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강원도 영서와 인접지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거동 및 강우특성을 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34296
2017
Korean
Debris flow ; Field investigation ; Types of debris flow ; Behaviour characteristics ; Magnitude ; Triggering rainfall ; ID curve ; 토석류 ; 현장조사 ; 토석류 종류 ; 거동 특성 ; 규모 ; 유발강우 ; ID 곡선
KCI등재
학술저널
13-21(9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강원도 영서와 인접지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거동 및 강우특성을 조...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강원도 영서와 인접지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거동 및 강우특성을 조사하였다. 사면형과 계곡형의 토석류 종류에 따라 발생부, 유하부, 퇴적부로 구별되는 토석류 진행구간에 대해 토석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발생부 및 유하부의 침식 상태를 고려하여 토석류 규모를 산정하였다. 토석류 발생 당시의 강우자료 분석을 통해 토석류 유발 강우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하여 예경보 기준 정립에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적합한 토석류 유발강우 ID 곡선을 제안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DB constructed by performing field investigation and collecting the rainfall data at the sites where debris flow occurred around the w...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DB constructed by performing field investigation and collecting the rainfall data at the sites where debris flow occurred around the west of Gangwon and adjacent areas during the last 10 years. For hill slope and channelized type of debris flow, its behavior characteristic was analyzed through runout channel of debris flow divided into zone of initiation,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and its magnitude was estimated by considering erosion at zones of initiation and transportation. Some considerations related to establishment of landslide forecasting criterion were raised by comparing the analyzed results of analysis of rainfall at the time of debris-flow occurrenc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the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In addition, an ID curve of inducing debris flow adequate to the investigated site was proposed and compared with results of previous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두영,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대한토목학회 32 (32): 193-201, 2012
2 김경석,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263-271, 2008
3 전경재, "최근 4년간 국내 사면재해 현장조사를 통한 유발인자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1 (31): 47-58, 2015
4 정상섬,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2 (32): 15-27, 2016
5 함대헌, "산사태 유발강우 분석을 통한 산사태 예보기준의 적정성 검토" 한국방재학회 14 (14): 299-310, 2014
6 오정림,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한국방재학회 14 (14): 115-129, 2014
7 강신항,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한국방재학회 15 (15): 249-258, 2015
8 김기흥, "경남지역 산사태 발생지의 강우 및 지형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33-45, 2011
9 유남재, "강원 영서지역 산사태 및 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3 (13): 75-82, 2012
10 Caine, N.,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62A : 23-27, 1980
1 최두영,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대한토목학회 32 (32): 193-201, 2012
2 김경석,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263-271, 2008
3 전경재, "최근 4년간 국내 사면재해 현장조사를 통한 유발인자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1 (31): 47-58, 2015
4 정상섬,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32 (32): 15-27, 2016
5 함대헌, "산사태 유발강우 분석을 통한 산사태 예보기준의 적정성 검토" 한국방재학회 14 (14): 299-310, 2014
6 오정림,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한국방재학회 14 (14): 115-129, 2014
7 강신항,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한국방재학회 15 (15): 249-258, 2015
8 김기흥, "경남지역 산사태 발생지의 강우 및 지형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33-45, 2011
9 유남재, "강원 영서지역 산사태 및 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3 (13): 75-82, 2012
10 Caine, N.,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62A : 23-27, 1980
11 Sassa, K., "Special lecture: geotechnical model for the motion of landslides" 37-55, 1988
12 Lo, Dok, "Review of natural terrain landslide debrisresisting barrier design"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The Government of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27-29, 2000
13 Dahal, R. K., "Representative rainfall thresholds for landslide in the Nepal Himalaya" 100 : 429-443, 2008
14 Hungr, O., "Quantitative analysis of debris torrent hazards for design of remedial measures" 21 : 663-677, 1984
15 Evans, S. G., "Landslides and surficial deposits in urban areas of British Columbia: A review" 19 (19): 269-288, 1982
16 Choi, K., "Landslide prediction methods and prevention" KFRI Research Information 1-3, 1989
17 "Korea Forest Service"
18 Ikeya, H., "Introduction to sabo works: The preservation of land against sediment disaster" The Japan Sabo Association 168-, 1976
19 Rickenmann, D., "Empirical relationships for debris flows" 19 : 47-77, 1999
20 Rickenmann, D., "Debris-flow hazards and related phenomena" Praxis 305-324, 2005
21 D’Agostino, V., "Debris flow magnitude in the eastern Italian Alps :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26 (26): 657-663, 2001
22 VanDine, D. F., "Debris flow control structures for forest engineering" BC Ministry of Forests 4-10, 1996
23 Ikeya, H.,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40 : 15-33, 1989
24 Takahashi, T., "Debris flow"
25 전경재,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토석류 유형 분석" 대한토목학회 33 (33): 171-179, 2013
26 윤찬영,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26 (26): 27-38, 2010
27 Kim, W. Y., "Case study of landslide types in Korea" 10 (10): 18-35, 2000
28 Kim, K. S., "Analysis of debris flow magnitud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15-3018, 2008
29 Jakob, M., "A size classification for debris flow" 79 : 151-161, 2005
30 Ikeya, H., "A method of designation for area in danger of debris flow, In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in pacific rim steeplands" (132) : 576-588, 1981
31 Cannon, S. H., "A mass-change model for the estimation of debris-flow runout" 96 : 221-227, 1988
32 Yu, K. H., "A Study on the movement and spread of hillslope debris flow - focusing on the case of Duchon-myeon, Hongcheon in 2013"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발열체가 적용된 터널 라이닝 내부 및 배면의 온도변화 분석
Micro X-ray CT 촬영을 통한 동결 사질토 시료의 세립분 함유량에 따른 입자간 거리 분석
Soil Loss Vulnerability Assessment in the Mekong River Basi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46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