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점보정 렌즈설계 및 3D 프린터 이용 가공 특성평가(I) = Optimum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F-Theta Lens by a 3D Printe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focal length-correcting lens called the F-theta lens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t focus on spot size due to the deflected incident laser beam. The F-theta lens was designed by the ray tracing method and fabricated by a 3D printer with polymer-based material. The designed F-theta lens is able to compensate for the focus on spot size by an incidence angle of 0 to 2 degre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mulation, there was almost no aberration in the 0° incidence angle, and the maximum of 50μm of aberration was observed at the incidence angle of 2°. Diffraction-encircled energy was analyzed to characterize the designed optics, and an imag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ctual image resolution.
      번역하기

      A focal length-correcting lens called the F-theta lens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t focus on spot size due to the deflected incident laser beam. The F-theta lens was designed by the ray tracing method and fabricated by a 3D printer with...

      A focal length-correcting lens called the F-theta lens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t focus on spot size due to the deflected incident laser beam. The F-theta lens was designed by the ray tracing method and fabricated by a 3D printer with polymer-based material. The designed F-theta lens is able to compensate for the focus on spot size by an incidence angle of 0 to 2 degre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mulation, there was almost no aberration in the 0° incidence angle, and the maximum of 50μm of aberration was observed at the incidence angle of 2°. Diffraction-encircled energy was analyzed to characterize the designed optics, and an imag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ctual image resol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배, "차량경량화를 위한 듀얼 레이저 에너지 플라스틱 접합의 응용" 대한용접접합학회 31 (31): 23-27, 2013

      2 이준영, "순수 알루미나와 탄소나노튜브 강화 알루미나 복합체의 극초단 펄스레이저 가공특성 비교" 한국기계가공학회 12 (12): 23-29, 2013

      3 신보성, "나노 다공 구조를 가진 알루미나 재료의 UV 레이저 미세가공에 관한 실험적 기초 연구" 한국기계가공학회 11 (11): 62-67, 2012

      4 Haghighatzadeh, A., "Theoretical modeling of the divergence of a flat-topped beam from a two-stage beam shaper into a conical intensity profile after propagation in free space" 313 : 49-55, 2014

      5 Wu, H., "Design of a hybrid diffractive/refractive achromatized telecentric f-h lens" 117 (117): 271-276, 2006

      6 Alda, J., "Design of Fresnel lenses and binary-staircase kinoforms of low value of the aperture number" 260 : 454-461, 2006

      7 Special Optics, "Custom Lens Design"

      8 양세영, "CO_2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한 프레스 금형재료의 표면경화 특성" 한국기계가공학회 10 (10): 31-37, 2011

      1 한상배, "차량경량화를 위한 듀얼 레이저 에너지 플라스틱 접합의 응용" 대한용접접합학회 31 (31): 23-27, 2013

      2 이준영, "순수 알루미나와 탄소나노튜브 강화 알루미나 복합체의 극초단 펄스레이저 가공특성 비교" 한국기계가공학회 12 (12): 23-29, 2013

      3 신보성, "나노 다공 구조를 가진 알루미나 재료의 UV 레이저 미세가공에 관한 실험적 기초 연구" 한국기계가공학회 11 (11): 62-67, 2012

      4 Haghighatzadeh, A., "Theoretical modeling of the divergence of a flat-topped beam from a two-stage beam shaper into a conical intensity profile after propagation in free space" 313 : 49-55, 2014

      5 Wu, H., "Design of a hybrid diffractive/refractive achromatized telecentric f-h lens" 117 (117): 271-276, 2006

      6 Alda, J., "Design of Fresnel lenses and binary-staircase kinoforms of low value of the aperture number" 260 : 454-461, 2006

      7 Special Optics, "Custom Lens Design"

      8 양세영, "CO_2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한 프레스 금형재료의 표면경화 특성" 한국기계가공학회 10 (10): 31-3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4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