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응애와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Pyflubumide의 선택성 검정 = Evaluation of Selectivity of Pyflubumide to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womersleyi, and its Prey, Tetranychus kanzawai (Acari: Phytoseiidae, Tetranychid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7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와 차응애의 pyflubumide에 대한 선택성을 검정하기 위해 농도별로 직접 처리한 결과, pyflubumide는 차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실험작물보호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50∼12.5 ppm의 처리 168시간 후에 72-92%의 개체들이 생존하였다. 암컷 성충은 무처리에 비해 70.1∼89.1%의 산란수를 보였으며,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영향이 없었다. 실험 작물보호제의 직접 처리는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약충은 pyflubumide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50∼12.5 ppm 처리에서 72-94%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 농도라 할 수 있는 12.5∼16.7 ppm 처리의 pyflubumide는 차응애의 종합관리 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차응애의 밀도 비율 조절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와 차응애의 pyflubumide에 대한 선택성을 검정하기 위해 농도별로 직접 처리한 결과, pyflubumide는 차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와 차응애의 pyflubumide에 대한 선택성을 검정하기 위해 농도별로 직접 처리한 결과, pyflubumide는 차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실험작물보호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50∼12.5 ppm의 처리 168시간 후에 72-92%의 개체들이 생존하였다. 암컷 성충은 무처리에 비해 70.1∼89.1%의 산란수를 보였으며,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영향이 없었다. 실험 작물보호제의 직접 처리는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약충은 pyflubumide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50∼12.5 ppm 처리에서 72-94%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 농도라 할 수 있는 12.5∼16.7 ppm 처리의 pyflubumide는 차응애의 종합관리 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차응애의 밀도 비율 조절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lectivity of pyflubumide to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womersleyi, and its prey, Tetranychus kanzawai, was evaluated. Pyflubumide was much less toxic to N. womersleyi than to T. kanzawai.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adult females of N. womersleyi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yflubumide, 72 ∼92% of predators survived for 168 h after topical treatments of 50∼12.5 ppm. The oviposition of the predators exposed to pyflubumide was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treated females produced 70.1∼89.1% as many eggs as females in the control, and the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as unaffected. The topical treatments of pyflubumi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atching of N. womersleyi eggs. The survival of N. womersleyi nymph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yflubumide, but 72∼94% of the predators survived at the concentrations tested. Based on these results, pyflubumide at selective sublethal concentrations (i.e., 12.5∼ 16.7 ppm) can help adjust the prey/predator ratio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 kanzawai.
      번역하기

      The selectivity of pyflubumide to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womersleyi, and its prey, Tetranychus kanzawai, was evaluated. Pyflubumide was much less toxic to N. womersleyi than to T. kanzawai.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adult females of N. wom...

      The selectivity of pyflubumide to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womersleyi, and its prey, Tetranychus kanzawai, was evaluated. Pyflubumide was much less toxic to N. womersleyi than to T. kanzawai.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adult females of N. womersleyi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yflubumide, 72 ∼92% of predators survived for 168 h after topical treatments of 50∼12.5 ppm. The oviposition of the predators exposed to pyflubumide was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treated females produced 70.1∼89.1% as many eggs as females in the control, and the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as unaffected. The topical treatments of pyflubumi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atching of N. womersleyi eggs. The survival of N. womersleyi nymph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yflubumide, but 72∼94% of the predators survived at the concentrations tested. Based on these results, pyflubumide at selective sublethal concentrations (i.e., 12.5∼ 16.7 ppm) can help adjust the prey/predator ratio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 kanzawa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기수,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농약의 선택독성과 장미에서 천적과 농약의 혼용에 의한 점박이응애의 방제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71-79, 2004

      2 김선화, "춘차(春茶) 및 추차(秋茶)의 항산화, 항염증, 면역활성 및 항알러지 효과 비교" 한국차학회 23 (23): 63-72, 2017

      3 김상수, "차응애의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감수성" 한국차학회 18 (18): 37-43, 2012

      4 허용석, "차응애의 천적 긴털이리응애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감수성" 한국차학회 24 (24): 66-71, 2018

      5 강충수, "차나무를 가해하는 차응애에 대한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처리의 살비 효과" 한국유기농업학회 26 (26): 707-717, 2018

      6 김효정, "유기재배 차나무의 주요 해충 종류와 유기농업자재의 살충 효과" 한국차학회 22 (22): 103-110, 2016

      7 권태은, "우전 추출물의 항산화 및 HCT116 인체대장암 세포사멸 효과" 한국차학회 23 (23): 59-65, 2017

      8 정동건, "식물추출물의 단독 및 혼합 처리에 대한 차응애의 토착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의 감수성 검정" 한국차학회 25 (25): 82-87, 2019

      9 임태희, "성인남녀의 차(茶)에 대한 소비가치와 문화적 인식 연구" 한국차학회 23 (23): 9-18, 2017

      10 Kim SS,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carina, Tetranychidae)" 23 : 261-266, 1993

      1 안기수,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농약의 선택독성과 장미에서 천적과 농약의 혼용에 의한 점박이응애의 방제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71-79, 2004

      2 김선화, "춘차(春茶) 및 추차(秋茶)의 항산화, 항염증, 면역활성 및 항알러지 효과 비교" 한국차학회 23 (23): 63-72, 2017

      3 김상수, "차응애의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감수성" 한국차학회 18 (18): 37-43, 2012

      4 허용석, "차응애의 천적 긴털이리응애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감수성" 한국차학회 24 (24): 66-71, 2018

      5 강충수, "차나무를 가해하는 차응애에 대한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처리의 살비 효과" 한국유기농업학회 26 (26): 707-717, 2018

      6 김효정, "유기재배 차나무의 주요 해충 종류와 유기농업자재의 살충 효과" 한국차학회 22 (22): 103-110, 2016

      7 권태은, "우전 추출물의 항산화 및 HCT116 인체대장암 세포사멸 효과" 한국차학회 23 (23): 59-65, 2017

      8 정동건, "식물추출물의 단독 및 혼합 처리에 대한 차응애의 토착 포식성 천적 긴털이리응애의 감수성 검정" 한국차학회 25 (25): 82-87, 2019

      9 임태희, "성인남녀의 차(茶)에 대한 소비가치와 문화적 인식 연구" 한국차학회 23 (23): 9-18, 2017

      10 Kim SS,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carina, Tetranychidae)" 23 : 261-266, 1993

      11 SAS Institute, "SAS/STAT user's guide"

      12 Hassan SA, "Pesticides and Beneficial Organisms, In Pesticides and Beneficial Organisms" 17 : 1-5, 1994

      13 Sato ME, "Management of Tetranychus urticae(Acari : Tetranychidae)in strawberry fields with Neoseiulus californicus(Acari : Phytoseiidae)and acaricides" 42 : 107-120, 2007

      14 Gotoh, T, "Life-history traits of the kanzawa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38 : 7-14, 2003

      15 KCPA, "Guide book use pesticide"

      16 Kim SS,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everal acaricides against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na: Tetranychidae)" 5 : 53-60, 1999

      17 Trumble JT, "Economics of integrating the predacious mite Phytoseiulus persimilis(Acari : Phytoseiidae)with pesticides in strawberries" 86 : 879-885, 1993

      18 Furuya T, "Development of a novel acaricide, pyflubumide" 42 : 132-136, 2017

      19 Hoy MA, "Cyhexatin and fenbutatin-oxide resistance in pacific spider mite(Acari : Tetranychidae) : stability and mode of inheritance" 81 : 57-64, 1988

      20 Duso, C, "Comparative toxicity of botanical and reducedrisk insecticides to Mediterranean populations of Tetranychus urticae and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 Tetranychidae, Phytoseiidae)" 47 : 16-21, 2008

      21 Tsutsumi T, "Biology and control methods of kanzawa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47 : 83-85,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3 0.5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