110, 2006
38 "金剛山長安寺重興碑(李穀), 『東文選』 118"
39 韓國學文獻硏究所, "通度寺誌" 亞細亞文化社 188-, 1979
40 "通度寺略誌" 통도사 11-, 1969
41 순천대학교박물관, "迦智山寶林寺" 108-, 1995
42 어강석,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한국한문학회 (45) : 303-329, 2010
43 "王輪寺丈六金像靈驗收拾記, 『東文選』 67"
44 藤田經世, "校刊美術史料 寺院篇 中卷" 中央公論美術出版 39-, 1976
45 "朝鮮金石總覽(下)" 871-872,
46 綺山, "曹溪山松廣寺史庫, 韓國寺誌叢書" 아세아문화사 64-65, 1983
47 關野貞, "支那の建築と藝術" 岩波書店 293-312, 1938
48 金守溫, "拭疣集"
49 이강근, "完州 松廣寺의 建築과 17세기의 開創役" 13 : 109-, 1999
50 朴允默, "存齋集"
51 민족문화추진회, "國譯 宣和奉使高麗圖經 第17 祠宇 靖國安和寺" 109-, 1977
52 임영애, "四天王寺址 塑造像의 尊名" 한국미술연구소 (27) : 7-37, 2008
53 "內殿行金經說經疏(金坵撰), 『東文選』 110"
54 김병곤, "元의 宗敎觀과 高麗 入元僧의 行蹟" 한국불교연구원 (27) : 215-258, 2007
55 村田治郞, "中國建築史叢考" 54-, 1998
56 郭黛姮, "中國古代建築史 3, 宋,遼,金,西夏 建築"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96-, 2003
57 "丈六毘盧舍那塑像讚幷序, 『東文選』 50"
58 "『삼국사기』 신라본기 第八 聖德王 三年 春正月"
59 "『고려사』 세가 제2,3,9,12,22,28"
60 "『燕轅直指』 卷之四, 燕行錄選集"
61 임영애, "The Four Heavenly Kings of Jikjisa Temple (1665) and Their Significance" 한국학중앙연구원 57 (57): 129-152, 2017
62 段成式, "T51n2093『寺塔記』"
63 "T49n239.1009c25 『三國遺事』 義解第五 賢瑜伽海華嚴"
64 "T49n2039.1011b08 『三國遺事』 卷5 明朗神印"
65 "T46n1945.0959a06 金光明懺法補助儀"
66 "T2092 1:999c 洛陽伽藍記"
67 "T2034, 9:0082b, 歷代三寶紀"
68 "T16n0665 金光明最勝王經"
69 "T16n0664 合部金光明經"
70 "T16n0663 金光明經"
71 Lim Young-ae, "Images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Unified Silla as the Symbol of National Defense" Journal of the UK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32 (32): 271-293, 2015
72 류성룡, "17세기 사천왕상 天王門의 건축형식 展開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1 (21): 69-82, 2012
73 이강근, "17세기 법주사의 재건과 양대 문중의 활동에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449-474, 2006
74 정병삼, "(역주)한국고대금석문" 한국고대사회연구소 346-350, 1992
75 이곡, "(국역)가정집 2" 민족추진위원회 175-, 2006
76 임영애, "'석굴암 사천왕상'의 도상과 불교 경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7) : 23-4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