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모체와 태아혈중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와 분만과의 관계 =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levels in maternal and neonatal sera before and during labor and deliv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10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만에 따른 자궁수축이 반복되는 동아네 Progesterone 과 Estradiol-17B 가 여하이 변동하 고 또한 이들 hormone이 분만진행에 여하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고자, 자궁수축이 시작 하기전과 분만이 ...

      분만에 따른 자궁수축이 반복되는 동아네 Progesterone 과 Estradiol-17B 가 여하이 변동하 고 또한 이들 hormone이 분만진행에 여하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고자, 자궁수축이 시작 하기전과 분만이 진행하여 자궁수축이 가장 강한 시기에서의 양 hormone치와 자연적 자궁 수축이 없는 선택적 제왕절개술 분만의 경우 마취시작 직전과 마취시작후 30분에서 모체혈 청치를 측정하여 그들의 증감상황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신생아 혈청의 양 hormone치도 측정하여 모아의 혈청치를 비교하였다. 1. 경질분만시의 모체혈청 progesterone 치는 분만시작전 (574+-37ug/ml)에 현저하게 감소하 였다. (p<0.001) 제왕절개 분만시는 마취시작전 (559+-34ng/ml)보다 마취시작후 30분(384+-28 ng/ml)에서 역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p<0.05) 경질분만에 비하여 감소폭이 작아 양자간에 유의한 차 (p<0.01)가 있었다. 2.모체혈청 Estradiol-17B 치는 경질분만에서와 제왕절개술 분만에서 모두 똑같이 대폭증가( 평균 32.33+-2.96ng/ml에서 95.73+-6.83ng/ml로 ) 하였다(p<0.001) 3. 분만중에 모체혈청 Progesterone 치의 감소와 Estradiol-17B 치의 증가가 동시에 진행되며 P/E ratio가 17.8에서 3.3으로 대폭저하 하였다. 4. 신생아 혈청Progesterone치와 Estradiol-17B치는 모체혈청내치보다 항상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분만시의 자궁수축은 모체혈정내 Progesterone치의 감소와 Estradiol-17B치의 증가를 동반하나 어느것이 원인이고, 어느것이 결과인지는 미상이며, 또한 이것만으로서 자궁수축이 유발내지는 지속되는 것인지도 미상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in maternal and neonatal sera were meaured on 35 uncomplicated pregnancies before and during labor by radioimmunoassay.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67+-35...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in maternal and neonatal sera were meaured on 35 uncomplicated pregnancies before and during labor by radioimmunoassay.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67+-35 ng/ml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319+-2.96 ng/ml at the acme of the uterine contraction, and the maternal serum Estradiol-17 beta level increased concomitantly and more markedly than the alteration of progesterone level from 32.33+-2.96 ng/ml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95.73+-6.83 ng/ml at the acme of the uterine contraction . Thus the ratio of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level to Estradiol-17 beta level fell considerably from 17.8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3.3 at the end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The neonatal serum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levels, however were constantly higher than the maternal levels of them. It is conclued that uterine contraction occurs under the condition of decreased serum level of progesterone, associated with concomittant increase of serum level of Estradiol-17 beta which are of fetal origi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