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f the Affinities between the Korean Folktale of “the Serpent Husband” and the Japanese Story of “Amewakahiko-zoshi” : a Study of <ATU 425 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tales i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5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구전설화 <구렁덩덩신선비>와 일본 문헌설화 <아메와카히코조시>에 공통으로 내재된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친연성을 탐구하는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구전설화 <구렁덩덩신선비>와 일본 문헌설화 <아메와카히코조시>에 공통으로 내재된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친연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ATU 425 잃어버린 남편 탐색> 유형에 넣을 수 있는 이 두 설화는 화자, 전승매체, 향유층이 다르지만 전체적인 서사구조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아메와카히코조시>와 저본이 된 <건륙위 설화> 속의 뱀신랑의 이미지와 이류교혼은 일본의 기기신화 및 구전설화에 나타난 것과는 사뭇 다르며, 오히려 <구렁덩덩신선비>와 더 유사하다. 또한 <아메와카히코조시>는 칠석유래담으로서 지녀천남 형의 인물구성을 택하고 있어서 일본 구전설화와는 많이 다르다. <아메와카히코조시>에 삽입되어 있는 지녀승천, 박씨와 박줄, 개미 따위의 모티프는 제주도 무가 <세경본풀이>에 나타난 것과 유사하다. 특히 ‘곡식 한 톨을 운반하는 개미’ 모티프는 일본 설화에서는 좀처럼 찾기 힘들지만 한국에서는 <세경본풀이> 뿐만 아니라 <이공본풀이>와 <대홍수와 나무도령> 설화에도 두루 나타나는 것이다. <아메와카히코조시>와 한국 구전설화가 보여준 유사성과 친연성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형성에 한국 설화가 미쳤을 영향을 짐작하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ffinities between the Korean oral folklore called “The Serpent Husband and the Japanese medieval story called “Amewakahiko-zoshi”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ommon motifs. Th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ffinities between the Korean oral folklore called “The Serpent Husband and the Japanese medieval story called “Amewakahiko-zoshi”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ommon motifs. Though these two tale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ways such as the storytellers, the media for transmitting the tales and the social class of the audienc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se two serpent-husband tales have much in common: the marriage proposal from the serpent, sibling rivalry, transformation, taboos against destroying the animal-skin, a quest for the lost husband, journeys into the other world, difficult tasks, etc. The story line of these two tales conforms to the outline of the tale-type of <ATU 425. 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Strangely enough, “Amewakohiko-zoshi” is much closer to the Korean folktale called “The Serpent Husband” than to the Japanese ones. In Japanese myths and folktale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other versions of <ATU 425>: most of the snakes who attempt to marry human girls meet a tragic death and animal-human marriage has been described as a disaster. The motifs of ‘journey to the heaven,’ ‘gourd or calabash tree,’ ‘ant as a grateful animal’ in “Amewakahiko-zoshi” can also be found in Korean oral folklore of the great flood as well as in the Cheju shamanist myths of agricultural goddess and the warden of the marvelous flow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학, "한중일 설화비교 연구" 민속원 1999

      2 안승모, "한민족과 농경문화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소고"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 1997

      3 정인섭, "한국의 설화" 단국대학교출판부 2007

      4 박종익, "한국구전설화집 13: 충남편 1" 민속원 2005

      5 "한국구비문학대계 8-12: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군 편(1)" 정신문화연구원 1984

      6 "한국구비문학대계 7-6: 경상북도 영덕군 편(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7 "한국구비문학대계 6-6: 전라남도 신안군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8 姜素姸, "조선시대의 칠성탱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9 손진태,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10 진성기, "제주도전설" 백록 1993

      1 최인학, "한중일 설화비교 연구" 민속원 1999

      2 안승모, "한민족과 농경문화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소고"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 1997

      3 정인섭, "한국의 설화" 단국대학교출판부 2007

      4 박종익, "한국구전설화집 13: 충남편 1" 민속원 2005

      5 "한국구비문학대계 8-12: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군 편(1)" 정신문화연구원 1984

      6 "한국구비문학대계 7-6: 경상북도 영덕군 편(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7 "한국구비문학대계 6-6: 전라남도 신안군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8 姜素姸, "조선시대의 칠성탱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9 손진태,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10 진성기, "제주도전설" 백록 1993

      11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12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2013

      13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14 현용준, "제주도 무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5 최래옥, "전북민담" 형설출판사 1979

      16 임석재, "임석재전집 6 한국구전설화: 충청북도 편/ 충청남도 편" 평민사 2003

      17 이선아, "일본의 '날개옷(羽衣)' 설화 고찰" 제주대학교 2013

      18 田阪正則, "일본고전문학에 나타난 「사(뱀)」 연구 : 한일 설화문학의 비교연구를 위한 시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9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 2" 동북아역사재단 2013

      20 김은숙, "역주 일본서기 1" 동북아역사재단 2013

      21 임석재, "구렁덩덩시선비 설화와 큐비드사이키 설화와의 대비" 1985

      22 노성환, "고사기" 민속원 2009

      23 노성환, "고구려 고분벽화와 일본의 칠석설화" 한국일어일문학회 64 (64): 287-304, 2008

      24 김광순, "경북민담" 형설출판사 1978

      25 稻田浩二, "日本昔話事典" 弘文堂 1994

      26 松本隆信, "御伽草子集: 新潮日本古典集成 第34回" 新潮社 1980

      27 高木敏雄, "増訂 日本神話伝説の研究 2" 乎凡社 1974

      28 勝俣 隆, "中世小説七夕と先行文献の関係について" 54 : 1997

      29 網野善彦, "いまは昔むかしは今1 瓜と竜蛇" 福音館書店 1989

      30 金景姬, "‘구렁덩덩신선비’ 설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31 Antti Aarne,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FF Communications, No. 184, 1961" Suomalainen Tiedeakatemia 1973

      32 Hans-Jörg Uther,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Based on the System of Antti Aarne and Stith Thompson, Vols 1-3, FF Communications No. 284-86"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33 Christine Goldberg, "The Historic-Geographic Method: Past and Future" 21 (21): 1-18, 1984

      34 최교연, "<구렁덩덩신선비>의 전승 양상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5 서대석, "<구렁덩덩신선비>의 신화적 성격" 한국고전문학연구회 3 : 1986

      36 김환희, "<구렁덩덩신선비>와 외국 뱀신랑설화의 서사구조와 상징성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4 : 2002

      37 박영만, "(화계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 한국국학진흥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