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 대상 자기조절 연구의 국내 최근 동향 분석 = Self-regulation Research in Korea: Review and Crit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3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and implication for adult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cent literature that has been focused on self-regulation of adults. Specifically, 112 articles were reviewed which were published in the maj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journal index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2000 to 2008 to investigate the trend and the major findings in self-regulation of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search themes reduced into 4 categories; (1) developing theoretical framework and models including defining constructs, and development pattern of self-regulation (2) measuring self-regulation (3) educating self-regulation (4)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ther variable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on self-regulation of adults has been actively published in several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In addition, the most popular theme of research was the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ther variables.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ion of adults from slef-regulation of children. Finally, it was suggeste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adult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and implication for adult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cent literature that has been focused on self-regulation of adults. Specifically, 112 articles were reviewed which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and implication for adult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cent literature that has been focused on self-regulation of adults. Specifically, 112 articles were reviewed which were published in the maj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journal index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2000 to 2008 to investigate the trend and the major findings in self-regulation of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search themes reduced into 4 categories; (1) developing theoretical framework and models including defining constructs, and development pattern of self-regulation (2) measuring self-regulation (3) educating self-regulation (4)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ther variable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on self-regulation of adults has been actively published in several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In addition, the most popular theme of research was the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other variables.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ion of adults from slef-regulation of children. Finally, it was suggeste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adult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의 국내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동향의 변화를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성인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교육 및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발표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 중 11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는 교육심리연구, 교육공학연구, 한국심리학회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고, 둘째, 자기조절 연구의 주요 주제는 크게 자기조절의 개념과 모형화, 자기조절의 측정 및 도구개발, 자기조절 교육방법과 효과성, 기타 변인과의 관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자기조절과 관련된 기타 변인들의 연구가 전체 연구의 67.9%를 차지하는 주요 연구 주제였다. 셋째, 성인의 자기조절 연구는 국외와 유사한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성인의 고유한 자기조절의 특성을 다루는 연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내용과 관련된 자기조절의 측정 및 도구개발, 자기조절 교육방법과 효과성, 기타 변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향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의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의 국내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동향의 변화를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성인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의 국내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동향의 변화를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성인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교육 및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발표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 중 11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는 교육심리연구, 교육공학연구, 한국심리학회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고, 둘째, 자기조절 연구의 주요 주제는 크게 자기조절의 개념과 모형화, 자기조절의 측정 및 도구개발, 자기조절 교육방법과 효과성, 기타 변인과의 관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자기조절과 관련된 기타 변인들의 연구가 전체 연구의 67.9%를 차지하는 주요 연구 주제였다. 셋째, 성인의 자기조절 연구는 국외와 유사한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성인의 고유한 자기조절의 특성을 다루는 연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내용과 관련된 자기조절의 측정 및 도구개발, 자기조절 교육방법과 효과성, 기타 변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향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 연구의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덕웅, "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변화:30년간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49-67, 2003

      2 문병상, "학업적 자기조절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13 (13): 239-260, 2000

      3 김형수, "학습자 특성 및 적용 영역별 인지학습전략의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37 (37): 43-74, 2006

      4 배영주,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97-119, 2008

      5 정진원,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성향에 관한 고찰- 중등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197-225, 2004

      6 박혜옥, "프로젝트(Project)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91-210, 2007

      7 한지영,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64-75, 2008

      8 박홍균, "컴퓨터 기반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습방법이 학습과정과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7 (7): 1-16, 2001

      9 서은희, "지연행동가들의 불안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613-626, 2007

      10 정현미, "지식생산공동체 설계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19 (19): 3-39, 2003

      1 한덕웅, "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변화:30년간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49-67, 2003

      2 문병상, "학업적 자기조절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13 (13): 239-260, 2000

      3 김형수, "학습자 특성 및 적용 영역별 인지학습전략의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37 (37): 43-74, 2006

      4 배영주,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97-119, 2008

      5 정진원,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성향에 관한 고찰- 중등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197-225, 2004

      6 박혜옥, "프로젝트(Project)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91-210, 2007

      7 한지영,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1 (11): 64-75, 2008

      8 박홍균, "컴퓨터 기반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습방법이 학습과정과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7 (7): 1-16, 2001

      9 서은희, "지연행동가들의 불안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613-626, 2007

      10 정현미, "지식생산공동체 설계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19 (19): 3-39, 2003

      11 배을규, "중산층 전업주부의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 특성"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261-300, 2006

      12 김교헌,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63-105, 2006

      13 김교헌,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667-693, 2007

      14 이서정,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887-905, 2008

      15 육근영,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자아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47-65, 2006

      16 문병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이 수학문장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소 13 (13): 67-86, 2000

      17 권성연,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한국교육학회 41 (41): 11-273, 2003

      18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1 (21): 77-100, 2005

      1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과 특질과의 관련성 검토: MBTI 성격 차원과 학습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43-1064, 2005

      20 박승호, "자기조절학습과 동기: 초동기와 의지통재의 교육적함의"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95-114, 2004

      21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훈련이 초등 아동의 읽기 및 쓰기 교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83-203, 2002

      22 김재휘, "인터넷 일탈행동 및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3 (3): 91-110, 2002

      23 남정권, "웹기반학습환경에서 집단유형과 과제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효과에 관한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17 (17): 19-38, 2005

      24 양용칠,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을 지원하는 교수설계 전략의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20 (20): 3-23, 2004

      25 천희영, "웹기반 교육에서의 예비 유아교사의 학습자 특성과 학습효과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학회 25 (25): 163-176, 2004

      26 정화영, "웹 서비스 기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의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 (11): 79-87, 2008

      27 한건우,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적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7 (7): 23-32, 2004

      28 정영란,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9 (19): 87-115, 2003

      29 임철일, "웹 기반 자기 조절 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17 (17): 53-83, 2001

      30 임철일, "웹 기반 자기 조절 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및 운영 전략이 자기 조절 학습 수준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18 (18): 3-23, 2002

      31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32 유진, "우수무용수들의 자기조절 전략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7 (17): 167-180, 2006

      33 신종호, "아동용 인과추론능력검사 개발 예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367-384, 2008

      34 김교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159-179, 2002

      35 조용래, "시험불안에서 상위인지의 역할: 우울수준, 실수에 대한 완벽주의적 염려, 학습기술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영향을 넘어서"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709-727, 2008

      36 안정숙, "스트레스, 성격특성과 우울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기 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813-832, 2007

      37 권혁일, "수행평가를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 : 웹 기반 전자포트폴리오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18 (18): 51-78, 2002

      38 남승규, "소비자 자기조절 모형과 충동구매행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6 (6): 61-77, 2005

      39 이경아,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전략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0 (10): 19-45, 2004

      40 이정희,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자기주도학습과 학습접근방식 차이"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25-149, 2007

      41 성현숙, "성인학습자 집단간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동기의 차이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33-354, 2003

      42 고영건, "성숙한 억제로서의 한의 삭힘: 암 환자들의 정서적 대처를 위한 시사점"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1003-1026, 2004

      43 장은영, "사회비교의 목표, 대상 및 결과가 비교대상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65-89, 2004

      44 이인숙, "사이버공간에서 나타나는 학습전략의 성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16 (16): 179-199, 2000

      45 조긍호, "문화성향과 통제 양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7 (17): 85-106, 2003

      46 김은영, "동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99-117, 2006

      47 하영자, "동기변인 및 자기조절학습 수행력과 온라인 직무교육 학습효과의 관계" 한국교육공학회 22 (22): 57-82, 2006

      48 김희수,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인지양식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37 (37): 1-21, 2006

      49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59-184, 2005

      50 김민희, "노년기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의 특징" 한국심리학회 23 (23): 1-21, 2004

      51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75-98, 2004

      52 박중길, "교양체육참가 대학생의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이 내적동기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1-20, 2007

      53 김아영, "교실에서의 동기"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36, 2003

      54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19 (19): 41-68, 2003

      55 Perry,N.E., "Young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ntexts that support it" 90 (90): 715-729, 1998

      56 Wolters,C.A., "Understanding procrastination from a self-regulated learning perspective" 95 (95): 179-187, 2003

      57 Miller, D. C., "To achieve or not to achieve: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on adolescents' academic decision making" 93 (93): 677-685, 2001

      58 Carver, C. S., "Themes and issues i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In J. R. S. Wyer (Ed.),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Vol. 12)" Mahwah, NJ: Erlbaum 1-105, 1999

      59 Bandura, A., "The transmission of patterns of self-reinforcement through modeling" 1-9, 1964

      60 Butler,D.L., "The strategic content learning approach to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A report of three studies" 90 (90): 682-697, 1998

      61 Schunk,D.H., "The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199-218, 1984

      62 Corno,L., "The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11 (11): 333-346, 1986

      63 Mischel, W., "The influence of models in modifying delay of gratification patterns" 698-705, 1965

      64 Shah,J.Y, "The automatic pursuit and management of goals" 14 (14): 10-13, 2005

      65 Rothbart, M., "Temperament. In N. Eisen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5th ed.) (Vol. 3)" New York: Wiley 105-176, 1998

      66 Winne, P. H.,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with gStudy software: The learning kit project" 105-113, 2006

      67 Zimmerman, B. J.,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82 (82): 51-59, 1990

      68 Bandura, A., "Some social determinants of self-monitoring reinforcement systems" 449-455, 1967

      69 Schwarzer,R., "Social-cognitive factors in changing health-related behaviors" 10 (10): 47-51, 2001

      70 Zimmerman,B.J., "Social learning theory and cognitive constrnctivism. In E. Sigel, D. M. Brodzinsky & R. M. Golinkoff (Eds.), New directions in Piagetian theory and practice" Hillsdale, NJ: Erlbaum 39-49, 1981

      71 Bandura,A., "Social learning theory" New York:General Learning Press. 1977

      72 Bandura,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1986

      73 Schunk, D. H,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NY: Springer-Verlag 83-110, 1989

      74 Ewart,C.K., "Social action theory for a public health psychology" 46 (46): 931-946, 1991

      75 Rasmussen, H. N., "Self-regulation processes and health: The importance of optimism and goal adjustment" 74 (74): 1721-1747, 2006

      76 Zimmerman,B.J., "Self-regulation involves more than metacogni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30 (30): 217-221, 1995

      77 Keith, N., "Self-regulation in error management training: Emotion control and metacognition as mediators of performance effects" 90 (90): 677-691, 2005

      78 Baumeister, R. F., "Self-regulation failure: An overview" 1-15, 1996

      79 Koestner, R., "Self-regu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attitudes, traits, and behaviors" 52-59, 1992

      80 Ablard, K. E., "Self-regulated learning in high-achieving students: Relations to advanced reasoning, achievement goals, and gender" 90 (90): 94-101, 1998

      81 Bandura, A., "Self-evaluative and self-efficacy mechanisms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s of goal systems" 1017-1028, 1983

      82 Bandura,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83 Bandura,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84 Pintrich, P. R.,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801-813, 1991

      85 Carver, C. S., "Principles of self-regulation: Action and emotion. In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2)" New York, NY: Guilford Press 3-52, 1990

      86 Schunk,D.H., "Participation in goal-setting: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347-369, 1985

      87 Carver, C. S., "O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Mahwah, NJ: Erlbaum 1998

      88 Pintrich,P.R.,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3-12, 1995

      89 Vollmeyer, R., "Motivational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with different tasks" 18 (18): 239-253, 2006

      90 Hyland,M.E., "Motivational control theory: An integrative framework" 55 : 642-651, 1988

      91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33-40, 1989

      92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93 Schunk, D. H.,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 Hall 2008

      94 Karoly,P., "Mechanisms of self-regulation: A systems view. In L. W. Porter & M. R. Rosenzweig (Ed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44)" Palo Alto, CA: Annual Reviews 23-52, 1993

      95 Turner,J.C., "Measuring self-regulation: A focus on activity" 18 (18): 293-296, 2006

      96 Ainley, M., "Measuring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es through tracking patterns of student interaction with achievement activities" 18 (18): 267-286, 2006

      97 Howard-Rose, D., "Measuring component and sets of cognitive processes in self-regulated learning" 85 (85): 591-604, 1993

      98 Perry, N. E., "Learning from learning kits: gStudy traces of students' self-regulated engagements with computerized content" 18 (18): 211-228, 2006

      99 허경미, "Learning Experiences of Adult Bloggers as Self-Regulated Learners"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249-279, 2007

      100 梁明姬, "LISREL을 이용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59-290, 2002

      101 Perry,N.E., "Introduction: Using qualitative methods to enrich understandings of self-regulated learning" 37 (37): 1-3, 2002

      102 Webb, T. L., "Integrating concepts from goal theories to understand the achievement of personal goals" 35 (35): 69-96, 2005

      103 박영신,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8 (8): 105-135, 2002

      104 Siegler, R. S., "How children develop" New York:Worth Publishers 2003

      105 Baumeister, R. F.,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2004

      106 Hofer,M., "Goal conflicts and self-regulation: A new look at pupils' off-task behaviour in the classroom" 2 (2): 28-38, 2007

      107 Hein, V., "Global self-esteem, goal achievement orientations, and self-determined behavioral regulations in a physical education setting" 25 (25): 149-159, 2007

      108 Winne,P.H., "Experimenting to bootstrap self-regulated learning" 89 (89): 397-410, 1997

      109 Baumeister,R.F., "Esteem threat, self-regulatory breakdown, and emotional distress as factors in self-defeating behavior" 1 (1): 145-174, 1997

      110 Ntoumanis,N., "Empirical links between achievement goal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in sport" 19 (19): 397-409, 2001

      111 Zimmerman, B. J., "Effects of model persistence and statements of confidence on children's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485-493, 1981

      112 이현주, "Effects of goal relations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multiple goal setting: Self-regulated performance, process, and task enjoyment" 서울대학교 2009

      113 Bandura, A.,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56 (56): 805-814, 1989

      114 Azevedo, R., "Does adaptive scaffolding facilitate students' ability to regulate their learning with hypermedia? Contemporary Educational" 29 (29): 344-370, 2004

      115 Bandura, A.,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 reactive influ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92-113, 1986

      116 Zimmerman, B. J., "Developmental phases in self-regulation: Shifting from process goals to outcome goals" 89 (89): 29-36, 1997

      117 Purdie, N., "Cultural differences in the use of strategi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33 (33): 845-871, 1996

      118 Bandura, A.,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586-598, 1981

      119 Zimmerman, B. J.,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0 (80): 284-290, 1988

      120 Thoresen, C. E., "Behavioral self-control"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74

      121 Zimmerman,B.J.,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11 (11): 307-313, 1986

      122 Carver, C. S., "Attention and self-regulation:A control-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New York:Springer-Verlag 1981

      123 Zimmerman,B.J.,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Academic Press 13-39, 2000

      124 Cascallar, E., "Assessment in the evaluation of self-regulation as a process" 18 (18): 297-306, 2006

      125 Kopp,C.B.,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18 (18): 199-214, 1982

      126 Zimmerman,B.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127 Evensen, D. H., "A qualitative study of six medical students in a problem-based curriculum: Toward a situated model of self-regulation" 93 (93): 659-676, 2001

      128 Post, Y., "A historical examination of self-regulation: Helping children now and in the future" 34 (34): 5-14, 2006

      129 Pintrich,P.R., "A conceptual framework for assess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16 (16): 385-407, 2004

      130 권성연, "2x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13-24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