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에너지 관련 중등 과학 교과서 단원의 과학 실행(Science Practice) 특징 탐색 =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 presented in Energy Related Unit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29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에너지 관련 단원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 측면에서의 특징을 탐색을 하고자 하였다. 과학수업의 주 대상인 과학탐구를 단순한 활동(activity)가 아닌 과학자의 실행 과정을 밟아가면서 과학을 경험하는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으로 바라보는 접근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Millar(2010)는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며, 과학활동의 목표, 내용, 사고내용 및 논리적 구조 분석의 틀을 제안하였다. 한편,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은 이러한 기조에서 과학 실행 활동을 제안하였다. 과학교과서 중 가장 채택률이 높았던 7, 8, 9학년 및 10학년 과학 교과서 중 에너지 관련 활동을 이들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과학 실행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또한 Millar(2010)는 활동의 목적, 논리적 구조,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를 어떻게 다루는지, 그리고 재료와 수업주제에 대해 어떻게 활동에 임하는지에 대한 과학 활동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에너지 관련 과학활동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실행의 첫 요소인 질문하기는 에너지관련 활동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탐구 유형 면에서 다른 학년에 비해 10학년에서는 생각해보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10학년의 탐구 내용은 대부분 지식습득이 과학탐구보다 압도적으로 큰 비중이었다. 분석 대상의 모든 탐구 내용에서 논리적 구조는 연역적 방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생들이 관찰한 자료를 토대로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 이미 알려지고 제시된 내용을 확인하는 형태의 탐구 수업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에너지 관련 단원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 측면에서의 특징을 탐색을 하고자 하였다. 과학수업의 주 대상인 과학탐구를 단순...

      본 연구는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에너지 관련 단원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 측면에서의 특징을 탐색을 하고자 하였다. 과학수업의 주 대상인 과학탐구를 단순한 활동(activity)가 아닌 과학자의 실행 과정을 밟아가면서 과학을 경험하는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으로 바라보는 접근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Millar(2010)는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며, 과학활동의 목표, 내용, 사고내용 및 논리적 구조 분석의 틀을 제안하였다. 한편,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은 이러한 기조에서 과학 실행 활동을 제안하였다. 과학교과서 중 가장 채택률이 높았던 7, 8, 9학년 및 10학년 과학 교과서 중 에너지 관련 활동을 이들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과학 실행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또한 Millar(2010)는 활동의 목적, 논리적 구조,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를 어떻게 다루는지, 그리고 재료와 수업주제에 대해 어떻게 활동에 임하는지에 대한 과학 활동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에너지 관련 과학활동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실행의 첫 요소인 질문하기는 에너지관련 활동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탐구 유형 면에서 다른 학년에 비해 10학년에서는 생각해보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10학년의 탐구 내용은 대부분 지식습득이 과학탐구보다 압도적으로 큰 비중이었다. 분석 대상의 모든 탐구 내용에서 논리적 구조는 연역적 방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생들이 관찰한 자료를 토대로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 이미 알려지고 제시된 내용을 확인하는 형태의 탐구 수업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규철,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4-31, 2007

      2 Giere, R. N.,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Thomson Wadsworth 33-62, 2006

      3 Duschl, R. A.,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Sense 2008

      4 Layton, D., "Science for the People: The Origins of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England" Allen & Unwin 1973

      5 신명경, "Science Writing Heuristic Template을 적용한 예비초등교사의 에너지 관련 과학 탐구 사례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5 (5): 137-148, 2015

      6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

      7 Bell, R. L.,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40 : 487-509, 2003

      8 Waight, N., "From scientific practice 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Transfer of scientific technologies and realizations of authentic inquiry" 48 (48): 37-70, 2011

      9 Ebenezer, J., "Engaging students in environmental research projects: Perceptions of fluency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levels of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48 (48): 94-116, 2010

      10 Millar, R., "Analysing Practical Science Activities" The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 2010

      1 심규철,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4-31, 2007

      2 Giere, R. N.,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Thomson Wadsworth 33-62, 2006

      3 Duschl, R. A.,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Sense 2008

      4 Layton, D., "Science for the People: The Origins of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England" Allen & Unwin 1973

      5 신명경, "Science Writing Heuristic Template을 적용한 예비초등교사의 에너지 관련 과학 탐구 사례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5 (5): 137-148, 2015

      6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

      7 Bell, R. L.,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40 : 487-509, 2003

      8 Waight, N., "From scientific practice 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Transfer of scientific technologies and realizations of authentic inquiry" 48 (48): 37-70, 2011

      9 Ebenezer, J., "Engaging students in environmental research projects: Perceptions of fluency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levels of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48 (48): 94-116, 2010

      10 Millar, R., "Analysing Practical Science Activities" The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 2010

      11 DeBoer, G. E.,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1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13 임태훈, "2009개정 중학교 과학 1, 2, 3" 비상교육 2016

      14 전동렬, "2009개정 고등학교과학-1학년 공통" 미래엔 출판사 2016

      15 강남화,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32-143, 2013

      16 신명경, "009개정 교육과정 초․중․고 과학교과서의 날씨와 기후변화 관련 단원의 과학 활동 특징 탐색"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5 (5): 149-16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0.54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