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TV 드라마 속성, 촬영장소 속성, PPL효과와 관광행동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TV Drama’ Attributes, Location’ Attributes, Product Placement Effects and Tourist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11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verify a causal relationship and effects that TV drama’ and location’ attributes have on the inducement of tourists through product placement(PPL)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indicate that drama attributes, such as popularity of actors, together with their acting abilities and direc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tion attributes and product placement effects. location’ attributes such as suitability of place, recognition of place, recollection of place have positive effects on product placement effects. Product placement effects have also positive effects on tourist behavior such as intentions to visit and recommend the desired locations. Finally, location of TV drama as a means of marketing for tourist areas and tourism enterprises have positive effects on decision making of destination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an make good use of TV drama’ and location’ attributes as a strategic means of place marketing.
      번역하기

      This study tried to verify a causal relationship and effects that TV drama’ and location’ attributes have on the inducement of tourists through product placement(PPL)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indicate that drama attributes, such as pop...

      This study tried to verify a causal relationship and effects that TV drama’ and location’ attributes have on the inducement of tourists through product placement(PPL)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indicate that drama attributes, such as popularity of actors, together with their acting abilities and direc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tion attributes and product placement effects. location’ attributes such as suitability of place, recognition of place, recollection of place have positive effects on product placement effects. Product placement effects have also positive effects on tourist behavior such as intentions to visit and recommend the desired locations. Finally, location of TV drama as a means of marketing for tourist areas and tourism enterprises have positive effects on decision making of destination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an make good use of TV drama’ and location’ attributes as a strategic means of place market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애리, "호텔 이미지제고에 제품배치(PPL)가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7 (7): 47-68, 2007

      2 하경희, "호텔 PPL마케팅이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 지역 S호텔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14 (14): 247-267, 2010

      3 김재휘, "정보원의 전문성과 시청자의 유행관여도에 따른 간접광고의 효과:TV드라마속 패션상품 PPL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4 (14): 95-115, 2003

      4 박중환, "우리나라 주요 영화드라마 촬영지의 한류(韓流) 시장별 관광자원 이미지 분석 및 관광자원화 전략 연구" 한국관광학회 31 (31): 145-164, 2007

      5 양윤, "영화에서의 PPL 광고효과 측정" 53 : 135-154, 2001

      6 김도균, "영화 속 제품배치(PPL)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 영화의 장르별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 1999

      7 조윤아, "영상매체에서의 PPL효과에 관한 연구" 6 : 139-145, 2003

      8 박관우, "연예산업에 나타난 PPL사례 및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6

      9 오민재,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 동기유형별 관광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관광학회 30 (30): 293-315, 2006

      10 정성애, "드라마 애착관계가 관광목적지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433-451, 2009

      1 이애리, "호텔 이미지제고에 제품배치(PPL)가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7 (7): 47-68, 2007

      2 하경희, "호텔 PPL마케팅이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 지역 S호텔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14 (14): 247-267, 2010

      3 김재휘, "정보원의 전문성과 시청자의 유행관여도에 따른 간접광고의 효과:TV드라마속 패션상품 PPL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4 (14): 95-115, 2003

      4 박중환, "우리나라 주요 영화드라마 촬영지의 한류(韓流) 시장별 관광자원 이미지 분석 및 관광자원화 전략 연구" 한국관광학회 31 (31): 145-164, 2007

      5 양윤, "영화에서의 PPL 광고효과 측정" 53 : 135-154, 2001

      6 김도균, "영화 속 제품배치(PPL)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 영화의 장르별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 1999

      7 조윤아, "영상매체에서의 PPL효과에 관한 연구" 6 : 139-145, 2003

      8 박관우, "연예산업에 나타난 PPL사례 및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6

      9 오민재,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 동기유형별 관광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관광학회 30 (30): 293-315, 2006

      10 정성애, "드라마 애착관계가 관광목적지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3 (33): 433-451, 2009

      11 강숙현, "관광기업의 PPL광고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73-198, 2009

      12 신홍철, "간접광고 인지도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TV드라마 속 여행상품 PPL을 중심으로" 24 : 117-139, 2005

      13 Bolan, P., "The role of image in service promot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film on consumer choice within tourism" 32 : 382-390, 2008

      14 김재휘, "TV드라마에 의해서 유발된 정서가 PPL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4 (4): 23-40, 2003

      15 한성희, "TV 프로그램 속의 PPL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와 영향력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18 (18): 1-20, 2007

      16 이준일, "TV 방송에 있어서 PPL효과에 관한 연구" 2000

      17 이용재, "TV 드라마 PPL에 대한 수용자태도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323-355, 2006

      18 이정란, "TV 드라마 PPL 시청자의 관광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ABSTRACT" 한국호텔관광학회 9 (9): 2007

      19 Tooke, N., "Seeing is believing: the effects of film on visitor numbers to screened locations" 17 (17): 87-94, 1996

      20 Selby, M., "Restructuring place image: A case study of its role in destination market research" 292-298, 1996

      21 손수진, "Product Placement(PPL)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따른 차별화된 광고전략에 관한 연구-TV드라마속 리조트상품의 간접광고를 중심으로" 4 (4): 567-587, 2005

      22 Riley, R, "Movie Induced Tourism" 25 (25): 919-935, 1998

      23 Kim, H., "Motion picture impacts on destination image" 30 (30): 216-237, 2009

      24 Kotler, P,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 Press 1993

      25 Hunt, J. D., "Image as a factor in tourism development" 13 (13): 1975

      26 Fakeye, "Image Difference between Prospective,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to Lower Grande Valley" 30 (30): 10-16, 1991

      27 Balasubra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s and Publicity Policy Issues" 23 (23):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관광학회 -> 한국호텔관광학회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텔관광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pitality & Touris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27 1.22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