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이 중앙 집권적 영역국가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전개한 4~6세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도 해당 시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이 중앙 집권적 영역국가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전개한 4~6세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도 해당 시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이 중앙 집권적 영역국가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전개한 4~6세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도 해당 시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점은 동일한 4~6세기 삼국의 영역을 두고서 초, 중, 고교의 학교급을 막론하고 교과서마다 적지 않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 삼국의 영역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국가와 시기별로 다양한 주장들이 제기되었다. 관련 학설들을 교과서 기재 내용과 지도를 중심으로 풀어보면, 고구려의 북·서·동방의 경계와 백제의 요서 진출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 등으로 요약된다. 고구려의 북방 경계 관련하여서는 늦어도 4세기 중반에는 고구려가 북부여 중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여 영역을 확보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서방 경계의 경우 고구려가 요동반도 전체를 영역화하는 시기가 대체로 4세기 말이므로 그 이후 시기의 지도에는 요동반도 전역을 고구려 영토로 표기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동방 경계는 고구려가 이른 시기부터 한반도 동해안 지역으로 진출한 기록이 존재하고, 늦어도 3세기 후반에는 동해안 지역 지배의 거점인 두만강 유역의 책성을 영역화한 것이 확실하므로 그 이후 시기 고구려 영역 지도에는 해당 지역을 포함시켜야 한다. 백제 영역과 관련하여 요서 진출 문제는 고고학 증거의 부재와 사료의 문제점 등을 이유로 다수의 한국 고대사 연구자들이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도 주의 깊게 살펴볼 부분이다. 가야사 관련 발굴 성과가 늘어나고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5세기 무렵 후기 가야 연맹의 세력권이 섬진강을 넘어 호남 동부 일원에 미친 것으로 보는 연구 성과가 다수 나왔다. 이는 주로 대가야계 토기의 분포와 같은 고고학 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학계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다만 그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후기 가야의 영역을 지나치기 호남 쪽으로 확대 설정한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 대가야계 토기의 집중 출토지를 중심으로 보다 학계가 모두 동의하는 선에서 영역 표기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ncient Korean history, the 4th to 6th centuries, when the three kingdoms grew into a centralized state and competed in earnest, have an important meaning. Therefore, this period is also treated as important in secondary history textbooks. However,...
In ancient Korean history, the 4th to 6th centuries, when the three kingdoms grew into a centralized state and competed in earnest, have an important meaning. Therefore, this period is also treated as important in secondary history textbook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show serious deviations in the terri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Various theories have been raised on the territorial issues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Korea. If you focus on the contents and maps of the textbook, it is summarized as Goguryeo s border between the north, west, and east, Baekje s occupation of Liaoxi, and the border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As for the northern boundary of Goguryeo, it is appropriate to assume that by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t the latest, Goguryeo secured most of the Buyeo area except for the center of Bukbuyeo. In the case of the Western border, Goguryeo generally territorialized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so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should be marked as Goguryeo territory on a map of the period after that. As for the eastern border, there is a record of Goguryeo advancing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period, and it is certain that the Tuman River basin, the base of control of the eastern coast, was territorialized at the latest in the late 3rd century. Therefore, the area must be included in the Goguryeo area map during the period after that. Many researchers of ancient Korean history have a negative stance on the issue of Baekje s occupation of Liaoxi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 and problems with literature data. The issue of the boundary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should also be approached carefully. Recently,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history of Gaya have increased,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a result, around the 5th century,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late Gaya alliance crossed the Seomjin River and reached the eastern part of Honam. This is mainly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such as the distribution of Daegaya-type earthenware, and many researchers agre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의 가야세력과 그 성장과정" 20 : 2004
2 한철호, "한국사" 미래엔 2011
3 최병택, "한국사" 천재교육 2020
4 한철호, "한국사" 미래엔 2020
5 노대환, "한국사" 동아출판사 2020
6 왕현종, "한국사" 두산동아 2014
7 송호정, "한국사" 지학사 2020
8 박중현, "한국사" 해냄에듀 2020
9 송기호,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10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의 가야세력과 그 성장과정" 20 : 2004
2 한철호, "한국사" 미래엔 2011
3 최병택, "한국사" 천재교육 2020
4 한철호, "한국사" 미래엔 2020
5 노대환, "한국사" 동아출판사 2020
6 왕현종, "한국사" 두산동아 2014
7 송호정, "한국사" 지학사 2020
8 박중현, "한국사" 해냄에듀 2020
9 송기호,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10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11 강종훈,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린 역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선사·고대 부분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6) : 211-245, 2008
12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13 전영래, "임실 금성리 석곽묘군" 3 : 1974
14 김태웅, "역사 ②" 지학사 2020
15 "삼국사기"
16 진주교육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사회5-2" 2015
17 부산교육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사회5-2" 2019
18 김상기, "백제의 요서경략에 대하여" 3 : 1967
19 곽장근, "백제의 변경" 충남대 백제연구소 2005
20 이영식, "백제의 가야 진출 과정" 7 : 1995
21 김철준, "백제사회와 그 문화, 무령왕릉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출판부 1975
22 임기환, "백제 遼西 진출설과 역대 교과서 서술 검토" 고려사학회 (63) : 127-166, 2016
23 여호규, "백제 요서진출설 재검토" 91 : 2001
24 이도학, "백제 요서경략" 2021
25 이존희, "국사교육 내용전개의 준거안 연구보고서" 교육부 1994
26 이희준,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대가야박물관 2015
27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상)" 1990
28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1974
29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2002
30 정호섭, "고구려의 강역에 대한 연구쟁점과 과제" 백산학회 (110) : 5-32, 2018
31 이희준, "가야사연구-대가야의 정치와 문화" 1995
32 "魏書"
33 "資治通鑑"
34 "梁書"
35 "晉書"
36 "日本書紀"
37 "宋書"
38 "三國志"
39 강종훈, "4세기 백제의 요서 지역 진출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0 : 5-38, 2003
40 이성제, "4世紀 末 高句麗와 後燕의 關係- 396년 後燕의 廣開土王 冊封 問題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35-66, 2012
41 교육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42 교육부,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2008
고구려 태조대왕과 신대왕 王系에 대한 재검토 : 초기 王系의 복원을 통한 왕실교대와 국내천도 시기의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