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심 취약지역 불교 포교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연구 = Study of Buddhist Propagation in Urban Vulnerable area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2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교를 기준으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진단할 때 타 종교계와 현격히 구별되는 점은, 신도심 지역과 도심 취약지역 포교를 소홀히 함으로써 종교로써 불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급격히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접근성이 높은 도심 포교 사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포교가 실종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구의 도시 집중화도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종교와 종교 간의 편차, 같은 종교 간 그리고 사회 계층 간 빈부격차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으며 불교 포교의 취약 지역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종교의식 및 상황의 변화에 불교는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도심 포교 활성화는 불교계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된 문제점이다. 특히 20세 이하에서 불교와 기독교 인구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는 현실은 신도심과 도심 변두리 소외(취약)지역에 사찰이나 포교당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지역 포교 현황과 문제점, 인구 비례로 본 불교와 기독교의 편차 및 어린이와 노인 불자의 감소 원인, 포교의 지역 편중 현상, 종교택지 공급으로 본 불교 현황 그리고 취약지역 포교당 설립의 방향 등 개선책을 연구하였다.
      번역하기

      포교를 기준으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진단할 때 타 종교계와 현격히 구별되는 점은, 신도심 지역과 도심 취약지역 포교를 소홀히 함으로써 종교로써 불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급격히 상실...

      포교를 기준으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진단할 때 타 종교계와 현격히 구별되는 점은, 신도심 지역과 도심 취약지역 포교를 소홀히 함으로써 종교로써 불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급격히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접근성이 높은 도심 포교 사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포교가 실종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구의 도시 집중화도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종교와 종교 간의 편차, 같은 종교 간 그리고 사회 계층 간 빈부격차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으며 불교 포교의 취약 지역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종교의식 및 상황의 변화에 불교는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도심 포교 활성화는 불교계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된 문제점이다. 특히 20세 이하에서 불교와 기독교 인구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는 현실은 신도심과 도심 변두리 소외(취약)지역에 사찰이나 포교당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지역 포교 현황과 문제점, 인구 비례로 본 불교와 기독교의 편차 및 어린이와 노인 불자의 감소 원인, 포교의 지역 편중 현상, 종교택지 공급으로 본 불교 현황 그리고 취약지역 포교당 설립의 방향 등 개선책을 연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Protestant and Korea Buddhism & large temples is neglecting the city propaganda for the new downtown area and vulnerable areas. Therefore, Buddhism rapidly loses its role and influence as religion. In addition to focusing on small pogyodang (布敎堂) which operates in a difficult places has many difficulty to operate. They don"t get a little help. Therefore Buddhism has resulted in "The more you have, the more you get, the less you have, the poorer you get" phenomenon.
      Due to this lack of the city missionary temples like pogyodang that you can easily reach, children and youth missionary is missing and the elderly are not looking for Buddhism any more. Residents who are eagerly looking for religion are going to have interest in other religions. I think religion should take care of the poor and difficult place to reach first. But in reality, on the contrary, there are lot of protestant missionary center in that place instead of Buddhism. Buddhism temples are being established so far in place where the rich people live or good local economy area only. To make matters worse,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populations concentrated in cities and people are moving to city area from rural area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the social classes and the religious, gap between rich and poor is deepening rather. In the mean time, Buddhism did not provide a prescrip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Buddhism does not meet the contemporary needs of religion. It has long been raised in the Buddhist community that the importance of the urban missionary activation issues. For the Buddhist future development, we must obtain the cooperation of the community, including children and youth. The differences in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gap continues comparing under 20 years old population. The main reason is absolutely insufficient number of temples and pogyodang in the city outskirts and new downtown marginalized (vulnerable) areas.
      In this paper improvement measures were studied as follow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ropagation vulnerable areas, the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proportion of variance analysis, the cause of decreased Buddhists population in children and the elderly. Regional bias phenomenon of propagation, Buddhist situation in view of Buddhist religion residential land supply, direction of pogyodang establishment in vulnerable areas.
      번역하기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Protestant and Korea Buddhism & large temples is neglecting the city propaganda for the new downtown area and vulnerable areas. Therefore, Buddhism rapidly loses its role and influence as religion. In addition to focusing ...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Protestant and Korea Buddhism & large temples is neglecting the city propaganda for the new downtown area and vulnerable areas. Therefore, Buddhism rapidly loses its role and influence as religion. In addition to focusing on small pogyodang (布敎堂) which operates in a difficult places has many difficulty to operate. They don"t get a little help. Therefore Buddhism has resulted in "The more you have, the more you get, the less you have, the poorer you get" phenomenon.
      Due to this lack of the city missionary temples like pogyodang that you can easily reach, children and youth missionary is missing and the elderly are not looking for Buddhism any more. Residents who are eagerly looking for religion are going to have interest in other religions. I think religion should take care of the poor and difficult place to reach first. But in reality, on the contrary, there are lot of protestant missionary center in that place instead of Buddhism. Buddhism temples are being established so far in place where the rich people live or good local economy area only. To make matters worse,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populations concentrated in cities and people are moving to city area from rural area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the social classes and the religious, gap between rich and poor is deepening rather. In the mean time, Buddhism did not provide a prescrip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Buddhism does not meet the contemporary needs of religion. It has long been raised in the Buddhist community that the importance of the urban missionary activation issues. For the Buddhist future development, we must obtain the cooperation of the community, including children and youth. The differences in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gap continues comparing under 20 years old population. The main reason is absolutely insufficient number of temples and pogyodang in the city outskirts and new downtown marginalized (vulnerable) areas.
      In this paper improvement measures were studied as follow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ropagation vulnerable areas, the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proportion of variance analysis, the cause of decreased Buddhists population in children and the elderly. Regional bias phenomenon of propagation, Buddhist situation in view of Buddhist religion residential land supply, direction of pogyodang establishment in vulnerable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도심 취약 지역 포교 현황과 문제점 분석
      • Ⅲ. 취약지역 종교용지 공급으로 본 도심포교의 문제점
      • Ⅳ. 인구 통계 현황으로 본 도심포교의 문제점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도심 취약 지역 포교 현황과 문제점 분석
      • Ⅲ. 취약지역 종교용지 공급으로 본 도심포교의 문제점
      • Ⅳ. 인구 통계 현황으로 본 도심포교의 문제점
      • Ⅴ. 도심포교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불교신문"

      2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한국갤럽 2004

      3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포교이해론" 조계종출판사 2007

      4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통계청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른 종교변화 분석과 종단의 나아갈 방향" 2006

      5 조계종 중앙종회 종책모임 무차회, "수도권 포교 공동화 현황과 대처방안: 종교용지 공급 분석을 중심으로" 불교미래사회연구소 2011

      6 정기옥, "도심 소형포교당의 운영과 포교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 2013

      7 "緇門警訓(『大正藏』48)"

      8 "妙法蓮華經(『大正藏』9)"

      1 "현대불교신문"

      2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한국갤럽 2004

      3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포교이해론" 조계종출판사 2007

      4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통계청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른 종교변화 분석과 종단의 나아갈 방향" 2006

      5 조계종 중앙종회 종책모임 무차회, "수도권 포교 공동화 현황과 대처방안: 종교용지 공급 분석을 중심으로" 불교미래사회연구소 2011

      6 정기옥, "도심 소형포교당의 운영과 포교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 2013

      7 "緇門警訓(『大正藏』48)"

      8 "妙法蓮華經(『大正藏』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