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변화된 사람들의 ‘남성의 공간’으로서 도시공원 만들기 = The Making of Urban Park as a ‘Men’s Space’ by Marginal People - A Study of Central Park in Cheongj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9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that the marginal people in a small city in Korea have constructed a public park(Central Park, hereafter) as their own social cultural space based on gender, especially masculinity. Masculinity is divided into predomina...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that the marginal people in a small city in Korea have constructed a public park(Central Park, hereafter) as their own social cultural space based on gender, especially masculinity. Masculinity is divided into predominant and marginal one in Central Park. In the division, the physical force and strength takes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between relatively stronger middle-aged men and weaker elderly men. Some middle-aged men show off their physical strength and make an invisible boundary against the elderly. In response, the elderly men try not to have a intimate relationship with middle-aged men and act cautiously to avoid conflicts with them. At the same time, the elderly men criticize the middle-aged men by comparing the masculinity that they enjoyed in the past and by emphasizing their masculinity that was based on hard working, patriarchic responsibility, and patriotism in the era of rapid industrialization in Korea. Men, both elderly and middle-aged, objectify the women in Central Park sexually. They mostly recognize, stigmatize, and treat the women as a prostitute. Because of this prejudice, they believe that women are not a proper and eligible group who can stay in Central Park. Ironically, their expression of masculinity against women is a sign of weakening masculinity partly because of aging and partly because of their deteriorating socioeconomic status. In this way, men regard the women as a mirror of their masculin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deal with and overcome daily difficulties encountered in real world in their social cultural space. In the processes, Central Park forms a unique social cultural community based on specific gender relatio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틀
      • 3. 중앙공원의 탄생과 쇠락
      • 4. 중앙공원 사람들: 남성노인, 중장년 남성, 여성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틀
      • 3. 중앙공원의 탄생과 쇠락
      • 4. 중앙공원 사람들: 남성노인, 중장년 남성, 여성
      • 5. 주변화된 사람들의 남성 커뮤니티 만들기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인숙,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병역의무: 카투사의 남성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223-253, 2005

      2 이소영, "탑골공원의 노인 이용행태에 관한 해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1

      3 채수홍, "탄광촌의 쇠락과 폐광촌의 미래: 태백시 철암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0 (10): 63-104, 2004

      4 "청주시청 홈페이지 통계자료"

      5 황현주, "청주시 노인의 활동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청주 중앙공원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2001

      6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2009

      7 김주영, "주변화된 남성의 사회문화적 공간으로서 도시공원 : 청주 중앙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4

      8 안숙영,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여성연구소 21 (21): 7-37, 2011

      9 정수남, "잉여인간, 통치성, 감정아비투스: 노숙인,. 부랑인의 사회적 삶과 탈감정사회의 패러독스" 139-157, 2013

      10 양승필, "일제강점기 청주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 연구 : 행정체계, 도시계획, 도시기반시설,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2

      1 권인숙,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병역의무: 카투사의 남성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223-253, 2005

      2 이소영, "탑골공원의 노인 이용행태에 관한 해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1

      3 채수홍, "탄광촌의 쇠락과 폐광촌의 미래: 태백시 철암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0 (10): 63-104, 2004

      4 "청주시청 홈페이지 통계자료"

      5 황현주, "청주시 노인의 활동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청주 중앙공원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2001

      6 이승주, "집단적 성구매를 통해 구축되는 남성성과 남성들 간의 관계 맺기" 이화여자대학교 2009

      7 김주영, "주변화된 남성의 사회문화적 공간으로서 도시공원 : 청주 중앙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4

      8 안숙영,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여성연구소 21 (21): 7-37, 2011

      9 정수남, "잉여인간, 통치성, 감정아비투스: 노숙인,. 부랑인의 사회적 삶과 탈감정사회의 패러독스" 139-157, 2013

      10 양승필, "일제강점기 청주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 연구 : 행정체계, 도시계획, 도시기반시설,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2

      11 정진웅, "세대 개념에 대한 사회과학적 논의: 인류학적 연구에서 세대 개념의 유용성" 2-6, 2013

      12 이구석, "서울시 종로 노인문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종로 종묘공원·탑골공원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09

      13 강현수, "도시에 대한 권리-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책세상 2012

      14 Knox, Paul, "도시사회지리학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12

      15 채수운, "도시 노인의 성문제 실태에 관한 연구 : 종묘 공원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08

      16 김경철, "도시 거주 남자 노인들의 공원 이용 분석" 6 : 3-17, 1996

      17 김정은, "노인의 성의식과 성매매 특성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18 김소진, "노인들의 집단 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종묘공원노인들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49-375, 2009

      19 김문일, "노인들의 공원이용 실태와 여가문화 활성화 방안 : 경주시 황성공원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2012

      20 송혜자, "노인공원의 이용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청주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217-248, 2008

      21 오영진, "남성노인의 여가와 가족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부산지역 공원 이용자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2009

      22 이영실, "남성노인의 성인식 및 성 욕구해소 경험 : 종묘공원을 이용하는 남성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2011

      23 박승규, "광장, 카니발과 미학적 정치 공간" 한국공간환경학회 (34) : 60-86, 2010

      24 남기민, "고령화 사회 노인활동 현황과 활성화 대책-청주시 중앙공원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8 (8): 35-58, 2000

      25 Cranz, Galen, "Women in Urban Parks" 5 (5): 79-95, 1980

      26 Gutmann, MCranzatthew C., "Trafficking in Men: The Anthropology of Masculinity" 26 : 385-409, 1997

      27 Low, Setha M., "Theorizing the City-The New Urban Anthropology Reader" Rutgers University Press 111-137, 1999

      28 Wesely, Jennifer K., "The Gendered "Nature" of the Urban Outdoors: Women Negotiating Fear of Violence" 18 (18): 645-663, 2004

      29 Treadwell, James, "Masculinity, Marginalization and Violence: A Case Study of the English Defence League" 51 (51): 621-634, 2011

      30 Totten, Mark, "Girlfriend Abuse as a Form of Masculinity Construction among Violent, Marginal Male Youth" 6 (6): 70-92, 2003

      31 McDowell, Linda., "Gender, Identity and Place: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32 Brownlow, Alec, "A geography of men’s fear" 36 : 581-59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