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급성 뇌경색 진단을 위한 CT관류영상과 MR확산영상의 비교 = The functional imaging to Diagnose Acute Cerebral infarction Comparing between CT Perfusion and MR Diffusion Im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4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12명의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의 CBF, CBV, MTT, TTP지도와 DW-MRI의 신호강도 값을 비교하고, 관류CT와 DW-MRI에서 병변의 크기 비교를 해보았다. CBF, CBV, MTT, TTP는 모두 관류결손을 보였고, 관류 결손이 인지되는 부위에서 MTT와 TTP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와 TTP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반음영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일부 DW-MRI에서 경색부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반음영을 예측하여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herapy with ischamic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This study was to know the ischemic penumbra lesion which compared CT-perfusion and diffusion weighted MRI(DWMRI)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It is very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herapy with ischamic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This study was to know the ischemic penumbra lesion which compared CT-perfusion and diffusion weighted MRI(DWMRI)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12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had performed perfusion CT and performed DWMRI. Perfusion image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CBV), cerebral blood flow(CBF), time to peak(TTP) and mean transit time(MTT) maps obtained the values with defect lesion and contralateral normal cerebral hemisphere and DWMRI was measured by signal intensity and compared of lesion size between each perfusion map. All perfusion CT maps showed the perfusion defect lesions in all patients. There were remarkable TTP and MTT delay in perfusion defect lesions. The lesions on CBF map was the mos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lesions on DWMRI. The size of perfusion defect lesions on TTP and MTT map was larger than that of lesions on DWMRI, suggesting that MTT map can evaluate the ischemic penumbra. Perfusion CT maps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not only ischemic core and ischemic penumbra, but also hemodynamic status in the perfusion defect are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erfusion CT can be useful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e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 대희. 뇌혈관질환의 종류와 진단방법" 1 : 2009

      2 이승구, "폐쇄성 뇌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 7 : 612-617, 2004

      3 "사망원인통계"

      4 박찬익, "급성허혈성뇌졸중환자에서perfusion CT의임상적유용성" 대한뇌졸중학회 6 (6): 63-67, 2004

      5 이덕희,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의 자기공명영상" 대한영상의학회 50 (50): 1-17, 2004

      6 김준태,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에서 Perfusion CT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신경과학회 20 (20): 585-591, 2002

      7 최준호, "급성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 전산화단층촬영의 유용성" 대한영상의학회 49 (49): 7-14, 2003

      8 제환준, "급성 뇌경색환자에서관류MR영상: T₂강조영상과 확산강조영상의 비교" 43 : 1-8, 2000

      9 Koening M, "perfusion CT of the brain: diagnostic approach for early detection of ischemic stroke" 209 : 85-93, 1998

      10 Axel L, "cerebral blood flow determination by rapid sequence computed tomography: a theoretical analysis" 137 : 679-686, 1980

      1 "한 대희. 뇌혈관질환의 종류와 진단방법" 1 : 2009

      2 이승구, "폐쇄성 뇌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 7 : 612-617, 2004

      3 "사망원인통계"

      4 박찬익, "급성허혈성뇌졸중환자에서perfusion CT의임상적유용성" 대한뇌졸중학회 6 (6): 63-67, 2004

      5 이덕희,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의 자기공명영상" 대한영상의학회 50 (50): 1-17, 2004

      6 김준태,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에서 Perfusion CT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신경과학회 20 (20): 585-591, 2002

      7 최준호, "급성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 전산화단층촬영의 유용성" 대한영상의학회 49 (49): 7-14, 2003

      8 제환준, "급성 뇌경색환자에서관류MR영상: T₂강조영상과 확산강조영상의 비교" 43 : 1-8, 2000

      9 Koening M, "perfusion CT of the brain: diagnostic approach for early detection of ischemic stroke" 209 : 85-93, 1998

      10 Axel L, "cerebral blood flow determination by rapid sequence computed tomography: a theoretical analysis" 137 : 679-686, 1980

      11 Schwamm LH, "Time course of lesion development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serial diffusion and hemodynamically 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29 : 2268-2276, 1998

      12 자기공명영상기술연구회, "TEXT Book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청구문화사 299-314, 2008

      13 Ashok Srinivasam, "State-of-the Art Imaging of Acute Stroke" 26 : 11-37, 2006

      14 오영택, "Single shot EPI기법을 이용한 뇌경색 환자의 확산강조영상" 39 : 7-13, 1998

      15 Barber PA, "Prediction of stroke outcome with echoplanar perfusion and diffusion-weighted MRI" 51 : 418-426, 1998

      16 Klotz E, "Perfusion measurement of the brain: using dynamic CT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cerebral ischemia in acute stroke" 30 : 170-184, 1999

      17 Nabavi DG, "Perfusion mapp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allow accurate prediction of cerebral infarction in experimental brain ischemia" 32 : 175-183, 2001

      18 Hellier KD, "Perfusion CT helps decision making for thrombolysis when there is no clear time of onset" 77 : 417-719, 2006

      19 Hacke W, "Intravenous thrombolysis with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for acute hemispheric stroke. The European Cooperative Acute Stroke Study(ECASS)" 274 : 1017-1025, 1995

      20 Sorensen AG, "Hyperacute strok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relative cerebral blood flow and mean tissue transit time" 210 : 519-527, 1999

      21 Sorensen AG, "Hyperacute stroke, evaluation with combined multisection diffudion-weighted and hemodynamically weighted echoplanar MR imaging" 199 : 391-401, 1996

      22 Schaefer PW, "First pass quantitative CT perfusion identifies thresholds for salvageable penumbra in acute stroke patients treated with intra-arterial therapy" 27 : 20-25, 2006

      23 Mayer TE, "Dynamic CT prfusion imaging of acute stroke" 2 : 1441-1449, 2000

      24 Cenic A, "Dynamic CT measurement of cerebral blood flow: a validation study" 20 : 63-73, 1999

      25 Neumann-Haefelin TN, "Diffusion and perfusion weighted MRI : the DWI/PWI mismatch region in acute stroke" 30 : 1591-1597, 1999

      26 Warach S, "Clinical outcome in ischemic stroke predicted by early diffusion-weighted and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preliminary analysis" 16 : 53-59, 1996

      27 Nabavi DG, "CT assessment of cerebral perfusion: experimental validation and initial clinical experience" 213 : 141-149, 1999

      28 Rther J, "Assessment of regional cerebral blood volume in acute human stroke by use of single-slice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27 : 1088-1093, 1996

      29 Von Kummer R, "Acute stroke: Usefulness of early CT findings before trombolytictherapy" 205 : 327-333, 1997

      30 Reichenbach JR, "Acute stroke evaluated by time to-peak mapping during initial and eary follow up perfusion CT Studies" 20 : 1842-185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