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공 SOC투자 충격의 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1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적 수단으로서의 공공 SOC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SOC투자 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친 효과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케인지안 모형과 IS-LM모형의 정책적 함의에 따라 “부호제약”을 부과하여 예상치 못한 공공 SOC투자 충격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경제에서 SOC투자 충격은 케인지안 모형의 예상과 같이 승수효과를 통해 산출량 수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자율 상승에 따른 구축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격반응함수 분석결과, 민간투자, GDP 및 민간소비의 동태적 반응경로가 고용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 SOC투자가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SOC투자의 고용창출 효과와 지속성이 높아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적 수단으로서의 공공 SOC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SOC투자 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친 효과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본 연구는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적 수단으로서의 공공 SOC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SOC투자 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친 효과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케인지안 모형과 IS-LM모형의 정책적 함의에 따라 “부호제약”을 부과하여 예상치 못한 공공 SOC투자 충격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경제에서 SOC투자 충격은 케인지안 모형의 예상과 같이 승수효과를 통해 산출량 수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자율 상승에 따른 구축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격반응함수 분석결과, 민간투자, GDP 및 민간소비의 동태적 반응경로가 고용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 SOC투자가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SOC투자의 고용창출 효과와 지속성이 높아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a SVAR(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approach, the effects of public SOC(Social Overhead Capital) spending shocks on the Korean business cycle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In identifying unexpected shocks to public SOC spending,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is employed. The basic idea behind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is that structural shocks of a SVAR model can be identi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igns of the corresponding impulse response functions over the first k horizon are consistent with the sign restrictions implied by the economic theory. In applying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implied by the simple Keynesian-cross model and the IS-LM model are exploit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public SOC spending increases, output, consumption, investment rise, implying the existence of the multiplier effects associated with shocks to SOC spending.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crows out output, even though there is substantial increases in the interest rate.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imply that instead of the crowding-out effect, the effects of shocks to public SOC spending on output, consumption and investment are critically depend on their impacts on unemployment. Therefore, it is found that for an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to have large multiplier effects and thereby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should have large and persistent impacts on employment.
      번역하기

      Based on a SVAR(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approach, the effects of public SOC(Social Overhead Capital) spending shocks on the Korean business cycle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In identifying unexpected shocks to public SOC spending, the sign...

      Based on a SVAR(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approach, the effects of public SOC(Social Overhead Capital) spending shocks on the Korean business cycle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In identifying unexpected shocks to public SOC spending,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is employed. The basic idea behind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is that structural shocks of a SVAR model can be identi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igns of the corresponding impulse response functions over the first k horizon are consistent with the sign restrictions implied by the economic theory. In applying the sign restriction approac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implied by the simple Keynesian-cross model and the IS-LM model are exploit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public SOC spending increases, output, consumption, investment rise, implying the existence of the multiplier effects associated with shocks to SOC spending.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crows out output, even though there is substantial increases in the interest rate.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imply that instead of the crowding-out effect, the effects of shocks to public SOC spending on output, consumption and investment are critically depend on their impacts on unemployment. Therefore, it is found that for an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to have large multiplier effects and thereby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increase in public SOC spending should have large and persistent impacts on employ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공 SOC투자 충격의 효과 분석
      • Ⅲ. 공공 SOC투자 충격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공 SOC투자 충격의 효과 분석
      • Ⅲ. 공공 SOC투자 충격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석균,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9 (29): 1-40, 2007

      2 백웅기,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산출효과 분석, 미발간 외부연구용역 보고서" 2009

      3 김우철, "세입과 세출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24-41, 2006

      4 김배근, "구조적 VAR 모형 및 세율자료를 이용한 재정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5-52, 2011

      5 Blanchard, O. J., "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 655-673, 1989

      6 Uhlig, H., "What are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Output? Results from an Agnostic Identification Procedure" 52 : 381-419, 2005

      7 Mountford, A., "What are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Shocks?" Humboldt University 2005

      8 Edelberg, W.,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a Shock to Government Purchases" 2 : 166-206, 1999

      9 Sims, C. A., "Understanding Unit Rooters : a Helicopter Tour" 59 : 1591-1599, 1991

      10 Aiyagari, S. R., "The Output, Employment, and Interest Rate Effects of Government Consumption" 30 : 73-86, 1992

      1 허석균,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9 (29): 1-40, 2007

      2 백웅기,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산출효과 분석, 미발간 외부연구용역 보고서" 2009

      3 김우철, "세입과 세출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24-41, 2006

      4 김배근, "구조적 VAR 모형 및 세율자료를 이용한 재정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5-52, 2011

      5 Blanchard, O. J., "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 655-673, 1989

      6 Uhlig, H., "What are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Output? Results from an Agnostic Identification Procedure" 52 : 381-419, 2005

      7 Mountford, A., "What are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Shocks?" Humboldt University 2005

      8 Edelberg, W.,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a Shock to Government Purchases" 2 : 166-206, 1999

      9 Sims, C. A., "Understanding Unit Rooters : a Helicopter Tour" 59 : 1591-1599, 1991

      10 Aiyagari, S. R., "The Output, Employment, and Interest Rate Effects of Government Consumption" 30 : 73-86, 1992

      11 Blanchard, O. J., "The American Business Cycle" 123-160, 1986

      12 김성순, "SVAR모형을 이용한 정부지출과 조세 변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22 (22): 3-33, 2007

      13 Faust, J., "On the Robustness of the Identified VAR conclusions about money" 49 : 207-244, 1998

      14 Canova, F., "Monetary Policy Misspecification in VAR Models" Center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1999

      15 Canova, F., "Monetary Disturbances Matter for Business Fluctuations in the G-7" 49 : 1131-1159, 2002

      16 Rubio-Ramirez, J., "Markov Switching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s: Theory and Application" Federal Reserve Bank 2006

      17 Sims, C. A., "Macroeconomics and Reality" 48 : 1-48, 1980

      18 Burnside, C., "Fiscal Shocks and their Consequences" NBER 2004

      19 Baxter, M., "Fiscal Policy in General Equilibrium" 83 : 315-334, 1993

      20 Sims, C. A., "Are Forecasting Models Usable for Policy Analysis" (Winter) : 2-16, 1987

      21 Blanchard, O. J., "An Empirical Characterization of the Dynamic Effects of Changes in Government Spending and Taxes on Output" NBER 1999

      22 Bernanke, B. S., "Alternative Explanations of the Money-Income Correlation" 25 : 69-73,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