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건설사업에서 조경 감리의 품질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Landscaping Supervision Quality Control and Improvement Measures in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4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system by examining the adequacy of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facilities in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ite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of landscaping supervision and to provide the evidence for legislative activities and revision of the laws currently being pushed forward for the mandatory deployment of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deployed to apartment complexes with less than 1,500 households and that the landscaping comprised 19% to 46%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The civil engineering firm performed the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made it impracticable to fully focus on the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The quality control in terms of landscape plants revealed differences in quality control, depending on the competence and experience of the civil engineer supervising the personnel, where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not deployed. The apartment houses landscaping supervision activity index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ion activity index for apartment house A was 72.0, B was 70.4, and apartment houses C to G ranged from 38.7 to 46.9, which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quality control, process control, and technical support affected the construction quality and occurrence of defects.The improvement of landscaping process quality control and process management will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and the rate of defects will be drastically reduced if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placement threshold is lowered from 1,500 households to 300 households in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moting and re-establishing the landscaping industr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system by examining the adequacy of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facilities in a...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system by examining the adequacy of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facilities in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ite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of landscaping supervision and to provide the evidence for legislative activities and revision of the laws currently being pushed forward for the mandatory deployment of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deployed to apartment complexes with less than 1,500 households and that the landscaping comprised 19% to 46%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The civil engineering firm performed the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made it impracticable to fully focus on the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The quality control in terms of landscape plants revealed differences in quality control, depending on the competence and experience of the civil engineer supervising the personnel, where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not deployed. The apartment houses landscaping supervision activity index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ion activity index for apartment house A was 72.0, B was 70.4, and apartment houses C to G ranged from 38.7 to 46.9, which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quality control, process control, and technical support affected the construction quality and occurrence of defects.The improvement of landscaping process quality control and process management will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and the rate of defects will be drastically reduced if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placement threshold is lowered from 1,500 households to 300 households in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moting and re-establishing the landscaping industr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동주택 조경현장에서 조경식재 및 시설물의 품질개선, 하자저감을 위한 조경 감리활동의 적정성과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동주택 조경 감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현재 추진 중인 공동주택 조경 감리원 배치의무화 법령 개정을 위한 입법 활동의 근거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0년대 준공된 공동주택의 최종 감리보고서에서 조경시공분야 시공관리 및 품질관리 내역을 추출하고, 공동주택 조경분야 감리/감독 지침에 의거한 시공 및 품질관리 활동이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계량화하였다. 분석결과, 1,50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 단지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았고, 조경 공정은 전체 공정의 19~46%를 차지하였으나, 토목 감리원이 조경 감리를 병행 수행하여, 조경분야 시공품질 관리를 위해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조경식재 분야 시공품질 관리업무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단지에서는 토목 감리원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품질관리에 차이가 있었고, 조경시설물의 공통자재 시공분야는 토목감리 업무와 연계하여 시공품질관리 업무가 충분히 진행되었으나, 단위시설물 설치분야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에서는 놀이시설안전관리법 등 법령에서 정한 시설품질기준 및 설치안전기준 부합 여부에 대한 현장검측을 생략하거나 서면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조경 감리활동 지수 분석 결과, 공동주택 A가 72.0, 공동주택 B는 70.4이었고, 공동주택 C~G는 38.7~46.9 수준으로, 조경 감리원의 배치 유무에 따라 품질관리, 공정관리, 기술지원의 차이가 시공품질, 하자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경감리원 배치 기준을 기존의 1,500세대 이상에서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조경분야 기술인력의 확대 배치를 통한 조경공정의 품질관리 증진, 건설 현장의 원가관리, 공정관리가 원활하게 되며, 하자 발생율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 건설에서 조경분야의 시공품질의 질적 개선과 조경 기술인력의 활동영역 확대, 조경분야 감리 인력의 배치 활성화, 조경업역의 제자리 찾기를 통한 조경산업의 진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동주택 조경현장에서 조경식재 및 시설물의 품질개선, 하자저감을 위한 조경 감리활동의 적정성과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동주택 조경 감리제도의 개선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조경현장에서 조경식재 및 시설물의 품질개선, 하자저감을 위한 조경 감리활동의 적정성과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동주택 조경 감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현재 추진 중인 공동주택 조경 감리원 배치의무화 법령 개정을 위한 입법 활동의 근거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0년대 준공된 공동주택의 최종 감리보고서에서 조경시공분야 시공관리 및 품질관리 내역을 추출하고, 공동주택 조경분야 감리/감독 지침에 의거한 시공 및 품질관리 활동이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계량화하였다. 분석결과, 1,50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 단지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았고, 조경 공정은 전체 공정의 19~46%를 차지하였으나, 토목 감리원이 조경 감리를 병행 수행하여, 조경분야 시공품질 관리를 위해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조경식재 분야 시공품질 관리업무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단지에서는 토목 감리원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품질관리에 차이가 있었고, 조경시설물의 공통자재 시공분야는 토목감리 업무와 연계하여 시공품질관리 업무가 충분히 진행되었으나, 단위시설물 설치분야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에서는 놀이시설안전관리법 등 법령에서 정한 시설품질기준 및 설치안전기준 부합 여부에 대한 현장검측을 생략하거나 서면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조경 감리활동 지수 분석 결과, 공동주택 A가 72.0, 공동주택 B는 70.4이었고, 공동주택 C~G는 38.7~46.9 수준으로, 조경 감리원의 배치 유무에 따라 품질관리, 공정관리, 기술지원의 차이가 시공품질, 하자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경감리원 배치 기준을 기존의 1,500세대 이상에서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조경분야 기술인력의 확대 배치를 통한 조경공정의 품질관리 증진, 건설 현장의 원가관리, 공정관리가 원활하게 되며, 하자 발생율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 건설에서 조경분야의 시공품질의 질적 개선과 조경 기술인력의 활동영역 확대, 조경분야 감리 인력의 배치 활성화, 조경업역의 제자리 찾기를 통한 조경산업의 진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원, "한국 남부지방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의 후박나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 (20): 77-96, 2017

      2 오상환, "소방설비 분야의 책임감리 범위에 관한 비교연구- 전기감리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291-308, 2013

      3 고운정, "상주 소방감리 배치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4 Song, Y. H., "Study 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g University 1999

      5 KEITI, "Smart Growth Solutions for Climate Change Adap tation and Resilience" KEITI 2017

      6 Park, G. H.,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Appropriate Supervision Work" The Graduate School of Kyemyeong University 2004

      7 Kang, W. 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apartment housing supervision system" 2010 (2010): 1-30, 2010

      8 "Landscape Times"

      9 "Landscape Times"

      10 "Lafent"

      1 이기원, "한국 남부지방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의 후박나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 (20): 77-96, 2017

      2 오상환, "소방설비 분야의 책임감리 범위에 관한 비교연구- 전기감리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291-308, 2013

      3 고운정, "상주 소방감리 배치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4 Song, Y. H., "Study 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g University 1999

      5 KEITI, "Smart Growth Solutions for Climate Change Adap tation and Resilience" KEITI 2017

      6 Park, G. H.,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Appropriate Supervision Work" The Graduate School of Kyemyeong University 2004

      7 Kang, W. 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apartment housing supervision system" 2010 (2010): 1-30, 2010

      8 "Landscape Times"

      9 "Landscape Times"

      10 "Lafent"

      11 Korea Landscape Association, "Lafent"

      12 MOLIT, "Housing Welfare Roadmap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13 MOLIT, "Housing Construction & Management Manua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14 ELA, "Env ironment and Landscapearchitecture"

      15 LH, "Construction Work Smart Handbook: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Book Press 1-458, 2019

      16 MOLIT,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17 Ju, C. O., "An Improved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 Projects? Considering the Types of Apartment" The Graduate School of Jung-ang University 2000

      18 Lee, K. J., "A study on the judgment of tree damage by environmental pollutants" 91 (91): 20-22, 1991

      19 Seo, K. J.,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Inspector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Jeonnam University 1998

      20 Kim, S. S.,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ire Safety Supervision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i University 2019

      21 An, Y. C.,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pervision System of Construction"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01

      22 Oh, S. D., "A Study on Improving the System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ervices"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1994

      23 Bae, J. U., "A Study on Improvement of Supervision System for Multi-Family Housing Construction- Through the Survey of Experts related to Supervisio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8

      24 Lee, E. Y., "A Study on Guideline for Healing Landscape Planning in the Apartment Complex" Land & Housing Institute 2017

      25 Lee, S. H., "A Study on Adjustment and Fee Standards of the Fire-Figh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Services" The Graduate School of Yeonse University 2010

      26 Kim, J. C., "A Feasibility Study on Planting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Coastal Area of Gyeonggi bay, In Korea" Graduate School of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8

      27 Park, K. Y., "2019’ Real Estate Trends: 2019 Residential Facility and Real Estate Perception Survey" R2 Korea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