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기형, "「赤壁歌」의 形成과 變貌" 한국민속학회 25 : 107-141, 1993
2 김종철, "蘭臺李應百博士 古稀紀念論文集" 한샘출판사 831-856, 1992
3 성기련,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가>와 19세기 중엽 중고제(中高制) 판소리와의 관련성 연구" 판소리학회 (36) : 39-92, 2013
4 서종문, "판소리의 역사적 이해" 태학사 1-503, 2006
5 김진영,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99-210, 2000
6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1-273, 2002
7 차충환, "판소리와 문어체 고소설의 관련성에 관한 일고찰" 판소리학회 (32) : 295-321, 2011
8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330, 2002
9 이유진,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충권,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분노와 설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3) : 37-69, 2012
1 김기형, "「赤壁歌」의 形成과 變貌" 한국민속학회 25 : 107-141, 1993
2 김종철, "蘭臺李應百博士 古稀紀念論文集" 한샘출판사 831-856, 1992
3 성기련,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가>와 19세기 중엽 중고제(中高制) 판소리와의 관련성 연구" 판소리학회 (36) : 39-92, 2013
4 서종문, "판소리의 역사적 이해" 태학사 1-503, 2006
5 김진영,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99-210, 2000
6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1-273, 2002
7 차충환, "판소리와 문어체 고소설의 관련성에 관한 일고찰" 판소리학회 (32) : 295-321, 2011
8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330, 2002
9 이유진,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충권,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분노와 설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3) : 37-69, 2012
11 차충환, "판소리 독서물의 출현과 연희판의 간접 체험" 판소리학회 (31) : 395-422, 2011
12 김현주, "판소리 담화 분석" 한국학술정보 1-308, 2008
13 이유진,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대한 재론" 판소리학회 (23) : 373-400, 2007
14 김진영, "춘향전 전집" 박이정 1-377, 1997
15 김진영, "춘향전 전집" 박이정 1-343, 1997
16 김진영, "춘향가: 名唱 張子佰 唱本" 박이정 1-247, 1996
17 최승희, "최승희의 춘향가(5CD)"
18 이유진, "주객 대비를 통한 비애의 표출: 판소리의 서정적 어법에 대한 일고찰" 판소리학회 (36) : 449-476, 2013
19 손태도, "조선시대의 ‘광대’와 ‘판소리’에 대한 몇 가지 논의들" 판소리학회 (36) : 211-266, 2013
2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1-239, 2008
21 정권진, "정권진 창 沈淸歌(3CD)"
22 임보연, "장재백 창본 <춘향가>의 한시 어구의 수용 양상과 의미" 판소리학회 (35) : 183-215, 2013
23 성우향, "성우향 春香歌(5CD)"
24 김경희, "서사음악의 구조적 특징과 연행방식 -서사민요와 서사무가,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32 : 215-246, 2002
25 박봉술, "브리태니커 판소리 : 흥보가(4CD)"
26 한애순, "브리태니커 판소리 : 심청가(5CD)"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0
27 박봉술, "박초월 창 흥보가(2CD)"
28 박봉술, "박봉술 춘향가 전집(4CD)"
29 이유진, "다블뤼 주교의 저술에 나타난 1860년 무렵 판소리의 모습" 판소리학회 (32) : 233-264, 2011
30 김소희, "김소희 沈淸歌(4CD)"
31 Ong, Walter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301, 2003
32 강도근, "강도근 창 흥보가(3CD)"
33 정충권, "獄中 春香의 內面" 판소리학회 (27) : 387-412, 2009
34 정노식, "朝鮮唱劇史" 조선일보사출판부 1-257, 1940
35 Lüthi, Max, "Das europäische Volksmärchen: Form und Wesen" Francke Verlag 1-144, 1985
36 성현경, "<숙영낭자전>과 <숙영낭자가>의 비교-소설의 판소리화 과정 연구" 판소리학회 6 : 5-53,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