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글클래스룸 활용 과정중심평가 = A study on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Google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4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oogle classroom for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Google classroom in relation to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regular English class for a year. The overall opinion towards educational digital apps includ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study concluded with three notable findings. First, Google classroom, a free LMS, offered students more chances to get individual feedback from a teacher and peers. Second, all kinds of learners’ projects were automatically piled up in their ePortfolio so that bo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were able to keep track of their learning process. Third, it encouraged interactions in a classroom by allowing them to work together on a project in a real time. This paper illustrates how Google classroom helped a teacher assess students’ performance in a classroom and how students felt about Google classroom after joining the paperless classroom for a year.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oogle classroom for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Google classroom in relation to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oogle classroom for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Google classroom in relation to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regular English class for a year. The overall opinion towards educational digital apps includ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study concluded with three notable findings. First, Google classroom, a free LMS, offered students more chances to get individual feedback from a teacher and peers. Second, all kinds of learners’ projects were automatically piled up in their ePortfolio so that bo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were able to keep track of their learning process. Third, it encouraged interactions in a classroom by allowing them to work together on a project in a real time. This paper illustrates how Google classroom helped a teacher assess students’ performance in a classroom and how students felt about Google classroom after joining the paperless classroom for a ye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문헌 조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 Ⅰ. 서론 Ⅱ. 문헌 조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남호, "학습자의 학습관리시스템 이용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학습자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과제의 실제성 역할을 중심으로" 356-363, 2003

      2 권숙진, "학습 이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에 대한 연구: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IPA와 SWOT분석을 기반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5 (15): 77-98, 2017

      3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4 이종기,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관리시스템 구현 사례: 사용자편이성을 통한 협력학습지원을 위하여" 한국상업교육학회 20 : 45-62, 2008

      5 김석수, "모바일환경의 원격교육실현을 위한 LMS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5 (5): 9-14, 2005

      6 최미양,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95-404, 2019

      7 박정철, "내 인벤토리에 구글을 담다" 프리렉 2019

      8 김정아,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4·5학년 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93-302, 2019

      9 정미하, "구글 선생님, 애플 교수님… IT공룡 격전지 ‘교실’"

      10 서성현,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 실행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 활용의 질적 연구: S교회 고등부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1) : 87-119, 2019

      1 정남호, "학습자의 학습관리시스템 이용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학습자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과제의 실제성 역할을 중심으로" 356-363, 2003

      2 권숙진, "학습 이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에 대한 연구: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IPA와 SWOT분석을 기반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5 (15): 77-98, 2017

      3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4 이종기,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관리시스템 구현 사례: 사용자편이성을 통한 협력학습지원을 위하여" 한국상업교육학회 20 : 45-62, 2008

      5 김석수, "모바일환경의 원격교육실현을 위한 LMS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5 (5): 9-14, 2005

      6 최미양,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95-404, 2019

      7 박정철, "내 인벤토리에 구글을 담다" 프리렉 2019

      8 김정아,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4·5학년 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93-302, 2019

      9 정미하, "구글 선생님, 애플 교수님… IT공룡 격전지 ‘교실’"

      10 서성현,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 실행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 활용의 질적 연구: S교회 고등부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1) : 87-119, 2019

      11 정수경,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249-269, 2017

      12 Ventayen, R. J. M., "Usability evaluation of google classroom: Basis for the adaptation of gsuite e-learning platform" 5 (5): 47-51, 2018

      13 Caner, M., "Students views on using portfolio assessment in EFL writing courses"

      14 Al-Maroof, R. A. S., "Students Acceptance of Google Classroom: An Exploratory Study using PLS-SEM Approach" 13 (13): 2018

      15 Izenstark, A., "Google classroom for librarians : features and opportunities" 32 (32): 1-3, 2015

      16 Iftakhar, S., "Google classroom : what works and how?" 3 (3): 12-18, 2016

      17 Wijaya, A.,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Google Classroom to support lectures" Bina Darma University 2016

      18 최연구, "4 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33) : 32-35, 2017

      19 전건용,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충청남도교육청 2019

      20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어어문교육
      외국어명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6 1.1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