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 Study on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and the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 Regarding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7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희,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83-310, 2003

      2 김병하, "질적 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7

      3 김은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3-71, 2010

      4 정인숙, "정신지체 성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07-232, 2005

      5 박승희,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시그마프레스 2006

      6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2011

      7 김주영,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 형태에 대한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19 (19): 217-240, 2012

      8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61-191, 2009

      9 이성하,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55-292, 2012

      10 이근용, "발달장애인 고등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부모의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37-264, 2009

      1 박승희,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83-310, 2003

      2 김병하, "질적 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7

      3 김은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3-71, 2010

      4 정인숙, "정신지체 성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07-232, 2005

      5 박승희,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시그마프레스 2006

      6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2011

      7 김주영,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 형태에 대한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19 (19): 217-240, 2012

      8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61-191, 2009

      9 이성하,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55-292, 2012

      10 이근용, "발달장애인 고등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부모의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37-264, 2009

      11 정동영,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7-53, 2012

      12 박승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및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39-75, 2004

      13 정정진, "대학 장애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교육지원체제 개선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09-132, 2007

      14 백수진, "국내 전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18 : 127-147, 2007

      15 손지영,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7-178, 2011

      16 松崎俊, "고전(高專)에서의 특별지원교육" 30 : 587-592, 2007

      17 정주한,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 지도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77-111, 2012

      18 김용욱,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 연구 Ⅰ :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81-202, 2008

      19 石田久之, "고등교육기관에서 장애학생지원의 커리어 형성지원" 24 (24): 11-22, 2010

      20 Grigal, M., "Think College! : Postsecondary education op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10

      21 Taylor, S. T.,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2nd ed.)" Simon and Schuster 1984

      22 Getzel, E., "Going to College :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altimore" Brokes 2010

      23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