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식민지 시기 ‘기자’가 등장하는 소설 작품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나타나는 ‘기자’의 존재양상을 검토하여 ‘문인기자’의 위상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6197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자료는 식민지 시기 ‘기자’가 등장하는 소설 작품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나타나는 ‘기자’의 존재양상을 검토하여 ‘문인기자’의 위상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식민지 시기 ‘기자’가 등장하는 소설 작품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나타나는 ‘기자’의 존재양상을 검토하여 ‘문인기자’의 위상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현진건 산문집을 내면서 = 5 단군성적순례(檀君聖跡巡禮) 발정제일야(發程第一夜) = 19 백겁산하밀성(百劫山河密城 = 21 백상루(百祚樓) = 24 오도탄(誤渡灘)·골적도(骨積島) = 26 을지공(乙...
목차 현진건 산문집을 내면서 = 5 단군성적순례(檀君聖跡巡禮) 발정제일야(發程第一夜) = 19 백겁산하밀성(百劫山河密城 = 21 백상루(百祚樓) = 24 오도탄(誤渡灘)·골적도(骨積島) = 26 을지공(乙支公) 석상(石像) = 28 곡(哭)! 을지장군(乙支將軍) = 31 충우이백리(衝雨二百里) = 34 묘향산(妙香山)의 윤곽(輪廓) = 38 국진굴(國盡窟)과 천주석(天柱石) = 41 가단군굴(假檀君窟) = 44 열철(熱鐵)에 냉수(冷水) = 46 을묘년대홍수(乙卯年大洪水) = 48 어허! 단군굴(檀君窟) = 50 단군천신지위(檀君天神之位) = 53 만폭동(萬瀑洞) = 57 곰틀을 보고 = 59 산삼(山蔘)과 석용(石茸) = 61 금강굴(金剛窟)의 일야(一夜) = 64 수충사(酬忠祠)·안심사(安心寺) = 68 금강폭(金剛瀑)·인호대(引虎臺) = 70 산주폭(散珠瀑)·용연폭(龍淵瀑) = 72 천심폭(天心瀑)·상원암(上元庵) = 74 사리탑(舍利塔) 비문(碑文) = 77 보현사(普賢寺) 일순(一巡) = 80 반시간(半時間)의 짠발짠 = 82 동룡굴(동龍窟)의 유래(由來) = 85 돌이 자라난다 = 90 생동(生動)의 석세계(石世界) = 93 대박산단군릉(大朴山檀君陵) = 96 대성산(大聖山, 大成山) = 96 동명성왕릉(東明聖王陵) = 99 을지장군묘(乙支將軍墓) = 101 강서삼고분(江西三古墳) = 103 약수(藥水)와 온천(溫泉) = 110 구월산(九月山) 입산(入山) = 112 구월산(九月山)과 패엽사(貝葉寺) = 114 단군대(檀君臺) = 116 삼성사(三聖祠) = 120 당장경(唐莊京)·사황봉(思皇峯) = 126 강화도(江華島) = 128 전등사(傳燈寺)·삼랑성(三郞城) = 134 마니산(摩尼山)·제천단(祭天壇) = 136 고도순례-경주(古都巡禮-慶州) 〔基 一〕 = 141 여행공덕송(旅行功德頌) = 141 장님과 단청(丹靑) = 141 백지(白紙) 같은 맘 = 142 고추나라로 = 142 광활(廣闊)한 대야(大野) = 143 〔基 二〕 = 145 박물관분관(博物館分館) = 145 금관(金冠)의 경이(驚異) = 146 옥충(玉蟲)과 마등(馬등) = 146 유리(琉璃) 곱보! = 147 〔基 三〕 = 148 황옥벽옥적(黃玉碧玉笛) = 148 옥적(玉笛)의 내력(來歷) = 148 이성치천하(以聲治天下) = 149 소중(所重)한 유물(遺物) = 150 〔基 四〕 = 151 이차돈(異次頓) 공양탑(供養塔) = 151 봉덕사(奉德寺) 대종(大鐘) = 151 애자(愛子)를 희생(犧牲) = 152 〔基 五〕 = 154 굴불(掘佛), 백률사(柏栗寺) = 154 십칠만여호(十七萬餘戶) = 154 웅대(雄大)한 기백(氣魄) = 155 포석정지(鮑石亭址) = 156 〔基 六〕 = 157 월성(月城) = 157 계림(鷄林) = 157 석빙고(石氷庫) = 158 첨성대(瞻星臺) = 158 안압지(雁鴨池) = 159 〔基 七〕 = 161 황룡(黃龍), 분황사(焚黃寺) = 161 폐허(廢墟)의 생명(生命) = 163 〔基 八〕 = 165 안타까운 이별(離別) = 165 불국사석교(佛國寺石橋) = 165 황홀(恍惚)한 광경(光景) = 166 〔基 九〕 = 168 다보탑(多寶塔) = 168 절묘(絶妙)한 의장(意匠) = 168 분실(紛失)된 석사자(石獅子) = 169 석가탑(釋迎塔) = 170 무영탑전설(無影塔傳說) = 170 〔基 十〕 = 171 〔基 十一〕 = 174 경탄(驚歎)할 채색(彩色) = 174 치술령전설(치述領傳說) = 174 장렬(壯烈)한 광경(光景) = 175 영위계림구(寧爲鷄林狗) = 176 〔基 十二〕 = 178 석굴암(石窟庵) = 178 석가존(釋迦尊) 석상(石像) = 178 신품(神品)의 입상(立像) = 179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 179 석붕(石棚)에 십불상(十佛像) = 180 〔基 十三〕 = 181 석굴암(石窟庵) 구조(構造) = 181 궁융상천정(穹융狀天井) = 181 선연(仙緣) 없는 탄식(歎息) = 182 괘능문신석상(掛陸武臣石像) = 182 독자(讀者)께 지은 죄(罪) = 183 산문(散文) 歷史小說問題 = 187 沈默의 巨匠 : 玄鎭健氏의 文學縱橫談 = 192 交涉 없던 그림자 = 199 같잖은 소설로 문제 = 202 첫 기고의 회상 = 204 『別乾坤』은 대중의 잡지 = 206 莊周와 프랑스 = 208 新春小說 漫評 = 211 朝鮮魂과 現代 精神의 把握 = 219 꿈에 본 新岳陽樓記 = 221 이러쿵저러쿵 = 227 결혼제도 없는 사회 = 235 물꽃 돗는대로 = 236 新秋 文壇 小說評 = 239 설 때의 愉快와 낳을 때의 苦痛 = 247 朦朧한 記憶 = 250 도야지와 眞珠 = 259 목도리의 覆面 = 262 여름과 맨발 = 264 紅挑花式美人 = 266 현진건 산문 해설 : 소멸과 생성의 미학 「國土巡禮記」의 의미 1. 憑虛文學과 國土巡禮記 = 271 2. 古都巡禮·慶州 = 273 3. 橋君聖跡巡禮 = 281 4. 역사의 이념화와 그 문학 = 292 저자·편자 소개 = 295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8edbfa70ea8db859#re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