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정당할당제와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 German Gender Quota System and Korean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7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purposed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party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to find points to reflect in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specific processes that the German political parties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gender quotas to examine whether political parties can increas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For starters, the article examines how German political parties introduced gender quotas and how main opinions about the quotas have changed in German society. The article also analyzes how the principles of German parliament election system and its effects have influenced on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addition,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tates of female members in German parliament; how European parliament and German federal and state parliaments are operating the gender quotas; and how each election process practically contributed to increase in female members of those parliaments. Based on these issues raised, this article is composed as following. Chapter II reviews the specific types of the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the content of each quota with the processes of introducing it and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it. Chapter III is case analyses which include the review of current states and realities of the female members in German parliament. Finally, Chapter IV includes tasks and expectations of the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simple review about how those German systems can be reflected in Korean political system.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purposed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party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to find points to reflect in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specific processes that the German political parties ...

      This article is purposed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party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to find points to reflect in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specific processes that the German political parties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gender quotas to examine whether political parties can increas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For starters, the article examines how German political parties introduced gender quotas and how main opinions about the quotas have changed in German society. The article also analyzes how the principles of German parliament election system and its effects have influenced on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addition,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tates of female members in German parliament; how European parliament and German federal and state parliaments are operating the gender quotas; and how each election process practically contributed to increase in female members of those parliaments. Based on these issues raised, this article is composed as following. Chapter II reviews the specific types of the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the content of each quota with the processes of introducing it and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it. Chapter III is case analyses which include the review of current states and realities of the female members in German parliament. Finally, Chapter IV includes tasks and expectations of the gender quotas in Germany and simple review about how those German systems can be reflected in Korean political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할당제를 통한 여성의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독일의 정당할당제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한국사회에 대한 정치적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독일의 정당할당제의 성공적인 이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조망해봄으로써 정당과 여성의 대표성 확대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할당제 도입과정과 할당제에 대한 독일 사회 내 주요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며, 독일 의회의 선거제도의 운영원리와 제도의 효과가 여성들의 대표성에 어떠한 영향을 행사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독일 여성의원의 현황을 실제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유럽의회, 연방의회 및 주의회에서 여성할당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 실제 선거메커니즘이 어떻게 여성의원의 확대를 가져오게 했는지 분석해보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독일에서 할당제 도입과정 및 여성할당제 과정에서의 독일사회의 담론을 여성의 대표성확대 및 양성평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독일 할당제의 유형과 정당별 여성할당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점검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사례분석으로 독일 여성의원의 현황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독일의 여성할당제의 과제 및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할당제를 통한 여성의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독일의 정당할당제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한국사회에 대한 정치적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본 논문은 할당제를 통한 여성의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독일의 정당할당제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한국사회에 대한 정치적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독일의 정당할당제의 성공적인 이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조망해봄으로써 정당과 여성의 대표성 확대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할당제 도입과정과 할당제에 대한 독일 사회 내 주요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며, 독일 의회의 선거제도의 운영원리와 제도의 효과가 여성들의 대표성에 어떠한 영향을 행사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독일 여성의원의 현황을 실제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유럽의회, 연방의회 및 주의회에서 여성할당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 실제 선거메커니즘이 어떻게 여성의원의 확대를 가져오게 했는지 분석해보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독일에서 할당제 도입과정 및 여성할당제 과정에서의 독일사회의 담론을 여성의 대표성확대 및 양성평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독일 할당제의 유형과 정당별 여성할당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점검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사례분석으로 독일 여성의원의 현황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독일의 여성할당제의 과제 및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희원, "한국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가와 여성정치할당제의 제도화"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241-263, 2011

      2 조현옥, "한국 여성정치할당제 제도화 과정 10년의 역사적 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110-139, 2010

      3 김민정, "여성정치할당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인간사랑 2011

      4 김경미, "독일: 자율적 정당할당과 온건한 수준의 여성 정치대표성, In 여성 정치 할당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인간사랑 2011

      5 전복희, "독일 제2기 여성운동에서 제기된 여성문제들의 특성과 제도화"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1 (11): 279-300, 2010

      6 전복희, "독일 1기 여성운동에서 여성쟁점(women's issues)의 특징" 한국정치학회 38 (38): 345-365, 2004

      7 Dahlerup, Drude, "Women, Quotas and Politics" Routledge 2006

      8 Phillips, A., "The Politics of Presence: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Gender, Ethnicity, and Ra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9 Krook, Mona Lena, "Quotas for Women in Politics-Gender and Candidate Selection Reform Worldw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0 Schaerfer, Reinhild, "Politik der Autonomie: Das Verhaeltniss der neuen Fraunbewegung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zum Staat" (2) : 1997

      1 조희원, "한국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가와 여성정치할당제의 제도화"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241-263, 2011

      2 조현옥, "한국 여성정치할당제 제도화 과정 10년의 역사적 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110-139, 2010

      3 김민정, "여성정치할당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인간사랑 2011

      4 김경미, "독일: 자율적 정당할당과 온건한 수준의 여성 정치대표성, In 여성 정치 할당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인간사랑 2011

      5 전복희, "독일 제2기 여성운동에서 제기된 여성문제들의 특성과 제도화"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1 (11): 279-300, 2010

      6 전복희, "독일 1기 여성운동에서 여성쟁점(women's issues)의 특징" 한국정치학회 38 (38): 345-365, 2004

      7 Dahlerup, Drude, "Women, Quotas and Politics" Routledge 2006

      8 Phillips, A., "The Politics of Presence: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Gender, Ethnicity, and Ra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9 Krook, Mona Lena, "Quotas for Women in Politics-Gender and Candidate Selection Reform Worldw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0 Schaerfer, Reinhild, "Politik der Autonomie: Das Verhaeltniss der neuen Fraunbewegung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zum Staat" (2) : 1997

      11 Hoecker, Beate, "Handbuch politischen Partizipation von Frauen in Europa" Leske & Budrich 1998

      12 Rai, Shirin, "Global Governance: Feminist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2008

      13 Kantola, Johanna, "Gender and the European Union" Palgrave Macmillan 2010

      14 Pruegl, Elisabeth, "Gender and EU Politics, In The Handbook of European Union Politics" SAGE 2007

      15 Hoecker, Beate, "Frauen, Männer und die Politik" Dietz 1998

      16 Beate, Hoecker, "Frauen in der Politik. Eine Soziologische Studies" Leske & Budrich 1988

      17 Eulers, Kathrin, "Frauen im Wahlrecht. Möglichkeiten zur Verbesserung der Partizipation von Frauen im Bundestag" Nomos 1991

      18 Arbeitsgemeinschaft Sozialdemokratischer Frauen, "Frauen Macht Politik: 90 Jahre Frauenwahlrecht und 20 Jahre Quotenbeschluss der SPD"

      19 Sümer, Sevil, "European Gender Regimes and Policies: Comparative Perspectives" Ashgate 2009

      20 Beyme, Klaus von, "Das politische System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e Einführung"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4

      21 Alemann, Ulrich von, "Das Parteiensystem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Leske + Budrich 2003

      22 Bacchi, C., "Arguing for and against Quotas: Theoretical Issues, In Women, Quotas and Politics" Routledge 33-52, 2006

      23 문경희, "1. 여성과 정치 그리고 할당제2. -국제적 동향과 쟁점-" 한국여성연구소 2007 (2007): 261-285,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