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 학교급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7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와 통합과학교육의 인지, 과학수업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통합의 방향, 그리고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의 목표 중 자연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생각였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을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고등학교 교사들은 과학의 핵심 개념이해를 중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다. 학교급이 높고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통합과학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은 과학수업과 생활과의 연계를, 통합과학의 가치는 과학 지식영역간의 상호 관련성 증대로 인한 학습효과 증가 및 자연현상의 통합적 이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통합과학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각 과학교과 내용의 충분한 이해와 함께 다양한 통합의 경험이 제공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와 통합과학교육의 인지, 과학수업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와 통합과학교육의 인지, 과학수업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통합의 방향, 그리고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의 목표 중 자연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생각였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을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고등학교 교사들은 과학의 핵심 개념이해를 중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다. 학교급이 높고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통합과학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은 과학수업과 생활과의 연계를, 통합과학의 가치는 과학 지식영역간의 상호 관련성 증대로 인한 학습효과 증가 및 자연현상의 통합적 이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통합과학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각 과학교과 내용의 충분한 이해와 함께 다양한 통합의 경험이 제공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clud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recogn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direction of integration, and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solving problems scientifically with curiosity and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was the most important go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ability to scientifically explore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and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importan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tter one is awar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The integrated school educatio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nk between science classes and life i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ncrease in learning effects caused by increa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knowledge areas and the integration of natural phenomena as the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integration experiences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ach science textbook.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clud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recogn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direction of integration, and value of integrated 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clud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recogn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direction of integration, and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solving problems scientifically with curiosity and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was the most important go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ability to scientifically explore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and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importan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tter one is awar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The integrated school educatio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nk between science classes and life i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ncrease in learning effects caused by increa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knowledge areas and the integration of natural phenomena as the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integration experiences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ach science textboo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영,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03-417, 2015

      2 손연아,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19 (19): 41-61, 1999

      3 김현정, "통합과학 실행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187-195, 2019

      4 안정용,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763-777, 2013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8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9 이미혜,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 ‘에너지’ 주제의 교수․학습 전략 모색" 21 (21): 342-356, 2001

      10 손연아, "사회적 책임을 접목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구조 및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통합교육 전략 제안" 교육연구소 22 (22): 279-312, 2016

      1 김지영,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03-417, 2015

      2 손연아,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19 (19): 41-61, 1999

      3 김현정, "통합과학 실행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187-195, 2019

      4 안정용,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763-777, 2013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8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9 이미혜,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 ‘에너지’ 주제의 교수․학습 전략 모색" 21 (21): 342-356, 2001

      10 손연아, "사회적 책임을 접목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구조 및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통합교육 전략 제안" 교육연구소 22 (22): 279-312, 2016

      11 송진웅,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8

      12 황규호,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정책의 대응과제" 2015

      13 맹희주,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601-614, 2011

      14 곽영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263-271, 2017

      1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고등학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