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는 화성이 없는 독창 형식의 음악이다. 화성이 없는 대신 다른 방식으로 음악을 만들어가야 하므로 선율과 리듬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만든다. 본고에서는 정권진창 심청가를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4381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3-13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는 화성이 없는 독창 형식의 음악이다. 화성이 없는 대신 다른 방식으로 음악을 만들어가야 하므로 선율과 리듬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만든다. 본고에서는 정권진창 심청가를 중...
판소리는 화성이 없는 독창 형식의 음악이다. 화성이 없는 대신 다른 방식으로 음악을 만들어가야 하므로 선율과 리듬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만든다. 본고에서는 정권진창 심청가를 중심으로 판소리의 전조 원리를 찾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권진 창 심청가에는 계면조, 우조, 평조, 설렁제, 추천목, 메나리조 등 6가지 악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변조와 변청, 일시적 변조·변청 등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둘째, 정권진 창 심청가에 사용된 악조는 계면조와 우조가 9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절반 이상의 대목에서 전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일시적 변조·변청 역시 55%가 넘는 대목에서 사용되었다. 셋째, 판소리의 전조는 4도위 엇청조, 4도 아래의 하청조, 같은 음고의 다른 조인 같은 본청조, 조표가 같은 나란한조 이외에 나란한조+엇청조, 나란한조+하청조와 같은 복합적 전조도 사용하고 있다. 넷째, 관계 조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으로 사용된 것은 나란한조였으며 일시적 변조·변청의 경우에는 엇청조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판소리의 관계 조는 일견 서양음악과 유사한 면이 있다. 판소리의 관계 조와 서양음악의 관계 조에 공통으로 보이는 4도와 5도 간격으로의 이동, 같은 본청조와 나란한조는 각각 공통으로 사용하는 음이 많기 때문에 관계 조가 된 것이다. 따라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더해 판소리는 평조, 우조, 계면조, 설렁제, 메나리조, 추천목 등 다양한 악조가 있으며, 나란한조+하청조,나란한조+엇청조와 같이 서양음악의 관계 조 범주에 보이지 않는 악조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전조의 활용이 더 적극적이고 자유로움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조의 활용이 매우 빈번하다는 점과 일시적 변조·변청처럼 전조가 아니어도 장식이나 꾸밈처럼 활용하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판소리는 전조를 활용하여 한 사람의 노래이지만 어떤 음악보다 다양성 있는 변화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nsori is a solo type of music without harmony. Because it must create music without harmony, there are other various changes that are mainly made by melody and rhythm. This article examined Shichungga sung by Jeon, Kwonjin in order to find transposi...
Pansori is a solo type of music without harmony. Because it must create music without harmony, there are other various changes that are mainly made by melody and rhythm. This article examined Shichungga sung by Jeon, Kwonjin in order to find transposition principles for pansori.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Shichungga sung by Jeon, Kwonjin uses 6 tones, namely Kyemyeonjo, Ujo, Pyoungjo, Sullungje, Chucheonmok, and Menarijo, and there are numerous usages of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along with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as well. Secondly, Kyemyenjo and Ujo were the tones that are used more than 90% in Shichungga sung by Jeon, Kwonjin. More than half of the parts use transposition along with temporary and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which is used more than 55% in the parts. Thirdly, the transposition of Pansori utilizes relative key such as 4 key high utcheongjo, 4 key below hacheongjo, the same boncheongjo which is another tone on the same pitch and complex transposition in which the relative key+utcheongjo and the relative key+hacheongjo are used. Fourthly, the most frequently used tone out of relative keys was the relative key and in case of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utcheongjo was the mostly used. The relative key of Pansori bears resemblance to the western music. The movement of 4 keys and 5 keys which commonly appears in the relative key of Pansori and that of the western music, and the same boncheongjo and the relative key have become the relative keys because they share common notes, which is very natural. In addition, Pansori uses various tones such as Pyongjo, Ujo, Kyemyenjo, Sullungje, Menarijo, and Chucheonmok. What’s more, Pansori utilizes a less common combination of tones in the western music which are the relative key+hacheongjo and the relative key+utcheongjo, which shows a more dramatic and freer utilization of transposition. Also, the frequent utilization of transposition and decorative uses of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are some other differences. Pansori is a person’s song which uses transposition, and yet it is creating far more various changes that other kinds of music.
권두논문 : 임진왜란의 구술기억과 구술집단의 역사의식 -전남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일반논문 :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문인화의 예술론과 유말구본론적(由末求本論的) 심미경지
일반논문 : 전설과 제의에 반영된 신숭겸의 영웅화와 신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