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3D 영화에서 돌출 공간의 의의와 활용 양식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Immergence Space in 3D Films and a Variety of U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3D 영화는 두 번의 황금기를 겪었고, 두 번 다 영화의 위기에 스펙터클을 앞세워서 위기에 대한 탈출구로 등장했다가 그 점이 한계가 되어 급격히 쇠퇴했다. 그래서 2008년 시작된 세 번째 황금기도 같은 결과가 되리라 여겨졌다. 그러나 2009년 <아바타>를 기점으로 주로 스펙터클 위주의 라이드 영화나 공포영화에 활용되었던 것을 넘어서서 장르를 불문하고 널리 시도되면서 다른 예측들도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아바타> 전에는 주로 돌출 공간을 사용하여 놀람 등의 감정적 충격을 주는 효과로 입체영화를 활용했다면 그 이후로는 스크린 너머의 후퇴 공간의 활용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입체공간만의 특권이라고도 할 수 있는 돌출 공간은 무언가가 튀어나와 놀라게 하는 것 이외의 의미를 지닐 수는 없는 것일까?이 연구에서는 우선 창과 거울로서의 스크린의 의미와 이를 위반하는 3D 영화의 돌출공간의 예외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TV 경험을 넘어서는 영화관 경험의 잠재성을 실험하던 50년대의 3D 영화에서 돌출 공간의 활용 양식을 <밀랍의 집>, <다이얼 M을 돌려라>, 그리고 <키스 미 케이트>의 분석을 통해 스펙터클로서의 3D 영화, 3D 영화의 모더니즘적 시도 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어서 현대 3D 영화에서 돌출 공간의 다양한 활용(몰입의 한계와 극복:내러티브와의 결합, 시각적 환영임을 드러내는 거리두기, 관객 공간으로의 침입:제4의 벽의 균열, 스펙터클로서의 매혹의 시네마, 환상씬에서 주관적 시점숏을 통한 동일시의 강화, 낯설고 매혹적인 혹은 치명적인 실재의 침입)을 <아바타>, <스트리트 댄스>, <휴고>, <라이프 오브 파이>, 그리고 <그래비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신분석적 분열된 주체의 영화적 구현이라는 새로운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제안한다.
      번역하기

      3D 영화는 두 번의 황금기를 겪었고, 두 번 다 영화의 위기에 스펙터클을 앞세워서 위기에 대한 탈출구로 등장했다가 그 점이 한계가 되어 급격히 쇠퇴했다. 그래서 2008년 시작된 세 번째 황...

      3D 영화는 두 번의 황금기를 겪었고, 두 번 다 영화의 위기에 스펙터클을 앞세워서 위기에 대한 탈출구로 등장했다가 그 점이 한계가 되어 급격히 쇠퇴했다. 그래서 2008년 시작된 세 번째 황금기도 같은 결과가 되리라 여겨졌다. 그러나 2009년 <아바타>를 기점으로 주로 스펙터클 위주의 라이드 영화나 공포영화에 활용되었던 것을 넘어서서 장르를 불문하고 널리 시도되면서 다른 예측들도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아바타> 전에는 주로 돌출 공간을 사용하여 놀람 등의 감정적 충격을 주는 효과로 입체영화를 활용했다면 그 이후로는 스크린 너머의 후퇴 공간의 활용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입체공간만의 특권이라고도 할 수 있는 돌출 공간은 무언가가 튀어나와 놀라게 하는 것 이외의 의미를 지닐 수는 없는 것일까?이 연구에서는 우선 창과 거울로서의 스크린의 의미와 이를 위반하는 3D 영화의 돌출공간의 예외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TV 경험을 넘어서는 영화관 경험의 잠재성을 실험하던 50년대의 3D 영화에서 돌출 공간의 활용 양식을 <밀랍의 집>, <다이얼 M을 돌려라>, 그리고 <키스 미 케이트>의 분석을 통해 스펙터클로서의 3D 영화, 3D 영화의 모더니즘적 시도 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어서 현대 3D 영화에서 돌출 공간의 다양한 활용(몰입의 한계와 극복:내러티브와의 결합, 시각적 환영임을 드러내는 거리두기, 관객 공간으로의 침입:제4의 벽의 균열, 스펙터클로서의 매혹의 시네마, 환상씬에서 주관적 시점숏을 통한 동일시의 강화, 낯설고 매혹적인 혹은 치명적인 실재의 침입)을 <아바타>, <스트리트 댄스>, <휴고>, <라이프 오브 파이>, 그리고 <그래비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신분석적 분열된 주체의 영화적 구현이라는 새로운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슬라보예 지젝,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새물결 2001

      2 박영석, "초기영화를 경유하여 디지털 지표성과 역사쓰기의 문제로: <휴고>가 디지털 영화 미학에 제기한 질문들" 영상예술학회 (24) : 177-205, 2014

      3 네이버 지식백과, "제4의 벽" 두산백과

      4 조해진, "입체영화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한국영화학회 (49) : 353-379, 2011

      5 안경민, "입체 영화 제작 연구 : 입체 영화 <아바타>의 연출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6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의 내레이션I" 시각과 언어 2007

      7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연감 2014"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8 알베르티, "알베르티의 회화론" 사계절출판사 1998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b 2014

      10 브루스 핑크, "라캉의 주체 :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도서출판b 2010

      1 슬라보예 지젝,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새물결 2001

      2 박영석, "초기영화를 경유하여 디지털 지표성과 역사쓰기의 문제로: <휴고>가 디지털 영화 미학에 제기한 질문들" 영상예술학회 (24) : 177-205, 2014

      3 네이버 지식백과, "제4의 벽" 두산백과

      4 조해진, "입체영화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한국영화학회 (49) : 353-379, 2011

      5 안경민, "입체 영화 제작 연구 : 입체 영화 <아바타>의 연출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6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의 내레이션I" 시각과 언어 2007

      7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연감 2014"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8 알베르티, "알베르티의 회화론" 사계절출판사 1998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b 2014

      10 브루스 핑크, "라캉의 주체 :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도서출판b 2010

      11 슬라보예 지젝,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 할리우드의 정신분석" 한나래 1997

      12 이동은, "공감각의 문화 혁명, 3D 입체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32) : 121-139, 2014

      13 Sandifer, Philip, "Out of the Screen and into the Theater : 3-D Film as Demo" 50 (50): 17-78, 2011

      14 Mets, Christian, "Identification, Mirror"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5 Hall, Sheldon, "Dial M for Murder" 16 (16): 243-255, 2004

      16 Paul, William, "Breaking the Fourth Wall: 'Belascoism', Modernism, and a 3-D " 16 (16): 229-242, 2004

      17 Gunning, Tom, "An Aesthetic of Astonishment: Early Film and the (In)Credulous Spectator"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8 전문선, "3D 입체영화 관람객 분석 - 영화 <퍼시픽 림> <위대한 개츠비>를 통해본 프레즌스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12 (12): 233-252, 2013

      19 금희조, "3D 입체 영상의 효과 :영화'아바타'의 실재감, 동일시 그리고 즐거움" 한국언론학회 54 (54): 27-48, 2010

      20 이선진, "3D 입체 애니메이션 영화의 카메라를 통한 깊이감 표현 연구 - <크리스마스 캐롤>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7 (7): 39-55, 2011

      21 김형래,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외국문학연구소 (41) : 83-11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29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