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전자보험의 현황과 전망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형사책임을 중심으로 - =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Driver’s Insurance Policy: Focusing on the Criminal Responsibilit of Self-Driving Car Acc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5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iving a car provides convenience to humans, but it poses an essential risk due to the mass and speed of the car, so once a car accident occurs,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great. Automobiles are inherently dangerous tools and necessarily cause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losses of drivers and others, and caus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elief of victims who suffered unexpected accidents and bankruptcy of perpetrators.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not only liability for damages to others but also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such as revocation or suspension of a driver's license due to intentional or negligence of the driver, but also criminal penalties. In this case, the perpetrator can be reduced by making a criminal agreement with the victim, resulting in incentives to spend on criminal agreements with the victim, and demand to be guaranteed economic expenditure risks such as fine payment and legal expenses resulting from criminal proceedings.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insurance has been developed and sold to compensate for criminal settlements, lawyer appointment costs, and fines, which are driver insurance. In driver's insurance, if the insured, the perpetrator, makes a criminal agreement with the victim under certain requirements, it is set as a requirement for insurance payment, but many disputes arise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insurance payment requirements. As a result, this paper introduces disputes related to criminal agreements in driver insurance, analyzes the causes of disputes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and raises various issues such as who should be the subject of criminal agreements in the era of self-driving cars.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 insurance needs to evolve in preparation for this, as driver-centered criminal responsibility can expand and diversify the burden of criminal responsibility such as self-driving car manufacturers, software manufacturers and suppliers, external system providers, and self-driving system operators.
      번역하기

      Driving a car provides convenience to humans, but it poses an essential risk due to the mass and speed of the car, so once a car accident occurs,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great. Automobiles are inherently dangerous tools and necessarily cause the ...

      Driving a car provides convenience to humans, but it poses an essential risk due to the mass and speed of the car, so once a car accident occurs,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great. Automobiles are inherently dangerous tools and necessarily cause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losses of drivers and others, and caus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elief of victims who suffered unexpected accidents and bankruptcy of perpetrators.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not only liability for damages to others but also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such as revocation or suspension of a driver's license due to intentional or negligence of the driver, but also criminal penalties. In this case, the perpetrator can be reduced by making a criminal agreement with the victim, resulting in incentives to spend on criminal agreements with the victim, and demand to be guaranteed economic expenditure risks such as fine payment and legal expenses resulting from criminal proceedings.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insurance has been developed and sold to compensate for criminal settlements, lawyer appointment costs, and fines, which are driver insurance. In driver's insurance, if the insured, the perpetrator, makes a criminal agreement with the victim under certain requirements, it is set as a requirement for insurance payment, but many disputes arise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insurance payment requirements. As a result, this paper introduces disputes related to criminal agreements in driver insurance, analyzes the causes of disputes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and raises various issues such as who should be the subject of criminal agreements in the era of self-driving cars.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 insurance needs to evolve in preparation for this, as driver-centered criminal responsibility can expand and diversify the burden of criminal responsibility such as self-driving car manufacturers, software manufacturers and suppliers, external system providers, and self-driving system opera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의 운행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자동차의 질량과 속도에 의하여 본질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일단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인적 및 물적인 피해가 크다. 자동차는 본질상 위험한 도구로서 필수적으로 운전자 및 타인의 생명과 신체, 재산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불의의 사고를 입은 피해자의 구제 및 가해자의 파산 등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타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뿐만 아니라 운전자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행위로 인하여 운전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 등의 행정적 책임뿐만 아니라 일정한 중대한 과실 사고의 경우에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가해자는 피해자와 형사합의를 함으로써 양향을 감경 받을 수 있으므로 보통의 경우 피해자와 형사합의에 대한 비용을 지출할 유인이 발생하고, 벌금의 납부와 형사소송에 따른 법률비용 등의 경제적 지출위험을 보장받고자 할 수요가 생긴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고자 형사합의금, 변호사선임비용, 벌금 납부 비용을 보상하는 보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바로 운전자보험이 그것이다. 운전자 보험에서는 가해자인 피보험자가 피해자와 일정한 요건 하에 형사합의를 한 경우 보험금 지급요건으로 정하고 있는데 보험금 지급요건과 관련한 규정의 불명확성으로 분쟁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 보험의 형사합의금 관련 분쟁을 소개하고 분쟁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아보고, 나아가 자동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머지않아 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에서 형사합의의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하는지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자율주행시대에는 운전자 중심의 형사책임서 자율주행자동차 제조업자, 소프트웨어 제조업자 및 공급자, 외부시스템 제공자, 자율주행시스템 조작자 등 형사책임의 부담주체가 확대 다양화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 대비하여 운전자보험도 진화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자동차의 운행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자동차의 질량과 속도에 의하여 본질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일단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인적 및 물적인 피해가 크다. 자동차는 본...

      자동차의 운행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자동차의 질량과 속도에 의하여 본질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일단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인적 및 물적인 피해가 크다. 자동차는 본질상 위험한 도구로서 필수적으로 운전자 및 타인의 생명과 신체, 재산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불의의 사고를 입은 피해자의 구제 및 가해자의 파산 등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타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뿐만 아니라 운전자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행위로 인하여 운전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 등의 행정적 책임뿐만 아니라 일정한 중대한 과실 사고의 경우에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가해자는 피해자와 형사합의를 함으로써 양향을 감경 받을 수 있으므로 보통의 경우 피해자와 형사합의에 대한 비용을 지출할 유인이 발생하고, 벌금의 납부와 형사소송에 따른 법률비용 등의 경제적 지출위험을 보장받고자 할 수요가 생긴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고자 형사합의금, 변호사선임비용, 벌금 납부 비용을 보상하는 보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바로 운전자보험이 그것이다. 운전자 보험에서는 가해자인 피보험자가 피해자와 일정한 요건 하에 형사합의를 한 경우 보험금 지급요건으로 정하고 있는데 보험금 지급요건과 관련한 규정의 불명확성으로 분쟁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 보험의 형사합의금 관련 분쟁을 소개하고 분쟁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아보고, 나아가 자동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머지않아 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에서 형사합의의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하는지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자율주행시대에는 운전자 중심의 형사책임서 자율주행자동차 제조업자, 소프트웨어 제조업자 및 공급자, 외부시스템 제공자, 자율주행시스템 조작자 등 형사책임의 부담주체가 확대 다양화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 대비하여 운전자보험도 진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승, "제조물책임법" 법문사 2003

      2 이성남, "제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과 보험법의 대응 -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법적 쟁점, 향후 법적 과제에 관한 연구 -" (사)한국보험법학회 15 (15): 81-125, 2021

      3 민한빛, "자율주행차의 운행자성 및 운전자성 인정에 대한 시론(試論)" 법조협회 67 (67): 201-244, 2018

      4 이중기, "자율주행차의 법과 윤리" 박영사 2020

      5 이중기 ; 황창근, "자율주행차의 도입에 따른 ‘운전자’ 지위의 확대와 ‘운전자’의 의무 및 책임의 변화 -미시간 주와 독일의 최근 입법동향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347-390, 2017

      6 홍태석 ; 권양섭 ; 곽병선 ; 이종찬, "자율주행차 사고발생유형과 형사책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31-252, 2018

      7 이승준,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관련법상 운전자 개념 수정과 책임에 관한 시론(試論)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검찰청 (56) : 69-105, 2017

      8 맹준영, "자율주행자동차와 법적책임" 박영사 2020

      9 권영준 ; 이소은,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와 민사책임" 한국민사법학회 75 : 449-496, 2016

      10 황만성, "인공지능의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법과정책연구원 24 (24): 361-384, 2018

      1 권오승, "제조물책임법" 법문사 2003

      2 이성남, "제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과 보험법의 대응 -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법적 쟁점, 향후 법적 과제에 관한 연구 -" (사)한국보험법학회 15 (15): 81-125, 2021

      3 민한빛, "자율주행차의 운행자성 및 운전자성 인정에 대한 시론(試論)" 법조협회 67 (67): 201-244, 2018

      4 이중기, "자율주행차의 법과 윤리" 박영사 2020

      5 이중기 ; 황창근, "자율주행차의 도입에 따른 ‘운전자’ 지위의 확대와 ‘운전자’의 의무 및 책임의 변화 -미시간 주와 독일의 최근 입법동향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347-390, 2017

      6 홍태석 ; 권양섭 ; 곽병선 ; 이종찬, "자율주행차 사고발생유형과 형사책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31-252, 2018

      7 이승준,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관련법상 운전자 개념 수정과 책임에 관한 시론(試論)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검찰청 (56) : 69-105, 2017

      8 맹준영, "자율주행자동차와 법적책임" 박영사 2020

      9 권영준 ; 이소은,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와 민사책임" 한국민사법학회 75 : 449-496, 2016

      10 황만성, "인공지능의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법과정책연구원 24 (24): 361-384, 2018

      11 이규만, "운전자보험 약관 해석에 관한 타당성 검토 - 방어비용 담보 특별약관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8 (8): 365-397, 2014

      12 한기정, "보험법" 박영사 2018

      13 김종철, "로크의 재산(property)과 인격(person) : 로크의 재산 개념에 어떤 존재론적 함의가 있는가?" 한국정치학회 50 (50): 25-50, 2016

      14 김영환, "로봇 형법(Strafrecht für Roboter)?" 한국법철학회 19 (19): 143-168, 2016

      15 John Searle, "Minds, Brains, and Programs" 3 : 1980

      16 Sabine Gless, "If Robots Cause Harm, Who is to Blame? Self-Driving Cars and Criminal Liabil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19): 2016

      17 John Locke,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William Tegg & Co, Cheapside 18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