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특성이 학교학습의 결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가지고, 한국의 교사들이 현재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고 있는 방식을 파악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특성이 학교학습의 결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가지고, 한국의 교사들이 현재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고 있는 방식을 파악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활...
본 연구는 교사의 특성이 학교학습의 결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가지고, 한국의 교사들이 현재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고 있는 방식을 파악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능한 표준적 교수활동의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교사들의 직접적 교수활동에 대한 분석적 연구 결과들을 망라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발표되어 활용되고 있는 수업모델 중에서 대표적인 다섯 개의 모델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 정리하였다. 그외 국내외를 막론하고 교사들의 교수활동에 관한 연구 결과물을 분석하고 특별히 교사들의 직접적인 교수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설립된 국내 유명 대학의 교사교육원의 현황을 아울러 살폈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직접 분석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티칭 기법을 활용하여 몇 몇 현장 교육장면을 촬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제까지 분석된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표준적인 한국 교사들의 수업활동의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에 있어서의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중등학교 교사들의 수업행동을 표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이를 위하여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수 많은 수업모델 중에서 Dick & Carey, Gagne & Briggs, Reigeluth, Merrill, Keller의 전략적 수업행동을 분석하여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의 중등학교 수업형태에 적합한 새로운 일반적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들 5개의 수업행동에서 추출하여 제시한 표준적 수업행동의 중요 수업변인들은 ① 학습내용분석 및 조직, ② 선수학습능력 판단, ③ 학습자 특성 파악, ④학습목표 제시, ⑤ 평가항목 개발, ⑥ 수업전략 개발, ⑦ 수업자료 선정 개발, ⑧ 학습안내 제시, ⑨ 피드백 제공, ⑩ 평가, ⑪ 학습자 통제 등이 그것들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예시적으로 몇 편의 실제 수업장면을 촬영한 내용과 관련지어 분석한 후 그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토대로 표준적 수업행동 모형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 모형은 모든 수업 즉, 교과의 유형이나, 교사, 그리고 학습자들의 특성을 무시한 채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아마도 교사의 관점에서는 각각의 수업내용을 참고하여 조금씩 변형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일정한 표준적 수업양식은 생각하지 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자신의 경험이나 선배들의 수업형태를 어깨너머로 보고 답습하던 관행을 탈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Ⅱ. 교사의 수업행동 분석에 관한 이론적 기초 1. 선행연구 고찰 1) 교사특성에 관한 관점 2) 교사 개인 발달적 관점 ...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Ⅱ. 교사의 수업행동 분석에 관한 이론적 기초
1. 선행연구 고찰
1) 교사특성에 관한 관점
2) 교사 개인 발달적 관점
3) 수업방법에 관한 관점
4) 수업 행태(교사-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관점
2. 수업행동의 구성변인
1) 학자들의 주요 수업모형
2) 효율적인 교사 수업행동
3) 교사 수업행동 구성변인에 대한 학자별 종합
3. 표준적 수업행동 분석의 틀
1) 체제적 수업 설계
2) Gagne & Briggs의 수업설계
3) Reigeluth의 수업 정교화 이론
4) Mer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
5) Keller의 동기 설계 이론
4. 표준적 수업행동 분석모형 제시
Ⅲ. 한국과 외국의 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1. 교사교육원의 역할 및 기능
2. 한국 교사교육원의 운영실태
IV.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분석(Video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