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 역행렬을 이용한 애니메이션의 초개인적 갈등(SPC) 강도 관련 다학제적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갈등의 VST 특징을 조사하고 강도를 측정한 이태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심화연구로 초개인적 갈등영상과 초개인적 갈등 값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개인적 갈등 강도 값(ESSPC)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SPC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기 위해 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들을 활용하여, 1)SPC를 분석하기 위한 20 개의 영상 Feature값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2)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여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선형모델을 찾아냈다. 그 결과로 3)제안된 시스템은 9.25%의 평균 자승오차의 제곱근 보이며, 그 효율성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계속 발전시켜 성공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한 자동 검증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갈등의 VST 특징을 조사하고 강도를 측정한 이태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심화연구로 초개인적 갈등영상과 초개인적 갈등 값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갈등의 VST 특징을 조사하고 강도를 측정한 이태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심화연구로 초개인적 갈등영상과 초개인적 갈등 값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개인적 갈등 강도 값(ESSPC)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SPC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기 위해 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들을 활용하여, 1)SPC를 분석하기 위한 20 개의 영상 Feature값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2)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여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선형모델을 찾아냈다. 그 결과로 3)제안된 시스템은 9.25%의 평균 자승오차의 제곱근 보이며, 그 효율성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계속 발전시켜 성공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한 자동 검증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intensive study on Tae Rin Lee’s research results. A linear system for Estimating the Strength of Super Personal Conflict (ESSPC) in animations is proposed. Tae Rin Lee has extracted the Super Personal Conflict (SPC) shots of animations, and obtained the strength through the experts’ psychological test experi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odel that automatically computes the superpersonal conflict intensity value (ESSPC). By utilizing these results, 1) 20 image feature vectors are suggested for analyzing the SPC, and 2) a linear system is found for auto-calculating ESSPC by using the pseudo inverse matrix. The proposed system shows 9.25%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effectiveness is proven.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intensive study on Tae Rin Lee’s research results. A linear system for Estimating the Strength of Super Personal Conflict (ESSPC) in animations is proposed. Tae Rin Lee has extracted the Super Personal Conflict (SPC) shots of animat...

      This study is an intensive study on Tae Rin Lee’s research results. A linear system for Estimating the Strength of Super Personal Conflict (ESSPC) in animations is proposed. Tae Rin Lee has extracted the Super Personal Conflict (SPC) shots of animations, and obtained the strength through the experts’ psychological test experi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odel that automatically computes the superpersonal conflict intensity value (ESSPC). By utilizing these results, 1) 20 image feature vectors are suggested for analyzing the SPC, and 2) a linear system is found for auto-calculating ESSPC by using the pseudo inverse matrix. The proposed system shows 9.25%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effectiveness is prov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초개인적 갈등 강도 계산 선형 모델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초개인적 갈등 강도 계산 선형 모델
      • Ⅳ. 초개인적 갈등강도의 분석 실험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위역, "애니메이션에서 욕망 비주얼 스토리텔링 특징 분석 - 소속, 성취, 보호에 대하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 (19): 1074-1088, 2016

      2 이태린, "애니메이션 갈등장면에서의 갈등강도와 VST요소 분석"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9 : 279-292, 2017

      3 김영아,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4, 2012

      4 "https://ko.wikipedia.org/wiki/색_공간"

      5 "https://en.wikipedia.org/wiki/Moore%E2%80%93Penrose_pseudoinverse"

      6 Howard D, "The tools of screenwriting:a writer's guide to the craft and elements of a screenplay" Macmillan 1995

      7 J.C.A .Barata, "The moore-penrose pseudo-inverse: a tutorial review of the theory" 2012

      8 Yan L, "The application of unascertained measure to the video emotion type recognition" IEEE 2010

      9 H.Porter Abbott,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0 Eun-Ha Son, "Study on skin and ciothing color selection for animation character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7

      1 강위역, "애니메이션에서 욕망 비주얼 스토리텔링 특징 분석 - 소속, 성취, 보호에 대하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 (19): 1074-1088, 2016

      2 이태린, "애니메이션 갈등장면에서의 갈등강도와 VST요소 분석"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9 : 279-292, 2017

      3 김영아,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4, 2012

      4 "https://ko.wikipedia.org/wiki/색_공간"

      5 "https://en.wikipedia.org/wiki/Moore%E2%80%93Penrose_pseudoinverse"

      6 Howard D, "The tools of screenwriting:a writer's guide to the craft and elements of a screenplay" Macmillan 1995

      7 J.C.A .Barata, "The moore-penrose pseudo-inverse: a tutorial review of the theory" 2012

      8 Yan L, "The application of unascertained measure to the video emotion type recognition" IEEE 2010

      9 H.Porter Abbott,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0 Eun-Ha Son, "Study on skin and ciothing color selection for animation character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7

      11 Robert Mackey, "Story: Substance, Structure, Style, and The Principles of Screen writing"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7

      12 Karl H. Ruhm, "Pseudo-inverse" 2005

      13 정의철, "N차 다항식 보간법과 허프 변환을 이용한원통형 수중 물체 영상 식별" 대한전자공학회 50 (50): 193-200, 2013

      14 Bradley M M., "Measuring emotion: the self-assessment maniking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1994

      15 Seger L, "Making a good script great" Samuel French Trade 1994

      16 Z. Y. Zhang, "Linear Model for calculating the super personal conflict in the visual storytelling of anim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7

      17 A. Hanjalic, "Extracting mmoeds from picture and sounds" 23 (23): 2006

      18 Li Chao, "Emotion recognition of animation images"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19 Nie D, "EEG-based emotion recognition during watching movies" Neural Engineering 2011

      20 Rene, "Determination of emotional content of video clips by low-level audiovisual features"

      21 E. Peli, "Contrast in Complex Images" 7 (7): 2032-2040,

      22 K. WNUKOWICZ, "Color temperature estimation algorithm for digital images-properties and convergence" 11 (11): 2003

      23 Wang Mundo, "Analysis of animation conflicts based on the desire"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5

      24 Bong-seon Sung, "Analysis of Character Movement Direction Based on A New Narrative Process Classification Model of Anim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

      25 Ekman P, "All 'emotions are basic.' The nature of emotion: Fundamental questions"

      26 Hanjalic A, "Affective video content representation and modeling" 2005

      27 Wang H L, "Affective understanding in film" 2006

      28 Dietz R, "Affective agents: Effects of agent affect on arousal, attention, liking and learning" 1999

      29 Hyun Sun Jung, "A Study on the color expression of cell anim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9

      30 Hye-young Ko, "A Study on an facial expression of characters in an anim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2

      31 Soo-hyun Hong, "A Study on Idea Products Based on Charac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9

      32 Hyun-sun Jung, "2D animation color transformation between scenes for automatic character color assignment"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