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전 대구 등 대도시 철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쪽방밀집지역은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빈민계층의 대표적 주거지역으로 자리를 잡아오고 있다. 협소한 면적, 부대시설의 부재 및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6728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울 대전 대구 등 대도시 철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쪽방밀집지역은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빈민계층의 대표적 주거지역으로 자리를 잡아오고 있다. 협소한 면적, 부대시설의 부재 및 ...
서울 대전 대구 등 대도시 철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쪽방밀집지역은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빈민계층의 대표적 주거지역으로 자리를 잡아오고 있다. 협소한 면적, 부대시설의 부재 및 공동사용, 냉난방 미비 등 주거공간으로 매우 열악하지만 저렴한 임대료, 일용노동일자리 정보와 이동 편의성, 지역내 사회복지서비스가 주어지는 쪽방은 실직과 가족해체 등으로 빈곤의 벼랑끝에 몰린 노동자에게는 대안 없는 주거선택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 장기거주한 주민들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쪽방지역을 포함한 인근지역의 도시재개발사업이 압박해 오면서 그나마 갈 곳 없는 사람들의 보금자리 노릇을 해 왔던 쪽방밀집지역이 존폐위기에 놓이게 됐다. 재개발사업이 본격화할 경우 주민들은 노숙으로 내몰리거나 높은 임대료를 감수하거나 더욱 열악한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주민들의 터전을 유지하면서 지역개발을 꾀할 수 있는 도시재생사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 지역의 낙후한 시설물과 거리경관을 바꾸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고령화하고 있는 도시빈곤계층의 주거욕구를 담아내면서도 새로 이주해올 일반 주민들과의 공간적 분리를 극복하며 지역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도시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빈곤계층의 생활문화를 무조건 낡고 더럽고 버려야만 할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이들이 갖고 있는 문화 및 삶의 특성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단장함으로써 도시개발의 한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쪽방지역의 주거 및 공간적 현황 및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공간적 조건이 이들의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행태 및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S의 커뮤니티매핑과 네트워크분석 기법 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GIS는 기존의 다양한 정보에 지리정보를 결합시킴으로써 새로운 해석과 가치를 만들어내는 연구방법으로써 최근에는 사회복지분야에서도 복지시설의 입지선정, 서비스 접근성 분석등에 활용되고 있다.
커뮤니티매핑은 공공참여형 지리정보시스템(PPGIS)으로써 지역주민들이 자기 지역의 문제를 찾아내고 이를 개선해나가는 마을만들기 운동의 일환으로 최근 일부 지자체에서 시도되는 실천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수행의 편의를 위해 지역주민대신 대전• 충남지역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참여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GPS가 내장된 스마트폰으로 주거환경 및 거리의 특징, 문제점들을 찾아내 찍고 이를 구글의 지도서비스에 등록함으로써 새로운 형식의 지도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커뮤니티매핑작업에서는 지역의 문제점뿐 아니라 지역의 특징, 개발 가능한 장점 및 자원 또한 발견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렇게 완성된 지도가 향후 공유가 가능한 앱으로 만들어진다면 주민, 행정기관, 도시재생사업관계자들에게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쪽방지역 주민들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 이용행태 및 문제점을 찾아내고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배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두 번째 목적을 위해서는 GIS의 네트워크분석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주민들의 의료보건복지 서비스 이용정보에 지리정보를 결합하거나 이들의 이동범위, 인적 교류범위 등에 지리정보를 결합시켜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사회적 배제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 지역에서 진행될 도시재생사업의 기본 이념을 확인하고 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민들 삶의 개선과 도시환경의 개선을 동시에 꾀하고자 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질 때 이 지역은 쪽방지역 주민들뿐 아니라 인근 재개발사업을 통해 입주하게 된 비수급자 주민들과 철도역을 이용하는 외부인들이 함께 생활하며 뒤섞이는 공간이 될 것이다. 이들이 기름과 물처럼 겉돌지 않고, 쪽방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와 소외가 공간적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중요한 성과기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조건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