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존 폴킹혼의 심신이론 연구 = Das Leib-Seele-Verhältnis bei John Polkinghor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9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Leib und der Seele ist ein aktuelles Problem der Philosophie und der Metaphysik. Es ist nach Polkinghorne eine vorrangige Aufgabe für das neue Jahrhundert, ein begriffliches Neuverständnis für Leib, Seele und Bewusstsein hervorzubringen. Infolgedessen will sich Polkinghorne in seiner Metaphysik mit der damaligen wissenschaftlichen Entdeckung der Quantentheorie und der Chaostheorie auseinandersetzen.
      Zum Beispiel ist Polkinghorne als Quantums-Theologe davon überzeugt, dass das Leib-Seele-Verhältnis dynamisch ist. Er versucht, die beiden leiblichen und seelischen Dimensionen miteinander zu verknüpfen. In diesem Sinne ist es eine klare Antwort, dass Polkinghorne versucht, die Seele als immens komplexes Informationen tragendes Muster des Leibes zu definieren.
      In diesem Zusammenhang nimmt Polkinghome einen Zwei-Aspekte-Monismus an. Mit dieser These versucht er auf der einen Seite, das Geistige wie Materielle erklären zu können. Auf der anderen Seite entwickelt er sie, um das Dilemma des Materie-Geist-Dualismus zu vermeiden.
      In dieser Arbeit bemühe ich mich um eine Thematisierung der Theorie von Leib-Seele Problem, die in John Polkinghornes Untersuchung erhalten ist. Das Ziel dieser Arbeit liegt darin, die Grundlage für die wissenschaftlich-theologische Konstruktion des kritischen Realismus bei John Polkinghorne zu zeigen, wie sein wissenschaftlich-logischer Begriff von Leib und Seele zu einer philosophischen Diskussionsrahmen heutzutage beitragen kann.
      번역하기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Leib und der Seele ist ein aktuelles Problem der Philosophie und der Metaphysik. Es ist nach Polkinghorne eine vorrangige Aufgabe für das neue Jahrhundert, ein begriffliches Neuverständnis für Leib, Seele und Bewusstsei...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Leib und der Seele ist ein aktuelles Problem der Philosophie und der Metaphysik. Es ist nach Polkinghorne eine vorrangige Aufgabe für das neue Jahrhundert, ein begriffliches Neuverständnis für Leib, Seele und Bewusstsein hervorzubringen. Infolgedessen will sich Polkinghorne in seiner Metaphysik mit der damaligen wissenschaftlichen Entdeckung der Quantentheorie und der Chaostheorie auseinandersetzen.
      Zum Beispiel ist Polkinghorne als Quantums-Theologe davon überzeugt, dass das Leib-Seele-Verhältnis dynamisch ist. Er versucht, die beiden leiblichen und seelischen Dimensionen miteinander zu verknüpfen. In diesem Sinne ist es eine klare Antwort, dass Polkinghorne versucht, die Seele als immens komplexes Informationen tragendes Muster des Leibes zu definieren.
      In diesem Zusammenhang nimmt Polkinghome einen Zwei-Aspekte-Monismus an. Mit dieser These versucht er auf der einen Seite, das Geistige wie Materielle erklären zu können. Auf der anderen Seite entwickelt er sie, um das Dilemma des Materie-Geist-Dualismus zu vermeiden.
      In dieser Arbeit bemühe ich mich um eine Thematisierung der Theorie von Leib-Seele Problem, die in John Polkinghornes Untersuchung erhalten ist. Das Ziel dieser Arbeit liegt darin, die Grundlage für die wissenschaftlich-theologische Konstruktion des kritischen Realismus bei John Polkinghorne zu zeigen, wie sein wissenschaftlich-logischer Begriff von Leib und Seele zu einer philosophischen Diskussionsrahmen heutzutage beitragen kan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양자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폴킹혼은 과학시대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을 그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 그가 취하는 방법론은 ‘아래에서부터의 위로의 방법론’(Bottom-Up Method)과 동시에 ‘위로부터의 아래로의 방법론’(Top-Down Method)이다. 실재는 이러한 두 방법론 모두에 열려있는 곳이며, 물질과 마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심신론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신체와 마음의 문제에 대한 폴킹혼의 접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토대는 시스템이론(system theory), 특히 카오스이론(chaos theory)의 성과이다.
      그는 심신론에 관련하여 ‘이중양상 일원론’(dual aspect monism)의 가설을 전개한다. 이러한 가설을 통하여 그는 물질성과 정신성의 문제를 더욱 더 세련된 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조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신체성의 사멸에 대하여 실재는 어떠한 방식으로 포섭하고 소화하는지를 ‘종말의 문제’와 관련하여 폴킹혼은 접근하고 있다.
      이 논문은 양자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폴킹혼이 어떠한 방식으로 물질과 정신, 신체와 마음의 문제를 거시적으로 진술하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과학적 세계상에 의거한 실재관의 종합적인 구상이 특히 심신론에 대한 해명을 위하여 어떻게 주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존 폴킹혼의 논지를 통해서 개괄적으로나마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은 오늘날 미시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는 심신론과 마음의 물질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지평 앞에서 폴킹혼의 가설이 종합적인 안목을 어떻게 대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타진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양자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폴킹혼은 과학시대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을 그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 그가 취하는 방법론...

      양자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폴킹혼은 과학시대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을 그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 그가 취하는 방법론은 ‘아래에서부터의 위로의 방법론’(Bottom-Up Method)과 동시에 ‘위로부터의 아래로의 방법론’(Top-Down Method)이다. 실재는 이러한 두 방법론 모두에 열려있는 곳이며, 물질과 마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심신론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신체와 마음의 문제에 대한 폴킹혼의 접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토대는 시스템이론(system theory), 특히 카오스이론(chaos theory)의 성과이다.
      그는 심신론에 관련하여 ‘이중양상 일원론’(dual aspect monism)의 가설을 전개한다. 이러한 가설을 통하여 그는 물질성과 정신성의 문제를 더욱 더 세련된 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조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신체성의 사멸에 대하여 실재는 어떠한 방식으로 포섭하고 소화하는지를 ‘종말의 문제’와 관련하여 폴킹혼은 접근하고 있다.
      이 논문은 양자물리학자이자 신학자인 존 폴킹혼이 어떠한 방식으로 물질과 정신, 신체와 마음의 문제를 거시적으로 진술하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과학적 세계상에 의거한 실재관의 종합적인 구상이 특히 심신론에 대한 해명을 위하여 어떻게 주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존 폴킹혼의 논지를 통해서 개괄적으로나마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은 오늘날 미시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는 심신론과 마음의 물질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지평 앞에서 폴킹혼의 가설이 종합적인 안목을 어떻게 대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타진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hn Polkinghorne, "Theologie und Naturwissenschaft. Eine Einführung" Gütersloher Verlagshaus 2001

      2 John Polkinghorne, "The Life and Works of a Bottom-Up-Thinker" 35 (35): 955-962, 2000

      3 John Polkinghorne, "The Faith of a Physicist: Reflections of a Bottom-Up Thinker. The Gifford Lectures for 1993-4"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4 John Polkinghorne, "Space, Time, and Causality" 41 (41): 975-983, 2000

      5 John Polkinghorne, "Scientists as Theologians. A Comparison of the Writings of Ian Barbour" Arthur Peacocke and John Polkinghorne 1996

      6 John Polkinghorne, "Science and Theology on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in: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Science and Theology on Eschatolog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13, 2000

      7 John Polkinghorne, "Reason and Re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1

      8 John Polkinghorne, "Quantum The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John Polkinghorne, "Quantum Physics and Theology. An Unexpected Kinship" Yale University Press 2007

      10 John Polkinghorne, "Profile: Conversation with John Polkinghorne. The Nature of Physical Reality" Zygon 927-940, 2000

      1 John Polkinghorne, "Theologie und Naturwissenschaft. Eine Einführung" Gütersloher Verlagshaus 2001

      2 John Polkinghorne, "The Life and Works of a Bottom-Up-Thinker" 35 (35): 955-962, 2000

      3 John Polkinghorne, "The Faith of a Physicist: Reflections of a Bottom-Up Thinker. The Gifford Lectures for 1993-4"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4 John Polkinghorne, "Space, Time, and Causality" 41 (41): 975-983, 2000

      5 John Polkinghorne, "Scientists as Theologians. A Comparison of the Writings of Ian Barbour" Arthur Peacocke and John Polkinghorne 1996

      6 John Polkinghorne, "Science and Theology on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in: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Science and Theology on Eschatolog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13, 2000

      7 John Polkinghorne, "Reason and Re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1

      8 John Polkinghorne, "Quantum The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John Polkinghorne, "Quantum Physics and Theology. An Unexpected Kinship" Yale University Press 2007

      10 John Polkinghorne, "Profile: Conversation with John Polkinghorne. The Nature of Physical Reality" Zygon 927-940, 2000

      11 Alfred North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 The Gifford Lectures of the University of Edinburgh" The Free Press 1978

      12 John Polkinghorne, "One World: The Interaction of Science and The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13 Johnannes Maria Steinke, "Konsonanz von Naturwissenschaft und Theologie" Vandenhoeck & Ruprecht 2006

      14 Gregory Bateson, "Geist und Natur. Eine notwendige Einheit" Suhrkamp 1982

      15 John Polkinghorne, "Faith, Science and Understanding" Yale University Press 2000

      16 John Polkinghorne, "Eschatology: Some Questions and Some Insights from Science. in: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Science and Theology on Eschatolog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29-41, 2000

      17 John Polkinghorne, "Eschatological Credibility: Emergent and Teleological Processes. in:Ressurrection. Theological and Scientific Assessment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43-55, 2002

      18 John Polkinghorne, "Beyond Science: the wider human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9 John Polkinghorne, "An den lebendigen Gott glauben" Gütersloher Verlagshaus 2005

      20 John Polkinghorne, "An Gott glauben im Zeitalter der Naturwissenschaften. Die Theologie eines Physikers" Chr. Kaiser/Gütersloher Verlagshaus 2000

      21 러셀 스태나드, "21세기의 신과 과학 그리고 인간" 두레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