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 = A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Taiw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2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has been flourishing due to the well-developed lifelong education policies. The Lifelong Education Law has been enacted, the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was published, an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was proclaimed. Taiwan sets the clear goal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accomplish, which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dee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emphasized this goal very highly and presented some action strategies, such as practicing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exercise, and doing good deeds throughout the life. As a result,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begins to contribute to improving peoples' lives and to bringing more happiness to the people. In this context, it is worthwhile to study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in depth to see what lessons Korea might learn from its experience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Taiwan in detail. In specific, first,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the background based on which the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hus far. Third, the author examines what policies the Lifelong Education Law, the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an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try to carry out. Lastly, the author tries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and based on them, to make some suggestions. They are as follows: diver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development of learning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community colleges, expansion of recurrent education, and emphasis of elderly education.
      번역하기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has been flourishing due to the well-developed lifelong education policies. The Lifelong Education Law has been enacted, the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was published, an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was proclaimed. Tai...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has been flourishing due to the well-developed lifelong education policies. The Lifelong Education Law has been enacted, the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was published, an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was proclaimed. Taiwan sets the clear goal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accomplish, which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dee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emphasized this goal very highly and presented some action strategies, such as practicing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exercise, and doing good deeds throughout the life. As a result,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begins to contribute to improving peoples' lives and to bringing more happiness to the people. In this context, it is worthwhile to study lifelong education in Taiwan in depth to see what lessons Korea might learn from its experience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in Taiwan in detail. In specific, first,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the background based on which the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hus far. Third, the author examines what policies the Lifelong Education Law, the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and the Lifelong Education Year try to carry out. Lastly, the author tries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and based on them, to make some suggestions. They are as follows: diver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development of learning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community colleges, expansion of recurrent education, and emphasis of elderl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 타이완의 평생교육의 발전배경을 살펴보고, 둘째, 타이완의 평생교육 발전과정을 살펴 본 다음 셋째,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의 근간이 되는 ‘평생교육법’ 과 ‘학습사회를 향한 백서’ 그리고 2010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평생행동의 해’ 추진 내용을 중심으로 한 평생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타이완 평생교육정책의 특징 및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최근 타이완에서 실시하고 있는 평생교육정책을 보면 구호만 외치는 유토피아가 아닌 실현 가능한 정책과 지역사회중심의 학습공동체사회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0년을 ‘평생학습 행동의 해’로 제정하여 평생학습 행동전략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전 국민들이 인생의 세 가지 보물인 ‘평생학습, 평생운동, 평생선행’을 실천하여 삶의 질을 제고하도록 하고, 21세기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민주시민의 양성과 국가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들의 생활을 행복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의 설치, 둘째, 초등, 중등, 고등단계의 완전하고 계속적인 교육체제의 건립 , 셋째, 학습조직의 발전, 넷째, 지역사회대학의 설립, 다섯째, 순환교육의 확대추진, 여섯째, 평생학습이념으로서의 고령학습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 타이완의 평생교육의 발전배경을 살펴보고, 둘째, 타이완의 평생교육 발전...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 타이완의 평생교육의 발전배경을 살펴보고, 둘째, 타이완의 평생교육 발전과정을 살펴 본 다음 셋째,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의 근간이 되는 ‘평생교육법’ 과 ‘학습사회를 향한 백서’ 그리고 2010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평생행동의 해’ 추진 내용을 중심으로 한 평생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타이완 평생교육정책의 특징 및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최근 타이완에서 실시하고 있는 평생교육정책을 보면 구호만 외치는 유토피아가 아닌 실현 가능한 정책과 지역사회중심의 학습공동체사회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0년을 ‘평생학습 행동의 해’로 제정하여 평생학습 행동전략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전 국민들이 인생의 세 가지 보물인 ‘평생학습, 평생운동, 평생선행’을 실천하여 삶의 질을 제고하도록 하고, 21세기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민주시민의 양성과 국가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들의 생활을 행복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이완의 평생교육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의 설치, 둘째, 초등, 중등, 고등단계의 완전하고 계속적인 교육체제의 건립 , 셋째, 학습조직의 발전, 넷째, 지역사회대학의 설립, 다섯째, 순환교육의 확대추진, 여섯째, 평생학습이념으로서의 고령학습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복선, "해외신간도서소개" 평생교육진흥원소식 2011

      2 한국교육개발원,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 발전 방안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0

      3 박복선, "타이완의 지역사회 중심 즐거운 노인 학습센터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97-317, 2010

      4 박복선, "타이완 ‘조부모의 날’ 제정을 통한 고령사회의 준비" 30 : 2011

      5 박복선, "타이완 2010년 ‘평생학습 실천의 해(終身學習行動年)’선포" 26 : 2011

      6 박복선, "중화민국(대만)의 성인교육발전과 미래 동향" 2 (2): 1999

      7 박복선, "변천하는 사회속에서의 타이완 고령교육의 발전"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67-190, 2006

      8 台灣敎育部, "邁向學習社會" 中華民國敎育部印 1998

      9 柯正峯, "社會敎育再出發" 人及終身敎育敎育學會 (35) : 2011

      10 社區大學全國促進會, "社大總數"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0

      1 박복선, "해외신간도서소개" 평생교육진흥원소식 2011

      2 한국교육개발원,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 발전 방안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0

      3 박복선, "타이완의 지역사회 중심 즐거운 노인 학습센터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97-317, 2010

      4 박복선, "타이완 ‘조부모의 날’ 제정을 통한 고령사회의 준비" 30 : 2011

      5 박복선, "타이완 2010년 ‘평생학습 실천의 해(終身學習行動年)’선포" 26 : 2011

      6 박복선, "중화민국(대만)의 성인교육발전과 미래 동향" 2 (2): 1999

      7 박복선, "변천하는 사회속에서의 타이완 고령교육의 발전"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67-190, 2006

      8 台灣敎育部, "邁向學習社會" 中華民國敎育部印 1998

      9 柯正峯, "社會敎育再出發" 人及終身敎育敎育學會 (35) : 2011

      10 社區大學全國促進會, "社大總數"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0

      11 行政院經濟建設委員會, "知識經濟發展方案" 政院經濟建設委員會 2000

      12 台灣敎育部, "教育施政理念與政策"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1

      13 台灣敎育部, "敎育部輔助100年國民小學附設補習學校推動社區多功能學習中心計劃"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1

      14 黃富順, "我國終身學習推展的回顧與前瞻" 中華民國成人及終身敎育敎育學會主編 27 : 2010

      15 黃富順, "從大學推廣敎育談社區大學的設立" 中華民國成人敎育學會 (52) : 1999

      16 賴國洲, "建立社區終身學習的社會, in 社區終身學習" 師大書苑出版 1999

      17 柯正峯, "啓動99終身學習行動年331" 中華民國成人及終身敎育敎育學會 (27) : 2010

      18 台灣敎育部, "台灣終身學習法"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1

      19 黃富順, "台灣地區的終身敎育" 五南圖書出版 9 : 2003

      20 "http://law.moj.gov.tw/News/news_detail.aspx?id=6444&k1=%e7%b5%82%e8%ba%ab%"

      21 台灣敎育部, "99終身學習行動年331活動簡介" 敎育部 2010

      22 行政院經建會, "2010年至2060年台灣人口推計簡報" 2011

      23 台灣敎育部, "100年終身學習行動331"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1

      24 台灣敎育部, "100年終身學習行動331" 타이완교육부 홈페이지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