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8539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7-107(21쪽)
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을 ...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는 유럽에서 사회적 배제의 개념이 어떠한 정치적 맥락에서 발원하고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배제에 대한 개념규정을 시도한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에스핑 안데르센(G. Esping-Andersen, 1990, 1999)의 복지레짐론과 실버(M. Silver, 1994)의 사회적 배제 파라다임을 비교하여 논의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해서 복지레짐론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 연구의 본론에 해당되는 제4장은 2000년도부터 2007년까지 한국과 유럽 6개국(보수주의: 독일과 프랑스, 자유주의: 영국과 아일랜드, 사민주의: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구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rpor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social exclusions in Korea with those in the European countries, notably Germany, France, Sweden, Finland, Ireland and U.K. For this purpose, chapter two examines political and social ...
This paper purpor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social exclusions in Korea with those in the European countries, notably Germany, France, Sweden, Finland, Ireland and U.K. For this purpose, chapter two examines political and social origins of social exclusion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poverty or unemployment. Chapter three discusses social exclusion paradigms of Silver(1994) in reference to welfare regime theories of Esping-Andersen(1990). Subsequently chapter four, using two artificial social exclusion indicator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efines the basic nature of social exclusion of Kore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six European countries. Chapter five duly concludes that social exclusions in Korea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liberal countries (Ireland and U.K.) in that income indicators (poverty and inequality) of Korea are much worse, whereas unemployment rate is relatively low.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2 김태수, "한국에서의 사회적 배제 지표의 개발 시론: 외래인을 중심으로" 111-137, 2009
3 김태수, "한국사회에 대한 사회적 배제 가설의 적용가능성 검토: 외래인을 중심으로" 87-108, 2008
4 김순양, "저숙련 외국인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국제지역연구원 15 (15): 1-30, 2008
5 박형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자립생활 지원방안"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69-94, 2008
6 이익섭, "장애인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49-81, 2007
7 서수정,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 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24-55, 2004
8 문진영, "유럽연합의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집문당 2009
9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10 한상진, "울산지역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와 자활 : 사회전기적 접근"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6
1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2 김태수, "한국에서의 사회적 배제 지표의 개발 시론: 외래인을 중심으로" 111-137, 2009
3 김태수, "한국사회에 대한 사회적 배제 가설의 적용가능성 검토: 외래인을 중심으로" 87-108, 2008
4 김순양, "저숙련 외국인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국제지역연구원 15 (15): 1-30, 2008
5 박형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자립생활 지원방안"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69-94, 2008
6 이익섭, "장애인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49-81, 2007
7 서수정,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 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24-55, 2004
8 문진영, "유럽연합의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집문당 2009
9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10 한상진, "울산지역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와 자활 : 사회전기적 접근"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6
11 이태정,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연구- "국경 없는 마을" 사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6 (6): 139-178, 2005
12 홍인옥, "영구임대주택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 해결 및 사회통합 방안" 76 : 32-60, 2005
13 배미애,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지역 차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연구원 24 (24): 151-191, 2007
14 최권호, "소아암 생존자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15 정미숙, "성별화된 빈곤과 사회적 배제 -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연구원 25 (25): 3-44, 2008
16 김영란, "성 인지적 관점에서 본 사회권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54 : 187-208, 2002
17 김안나,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8 이원호, "사회적 배제의 측정과 빈곤현상의 공간적 패턴: 서울시의 사례연구" 국토지리학회 40 (40): 367-379, 2006
19 강신욱,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53-277, 2004
21 박병현,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 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의 함의" 45 : 185-219, 2001
22 남원석, "사회적 배제와 주거문제" 19 : 85-129, 2004
23 송다영,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95-319, 2003
24 장지연, "사회적 배제 시각으로 본 비정규 고용" 한국노동연구원 7 (7): 1-22, 2007
25 박능후,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근로연계복지정책의 효과성" 5-28, 1999
26 한상진, "사회적 배제 과정과 자활의 측면들: 울산 동구 빈곤층의 생애과정을 중심 으로" 한국노동연구원 7 (7): 139-172, 2007
27 심창학, "사회적 배제 개념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 : 비교관점에서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44 : 178-208, 2001
28 문진영, "사회권 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8
29 문진영, "빈곤 레짐에 관한 비교연구-유럽연합 회원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45-269, 2005
30 류지웅,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연구 : 소수자의 관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31 박영미, "복지국가에서의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적 배제" 서울행정학회 18 (18): 11-41, 2008
32 문진영, "동유럽(CEE) 국가의 사회적 배제 현상과 복지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26 (26): 47-77, 2008
33 배순석, "도시 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6
34 남춘호, "노동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와 빈곤화 유형 분석: 전주시 사례에 대한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노동학회 12 (12): 259-304, 2006
35 노시학, "교통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 41 (41): 457-467, 2007
36 하성규,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4 (14): 159-181, 2006
37 노혜진,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67-196, 2008
38 신명호,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4
39 Gopinath, P., "‘Preface' to Social Exclusion: Rhetoric, Reality, Responses" ILO 1995
40 Esping-Andersen, Gøsta,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1990
41 Walker, R., "The dynamics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eyond the Threshold :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02-128, 1995
42 Kuhn, T.,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Chicago University Press 1970
43 Wilkinson, R., "The Spirit Level: Why more equal societies almost always do better" Allen Lane 2009
44 Esping-Andersen, Gøsta,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45 Atkinson, T., "Social Exclusion, Poverty and Unemployment. in: Exclusion, Employment and Opportunity" CASE 1998
46 Berghman, J., "Social Exclusion in Europe : Policy Context and Analytical Framework. in: Beyond the Threshold :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0-28, 1995
47 Vleminckx, K., "Social Exclusion and the Welfare State: an Overview of Conceptual Issues and Implications. in: Social Exclusion and European Policy" Edward Elgar 27-46, 2001
48 Barry, B., "Social Exclusion and the Distribution of Income"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1998
49 Silver, 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ee Paradigms" 133 (133): 531-578, 1994
50 Matsaganis, M., "Social Exclusion and Social Policy in Greece. in: Social Exclusion and European Policy" Edward Elgar 188-203, 2001
51 Murphy, R., "Social Closure" Clarendon Press 1988
52 김기영, "SAS 주성분 분석" 자유아카데미 1989
53 Silver, H., "Reconceptualizing Social Disadvantage: Three Paradigms of Social Exclusion. in: Social Exclusion: Rhetoric, Reality, Responses" ILO 1995
54 Room, G.,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the New European Agenda for Policy and Research. in: Beyond the Threshold :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0-28, 1995
55 Richardson, L., "Outsider and Insider Expertise: The Response of Residents of Deprived Neighbourhoods to an Academic Definition of Social Exclusion" 36 (36): 496-515, 2002
56 Stewart, K., "Measuring Well-Being and Exclusion in Europe's Regions"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2002
57 Lenoir, René, "Les Exclus: Un Francais sur Dix" Editions du Seuil 1974
58 EC Commission, "Joint Report on Social Inclusion" 1425
59 Burchardt, T., "Introduction. in: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2, 2002
60 Whelan, C., "Income and Deprivation Approaches to the Measurement of Poverty in the European Union. in: Social Exclusion in European Welfare States" Edward Elgar 184-201, 2002
61 Esping-Andersen, Gøsta, "Hybrid or Unique: The Japanese Welfare State Between Europe and America" 73 : 179-189, 1997
62 OECD, "Health Data 2009" OECD 2009
63 Munck, R., "Globalisation and Social Exclusion" Kumarian 2005
64 Castles, R., "Extreme Cases of Marginalisation: from Vulnerability to Deaffiliation" 1990
65 "Eurostat"
66 OECD, "Employment Outlook 2009. Statistical Annex" OECD 2009
67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09" OECD 2009
68 Muffels, R., "Do European Welfare Regimes Matter in Explaining Social Exclusion?. in: Social Exclusion in European Welfare States" Edward Elgar 202-232, 2002
69 Weinberg, A., "Comprendre l'exclusion" 28 : 12-15, 1993
70 Esping-Andersen, Gøsta, "After the Golden Age? Welfare State Dilemmas in a Global Economy. in: Welfare State in Transition: National Adaptation in Global Economies" Sage 1996
7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년 빈곤통계연보" 2009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연금 체제(Pension regime) 측면에서 본 한국 노후 소득보장 체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