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현대 영화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 of Contemporary Film Formation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has shifted from a planned economy to a socialist era. This was to make it possible for only a unique socialist economic system with identity to move China out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China's reform and openness and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have spread not only in politics and economics but also in the fields of education, humanities and the arts. The Chinese film market has been relatively early, especially due to trade and opening up with foreign countries. If economic development has satisfied material life to the Chinese people, the airing of movies and TV has met emotional life, which has becom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cinema. Thus, through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ilm at that time, the formation stage of the Chinese film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were reviewed. By focusing on the works of fourth-generation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which had the greatest impact, the movie's themes and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works were investigated, the Chinese film's theme was analyzed to see how it affected the formation of modern Chinese films. The fourth generation expressed the significance of human life and society's philosophy of life through the trivial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wanted to break away from the political-oriented attitude of fourth-generation directors. In addition, he found that h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ve concept and creative area of modern Chinese cinema by establishing visual aesthetics, spatial aesthetics, costume aesthetics and film morphology. However, after analyzing the trends and works of the fourth-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the Orientalist trend, which strongly highlighted China's identity and ethnicity, has since become a target of criticism.
      번역하기

      Since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has shifted from a planned economy to a socialist era. This was to make it possible for only a unique socialist economic system with identity to move China out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China's reform and open...

      Since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has shifted from a planned economy to a socialist era. This was to make it possible for only a unique socialist economic system with identity to move China out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China's reform and openness and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have spread not only in politics and economics but also in the fields of education, humanities and the arts. The Chinese film market has been relatively early, especially due to trade and opening up with foreign countries. If economic development has satisfied material life to the Chinese people, the airing of movies and TV has met emotional life, which has becom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cinema. Thus, through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ilm at that time, the formation stage of the Chinese film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were reviewed. By focusing on the works of fourth-generation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which had the greatest impact, the movie's themes and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works were investigated, the Chinese film's theme was analyzed to see how it affected the formation of modern Chinese films. The fourth generation expressed the significance of human life and society's philosophy of life through the trivial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wanted to break away from the political-oriented attitude of fourth-generation directors. In addition, he found that h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ve concept and creative area of modern Chinese cinema by establishing visual aesthetics, spatial aesthetics, costume aesthetics and film morphology. However, after analyzing the trends and works of the fourth- and fifth-generation directors, the Orientalist trend, which strongly highlighted China's identity and ethnicity, has since become a target of critic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문화대혁명 이후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대로 전환되었고, 이는 정체성을 지닌 특유의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만이 중국을 후진국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경제 발전은 정치와 경제뿐 아니라 교육, 인문, 예술 등 분야에도 파급되었고, 중국 영화시장은 특히 해외와의 무역과 개방에 힘입어 비교적 일찍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적 발전이 중국 국민에게 물질적 삶을 충족시켰다면, 영화와 TV의 방영은 정서적 삶을 충족시킨 것으로 현대 중국영화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따라서 당시 영화의 사회적 배경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중국영화의 형성 단계를 분석하고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 4세대·5세대 감독들의 작품에 중점을 두어 영화의 주제와 대표작의 분포도를 조사함으로써 중국영화의 주제가 중국 현대영화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했다. 4세대는 문화대혁명 당시 국가정책의 선전도구로 전락한 영화를 서민들의 소소한 일상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의의와 사회의 인생철학을 표현했으며, 5세대 감독들은 4세대 감독들의 정치 지향적 태도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더불어 영상미학, 공간미학, 의상(義象)미학과 영화 형태학을 구축함으로써 중국 현대영화의 창작관념과 창작영역을 크게 확장하는데 기여했음을 알았다. 그러나 4·5세대 감독의 경향과 작품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정체성과 민족성을 강하게 부각시킨 오리엔탈리즘적 경향은 이후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번역하기

      중국은 문화대혁명 이후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대로 전환되었고, 이는 정체성을 지닌 특유의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만이 중국을 후진국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중국은 문화대혁명 이후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대로 전환되었고, 이는 정체성을 지닌 특유의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만이 중국을 후진국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경제 발전은 정치와 경제뿐 아니라 교육, 인문, 예술 등 분야에도 파급되었고, 중국 영화시장은 특히 해외와의 무역과 개방에 힘입어 비교적 일찍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적 발전이 중국 국민에게 물질적 삶을 충족시켰다면, 영화와 TV의 방영은 정서적 삶을 충족시킨 것으로 현대 중국영화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따라서 당시 영화의 사회적 배경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중국영화의 형성 단계를 분석하고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 4세대·5세대 감독들의 작품에 중점을 두어 영화의 주제와 대표작의 분포도를 조사함으로써 중국영화의 주제가 중국 현대영화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했다. 4세대는 문화대혁명 당시 국가정책의 선전도구로 전락한 영화를 서민들의 소소한 일상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의의와 사회의 인생철학을 표현했으며, 5세대 감독들은 4세대 감독들의 정치 지향적 태도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더불어 영상미학, 공간미학, 의상(義象)미학과 영화 형태학을 구축함으로써 중국 현대영화의 창작관념과 창작영역을 크게 확장하는데 기여했음을 알았다. 그러나 4·5세대 감독의 경향과 작품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정체성과 민족성을 강하게 부각시킨 오리엔탈리즘적 경향은 이후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 환, "중국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정옥, "영화론의 전개와 제 3의 영화" 시각과 언어 1997

      3 鄭榮豪, "영화 부용진에 나타난 정치권력과 이데올로기" 한국중국문화학회 21 : 380-394, 2006

      4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5 방경란, "색채의 의미전달 역할에 관한 연구-영화 ‘마지막 황제’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169-180, 2004

      6 홍성민, "문화대혁명 이후 등장한 중국영화의 경향과 영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4, 5, 6세대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7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8 尹晓利, "风格化的红色幽默—从小说《浪漫的黑炮》到电影《黑炮事件》导演艺术分析" 小说评论 183-186, 2007

      9 陈犀禾, "重读影片, 个和八个" 6 : 148-152, 2011

      10 李前宽, "肖桂云 使命感·气度·自我—《开国大典》导演心得" 8 : 8-15, 1989

      1 최 환, "중국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정옥, "영화론의 전개와 제 3의 영화" 시각과 언어 1997

      3 鄭榮豪, "영화 부용진에 나타난 정치권력과 이데올로기" 한국중국문화학회 21 : 380-394, 2006

      4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5 방경란, "색채의 의미전달 역할에 관한 연구-영화 ‘마지막 황제’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169-180, 2004

      6 홍성민, "문화대혁명 이후 등장한 중국영화의 경향과 영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4, 5, 6세대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7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8 尹晓利, "风格化的红色幽默—从小说《浪漫的黑炮》到电影《黑炮事件》导演艺术分析" 小说评论 183-186, 2007

      9 陈犀禾, "重读影片, 个和八个" 6 : 148-152, 2011

      10 李前宽, "肖桂云 使命感·气度·自我—《开国大典》导演心得" 8 : 8-15, 1989

      11 黄晓鸿, "红枫落尽, 乡愁满庭----品评电影, 城南旧事" 电影评介 42-43, 2002

      12 张无为, "大众文化下 电影的诗意选择" 3 : 112-, 2005

      13 改革开放, "历史意义"

      14 潘天强, "中国电影百年二百部优秀电影目录"

      15 林雪飞, "中国儿童科幻电影的第一部成功之作——《霹雳贝贝》" 140-142, 2008

      16 张艺谋, "“就拍这块土!”—《黄土地》摄影体会" 5 : 54-56, 1985

      17 유세종, "Hangzhou Shifan Daxue Xuebao (Shehui Kexue Ban)," 29 (29): 41-48, 2007

      18 임대근, "Hangzhou Shifan Daxue Xuebao (Shehui Kexue Ban)" 29 (29): 48-5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