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난소절제술이 약관상 ‘치유’ 목적에 해당되는지 여부 - 대법원 2021. 9. 9. 선고 2021다234368 판결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whether ovarian resection is a ‘treatment’ purpose under the insurance cla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5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Korea. Cancer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deaths in Korea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join cancer insurance products is steadily increasing to prepare for cancer. Those who have contracted a cancer insurance expect to be able to be fully funded through their insurance products. However, although people have joined cancer insurance, they have not been able to receive the insurance money properly and related disputes are increasing. The clause of cancer insurance and conditions of this case stipulate that if the disability payment rate is more than 50% due to the same cause other than the same disaster or disaster, the premium payment is exempted. The subject judgment was that the plaintiff who was diagnosed with Atypical Combined Endometriosis performed ovarian resection, and the loss of both ovaries was subject to the exemption of premium payment under the insurance clause. However, the term ‘treatment’ was used in the subject judgment, and most of the other clauses of cancer insurance use the expression of ‘direct treatment purpose of cancer'.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interpret the object judgment as the same standard with other cases. Therefore, even if the treatment purpose and preventive purpose are exist in any medical treatm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the medical treatment should be centered on the therapeutic purpose in order to be a ‘direct treatment of cancer’ under the clause of cancer insurance.
      번역하기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Korea. Cancer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deaths in Korea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join cancer insurance products is steadily increasing to prepare for cancer. Tho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Korea. Cancer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deaths in Korea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join cancer insurance products is steadily increasing to prepare for cancer. Those who have contracted a cancer insurance expect to be able to be fully funded through their insurance products. However, although people have joined cancer insurance, they have not been able to receive the insurance money properly and related disputes are increasing. The clause of cancer insurance and conditions of this case stipulate that if the disability payment rate is more than 50% due to the same cause other than the same disaster or disaster, the premium payment is exempted. The subject judgment was that the plaintiff who was diagnosed with Atypical Combined Endometriosis performed ovarian resection, and the loss of both ovaries was subject to the exemption of premium payment under the insurance clause. However, the term ‘treatment’ was used in the subject judgment, and most of the other clauses of cancer insurance use the expression of ‘direct treatment purpose of cancer'.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interpret the object judgment as the same standard with other cases. Therefore, even if the treatment purpose and preventive purpose are exist in any medical treatm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the medical treatment should be centered on the therapeutic purpose in order to be a ‘direct treatment of cancer’ under the clause of cancer insur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암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암은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에 대비하기 위하여 암보험상품에 가입하는 사람들 또한 꾸준히 늘고 있다. 이처럼 암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은 자신의 보험상품을 통해 암 치료비 재원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암보험에 가입하고도 보험금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여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사건 암보험약관에서는‘동일한 재해 또는 재해 이외의 동일한 원인으로 장해지급률 50% 이상 장해상태’가 되었을 경우 보험료 납입이 면제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비정형 복합 자궁내막증식증 진단을 받은 원고가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이로 인한 양쪽 난소의 상실이 약관상 보험료 납입면제 요건에 해당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의사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는 치료적인 목적과 예방적인 목적이 병존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양자가 병존할 경우에는 보험소비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기존 암보험 약관상 ‘직접적인 치료’의 해석에 있어서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상판결에서 문제된 약관에서는 ‘치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다른 암보험 약관에서는 대부분 ‘암의 직접적 치료목적’으로 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판결과 동일한 기준으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어떠한 의료행위에 해당 암을 직접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목적과 예방목적이 병존하는 경우에도 암보험 약관상 암의 ‘직접적인 치료’에 해당되기 위해서는 해당 의료행위가 치료목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예방목적은 단지 이에 부수하는 차원에 머물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서 암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암은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에 대비하기 위하여 암보험상품에 가입하는 사람들 또한 ...

      우리나라에서 암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암은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에 대비하기 위하여 암보험상품에 가입하는 사람들 또한 꾸준히 늘고 있다. 이처럼 암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은 자신의 보험상품을 통해 암 치료비 재원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암보험에 가입하고도 보험금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여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사건 암보험약관에서는‘동일한 재해 또는 재해 이외의 동일한 원인으로 장해지급률 50% 이상 장해상태’가 되었을 경우 보험료 납입이 면제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비정형 복합 자궁내막증식증 진단을 받은 원고가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이로 인한 양쪽 난소의 상실이 약관상 보험료 납입면제 요건에 해당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의사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는 치료적인 목적과 예방적인 목적이 병존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양자가 병존할 경우에는 보험소비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기존 암보험 약관상 ‘직접적인 치료’의 해석에 있어서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상판결에서 문제된 약관에서는 ‘치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다른 암보험 약관에서는 대부분 ‘암의 직접적 치료목적’으로 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판결과 동일한 기준으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어떠한 의료행위에 해당 암을 직접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목적과 예방목적이 병존하는 경우에도 암보험 약관상 암의 ‘직접적인 치료’에 해당되기 위해서는 해당 의료행위가 치료목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예방목적은 단지 이에 부수하는 차원에 머물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경, "표준약관조항은 보험자의 약관설명의무 면제대상인가? - 대법원 2013. 6. 28. 선고 2012다107051 판결 -" 한국법학회 (52) : 325-344, 2013

      2 최병규, "약관해석의 특수성과 제도운용방안" 한국경제법학회 13 (13): 67-92, 2014

      3 전한덕, "암입원보험금 사건과 관련한 법적 쟁점 연구" 한국소비자원 50 (50): 117-143, 2019

      4 김창호, "암보험 약관의 개선방안 연구- “암의 치료를 직접목적으로 하는 경우” 조항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6 (26): 405-450, 2013

      5 최병규, "암 해당 여부와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대법원 2018. 7. 24. 선고 2017다256828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법학회 17 (17): 87-110, 2018

      6 정진옥, "상해보험에 관한 입법론적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32 (32): 189-216, 2019

      7 정준아, "보험약관의 해석에 있어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 대법원 2018.7.24. 선고 2017다256828 판결 ⋅ 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다203395 판결 -" 한국소비자법학회 5 (5): 85-103, 2019

      8 임호산, "보험약관상 보험금 지급사유인 ‘장해상태’의 법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다43956(본소),43963(반소)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 (사)한국보험법학회 13 (13): 137-164, 2019

      9 최병규, "보험법상 수술의 개념과 작성자불이익원칙" 법학연구소 (32) : 419-441, 2015

      10 최기원, "보험법" 박영사 2002

      1 박은경, "표준약관조항은 보험자의 약관설명의무 면제대상인가? - 대법원 2013. 6. 28. 선고 2012다107051 판결 -" 한국법학회 (52) : 325-344, 2013

      2 최병규, "약관해석의 특수성과 제도운용방안" 한국경제법학회 13 (13): 67-92, 2014

      3 전한덕, "암입원보험금 사건과 관련한 법적 쟁점 연구" 한국소비자원 50 (50): 117-143, 2019

      4 김창호, "암보험 약관의 개선방안 연구- “암의 치료를 직접목적으로 하는 경우” 조항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6 (26): 405-450, 2013

      5 최병규, "암 해당 여부와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대법원 2018. 7. 24. 선고 2017다256828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법학회 17 (17): 87-110, 2018

      6 정진옥, "상해보험에 관한 입법론적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32 (32): 189-216, 2019

      7 정준아, "보험약관의 해석에 있어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 대법원 2018.7.24. 선고 2017다256828 판결 ⋅ 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다203395 판결 -" 한국소비자법학회 5 (5): 85-103, 2019

      8 임호산, "보험약관상 보험금 지급사유인 ‘장해상태’의 법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다43956(본소),43963(반소)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 (사)한국보험법학회 13 (13): 137-164, 2019

      9 최병규, "보험법상 수술의 개념과 작성자불이익원칙" 법학연구소 (32) : 419-441, 2015

      10 최기원, "보험법" 박영사 2002

      11 임용수, "보험법" 법률정보센터 2006

      12 박세민, "보험법" 박영사 2019

      13 유주선, "보험계약상 작성자불이익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상사판례학회 32 (32): 93-120, 2019

      14 김은경, "보험계약법" 보험연수원 2016

      15 남효순, "법률행위의해석의쟁점: 법률행위의해석의 본질 및 방법에 관하여"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41 (41): 2000

      16 한국소비자원보도자료, "대장암과갑상선암관련보험금을지급하지않는사례많아- 보험사가 자체적인 의료자문을 시행하거나, 약관상 면책사항을 설명하지 않아"

      17 "국립암센터"

      18 장덕조, "保險契約法上 偶然性의 槪念 및 立證責任" 한국보험학회 (85) : 133-160, 2010

      19 전별, "‘치료를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는 입원 및 수술’ 조항과 보험자의 약관 설명의무의 범위에 관한 고찰 : 상속권 및 재산분할청구권 인정 여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1 (41): 27-54, 2017

      20 통계청 보도자료,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21 보건복지부,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 참고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