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영상 및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 -국어국문학 전공생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6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4년제 대학 국어국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동영상과 실시간 방식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비대면 방식 수업이 불가피한 상황과...

      이 연구는 4년제 대학 국어국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동영상과 실시간 방식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비대면 방식 수업이 불가피한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가 고려된 온라인 수업을 구상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인식 조사는 온라인 설문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구성은 기초 인적 조사와 수강 환경을 기초로 하며, 동영상과 온라인 수업의 장단점, Anderson & Krathwohl(2001)의 인지과정 유형을 근거로 하여 기억, 이해, 적용, 분석, 평가, 창조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방식 선택, 동영상과 실시간 방식의 적절한 비율과 이유로 나누어진다. 조사 결과 1) 학생들은 반복해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 수업을 선호하였으며 교수와 소통할 수 없는 것을 동영상 수업의 가장 큰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 실시간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교수와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었고 가장 큰 단점은 접속 불안정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접속 불안정은 2학년이 4학년보다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업 목표 달성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으로 도 동영상 수업이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4)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수업의 비율로는 50:50으로 진행되기를 원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파악하고 수업에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 결과가 앞으로 온라인 수업 방식을 설계하고 비율을 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delivered in synchronous modality and through recorded videos. The goal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student needs and the unavoidable situation that brought to conduc...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delivered in synchronous modality and through recorded videos. The goal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student needs and the unavoidable situation that brought to conduct remote classes in 2020,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and efficacy of online teaching.
      The investigation of student perceptions took place with an online survey and focus groups interviews. The survey included items related to the student background and the learning context, strength and weakness of online teaching, preference toward the best modality to reach the educational goals of memory,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evaluation, creativeness (Anderson & Krathwohl 2001), and perceived needs regarding the appropriate length of recorded classes, along with an explanation for their preference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1) students preferred recorded classes thanks to the possibility to review the content, but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t he i nstructor a s t he main d rawback o f this d eliv ery method; 2) students indicated the possibility to interact with the instructor as the mains strength of the synchronous delivery, however they indicated an unreliable connection the main weakness of real time classes; 3) students perceived the recorded classes to be a better tool to reach all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goals; 4) most students indicated the preference of taking half of the classes through recorded video, and half in synchronous modality. There is the need to understand students’ preferred delivery mode in term of online classes, and to reflect this in the design of remote courses. In this perspec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upport the design and balance of online cla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3 이은준, "온라인 수업의 편리성 인식 유형에 따른 만족도 및 학습경험 인식의 차이"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341-362, 2010

      4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5 Y., Inoue, "온라인 교육과 평생학습"

      6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247-277, 2020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한송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9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중심으로"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1 (1): 1-28, 2020

      10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3 이은준, "온라인 수업의 편리성 인식 유형에 따른 만족도 및 학습경험 인식의 차이"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341-362, 2010

      4 백이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2) : 59-74, 2020

      5 Y., Inoue, "온라인 교육과 평생학습"

      6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247-277, 2020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한송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9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중심으로"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1 (1): 1-28, 2020

      10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1 최미나, "동일 교수자의 동일 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23, 2007

      12 Odin, J. K.,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Online Classroom:A Constructivist Perspective" 2002

      13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14 Vat, K. H., "Online education: A learner-centered model with constructivism" 2000

      15 Coates, D., "No significant distance"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 Evidence from principles of economics" 23 (23): 533-546, 2004

      16 Chiasson, K., "Faculty perceptions of moving a face-to-face course to online instruction" 12 (12): 321-240, 2015

      17 Larson, D. K., "Comparing student performance: Online versus blended versus to-face" 13 (13): 31-42, 2009

      18 Sussman, S., "Compar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face-to-face and online course" 13 (13): 6-11, 2010

      19 Wang, Q., "Comparing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and face‐to‐face discussions in a classroom setting" 38 (38): 272-286, 2007

      20 Jereb, E., "Applying multimedia instruction in e‐learning" 43 (43): 15-27, 2006

      21 Anderson, L. 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2001

      22 교육부, "2020학년도 1학기 적용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내)"

      23 정광훈, "2012년도 온라인 학습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