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에 의한 노자사상의 새로운 해석 = Laoz's Thought, A New Interpretation b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노자사상을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로 나누어서 해석하려고 한다. 이에 앞 논문 「노자사상, 에 의한 새로운 해석」에서 에 기대어 ‘현玄과 일一 그리고 무無와 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들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제 이 논문에서는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에 기대어서, 치세지도에서 무無와 유有 그리고 무불위無不爲와 유위有爲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 도로서 무불위’의 개념적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노자』?에서 55개 장구의 성인지도 내용과 29개 장구의 치세지도 내용을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로 그려 보여준다. 노자?11장과 40장의 내용으로 치세지도에서 무와 유의 개념을 논의함에 그 구체적인 개념을 현실 생활 속에서 ‘공공성과 개별성’으로 잡아냈으며,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3장과 80장의 내용과 관련지어서 ‘좁고 낮은 공공재’라는 ‘소박한 무’에 의한 성인의 無爲之事와 不言之敎 그리고 ‘좁고 낮은 개별재’라는 ‘소박한 유’에 의한 백성의 自化?自正?自富?自樸’을 말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무불위와 유위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도로서 무불위의 관계를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무위와 무불위의 관계를 이해함에, 첫 번째 무위에서 가치개입에 관한 문제 그리고 두 번째 無爲而無不爲와 無不爲而無爲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나아가서 無爲而無不爲에 깊이 관련된 박樸의 개념을, 28장의 復歸於樸? 32장의 無名과 樸?37장의 無名之樸에 관련된 노자의 글과 왕필 주석에 기대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렇게 두 논문에 걸쳐서 노자사상을 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에 기대어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로 나누어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다음 논문에서는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를 서로 함께 관련지우고 총체적으로 정리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미를 살펴보겠다.
      번역하기

      필자는 노자사상을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로 나누어서 해석하려고 한다. 이에 앞 논문 「노자사상, 에 의한 새로운 해석」에서 에 기대어 ‘현玄과 일一 그리고 무無와 유有’를 비...

      필자는 노자사상을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로 나누어서 해석하려고 한다. 이에 앞 논문 「노자사상, 에 의한 새로운 해석」에서 에 기대어 ‘현玄과 일一 그리고 무無와 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들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제 이 논문에서는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에 기대어서, 치세지도에서 무無와 유有 그리고 무불위無不爲와 유위有爲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 도로서 무불위’의 개념적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노자』?에서 55개 장구의 성인지도 내용과 29개 장구의 치세지도 내용을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로 그려 보여준다. 노자?11장과 40장의 내용으로 치세지도에서 무와 유의 개념을 논의함에 그 구체적인 개념을 현실 생활 속에서 ‘공공성과 개별성’으로 잡아냈으며,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3장과 80장의 내용과 관련지어서 ‘좁고 낮은 공공재’라는 ‘소박한 무’에 의한 성인의 無爲之事와 不言之敎 그리고 ‘좁고 낮은 개별재’라는 ‘소박한 유’에 의한 백성의 自化?自正?自富?自樸’을 말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무불위와 유위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도로서 무불위의 관계를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무위와 무불위의 관계를 이해함에, 첫 번째 무위에서 가치개입에 관한 문제 그리고 두 번째 無爲而無不爲와 無不爲而無爲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나아가서 無爲而無不爲에 깊이 관련된 박樸의 개념을, 28장의 復歸於樸? 32장의 無名과 樸?37장의 無名之樸에 관련된 노자의 글과 왕필 주석에 기대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렇게 두 논문에 걸쳐서 노자사상을 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에 기대어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로 나누어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다음 논문에서는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를 서로 함께 관련지우고 총체적으로 정리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미를 살펴보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discuss concretely and minutely Laoz'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ints, the Tao of Nature(天地之道).the Tao of Saint(聖人之道)?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I devise an idea which draw two figures; and . At the proceeding my paper, I interpreted newly for Laoz's thought relying on . So I studied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of Laoz's Heyn玄?Il一?Mu無?Yu有 …… etc. And now this paper, I interpret newly for Laoz's thought by 'figure th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So I study concretely and minutely conceptual relation at Mu無(NoBeing) & Yu有(Being) and Mubulwe無不爲(NotNoAction) & Yuwe有爲(BeingAction) in the Tao of Government, and study concretely and minutely conceptual relation between Muwe無爲(NoAction) as the Tao of Saint & Mubulwe無不爲 as the Tao of Government. The Publicity by various public establishments and places or public affairs & the Privatisity by various private establishments and places or private affairs, I interpret the Publicity for Laoz's Mu無 and interpret the Privatisity for Laoz's Yu有. Going one step forward, I interpret that Laoz insist "the Saint give people Muwe無爲 and Bulun不言(NoLanguage) as 'humble Mu無' called 'narrow and low Publicity' at small country living a minority race(小國寡民) as the Tao of Saint(聖人之道), and People are living at self-naturation(自化)? self-frankness(自正)?self-satisfaction(自富)?self-simplelife(自樸) as 'humble Yu 有' called 'narrow and low Privatisity' by chapter 3 and chapter 80 representing 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Based on this, I discuss concretely and minutely with differences of Mubulwe無不爲&Yuwe有爲 and conceptual relation between Muwe無爲 as the Tao of Saint & Mubulwe無不爲 as the Tao of Government. Following up with this, I discuss minutely a concept of 樸 (simplelife); 復歸於樸 of chapter 28?無名 and 樸 of chapter 32?無名之樸 of chapter 37 relying on phrases of Laoz and Wang pil's annotation. Like this, I interpreted newly for Laoz's thought by two papers, relying on 'figure the Tao of Nature' and 'figure th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At my following next papers, I will interpret newly for Laoz's thought by totally relating and arranging the Tao of Nature(天地之道).the Tao of Saint(聖人之道).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번역하기

      I discuss concretely and minutely Laoz'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ints, the Tao of Nature(天地之道).the Tao of Saint(聖人之道)?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I devise an idea which draw two figures; and . At the proceeding my p...

      I discuss concretely and minutely Laoz'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ints, the Tao of Nature(天地之道).the Tao of Saint(聖人之道)?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I devise an idea which draw two figures; and . At the proceeding my paper, I interpreted newly for Laoz's thought relying on . So I studied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of Laoz's Heyn玄?Il一?Mu無?Yu有 …… etc. And now this paper, I interpret newly for Laoz's thought by 'figure th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So I study concretely and minutely conceptual relation at Mu無(NoBeing) & Yu有(Being) and Mubulwe無不爲(NotNoAction) & Yuwe有爲(BeingAction) in the Tao of Government, and study concretely and minutely conceptual relation between Muwe無爲(NoAction) as the Tao of Saint & Mubulwe無不爲 as the Tao of Government. The Publicity by various public establishments and places or public affairs & the Privatisity by various private establishments and places or private affairs, I interpret the Publicity for Laoz's Mu無 and interpret the Privatisity for Laoz's Yu有. Going one step forward, I interpret that Laoz insist "the Saint give people Muwe無爲 and Bulun不言(NoLanguage) as 'humble Mu無' called 'narrow and low Publicity' at small country living a minority race(小國寡民) as the Tao of Saint(聖人之道), and People are living at self-naturation(自化)? self-frankness(自正)?self-satisfaction(自富)?self-simplelife(自樸) as 'humble Yu 有' called 'narrow and low Privatisity' by chapter 3 and chapter 80 representing 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Based on this, I discuss concretely and minutely with differences of Mubulwe無不爲&Yuwe有爲 and conceptual relation between Muwe無爲 as the Tao of Saint & Mubulwe無不爲 as the Tao of Government. Following up with this, I discuss minutely a concept of 樸 (simplelife); 復歸於樸 of chapter 28?無名 and 樸 of chapter 32?無名之樸 of chapter 37 relying on phrases of Laoz and Wang pil's annotation. Like this, I interpreted newly for Laoz's thought by two papers, relying on 'figure the Tao of Nature' and 'figure th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At my following next papers, I will interpret newly for Laoz's thought by totally relating and arranging the Tao of Nature(天地之道).the Tao of Saint(聖人之道).the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 들어가는 말
      • II . 에서 무위와 무불위
      • III . 치세지도에서 무와 유 그리고 무불위
      • IV .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도로서 무불위
      • V . 맺음말
      • I . 들어가는 말
      • II . 에서 무위와 무불위
      • III . 치세지도에서 무와 유 그리고 무불위
      • IV . 성인지도로서 무위와 치세지도로서 무불위
      • V .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