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산유체역학(CFD)를 활용한 정수공정에서 압력수 확산공정 진단 = Evaluation of Pressurized Water Diffusion in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CF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52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압력수 확산공정은 정수공정에서 응집제나 염소용해수를 고압의 압력수로 분사하여 혼합하는 공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압력수 확산공정에 대한 전산유체역학적(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압력수 확산공정은 정수공정에서 응집제나 염소용해수를 고압의 압력수로 분사하여 혼합하는 공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압력수 확산공정에 대한 전산유체역학적(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진단을 통해 투입한 약품의 완전 혼합거리 및 혼합 거리를 줄이기 위한 확산판의 크기와 설치거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진단결과 2,200 mm 대형관에 5 kg/cm2 압력수를 50 mm, 100 mm 분사관으로 분사할 경우 혼합이 완료되는 혼합거리는 4D였다. 혼합거리를 줄이기 위해 분사관 전방에 확산판을 설치할 경우 분사관이 50 mm일 때 0.1D 직경의 확산판을 분사관 전방 0.2D 거리에 설치하면 혼합거리를 3D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분사관이 100 mm인 경우는 확산판의 크기와 설치 거리와는 상관없이 확산판이 없는 4D보다 확산거리를 줄일 수 없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2,200 mm 관에 압력수를 분사하는 경우는 50 mm 분사관을 설치하는 것이 100 mm보다 휠씬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cess of Pressurized water diffusion is mixing process by pressurized water injection with coagulate and chlorine water in the water treatment 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mixing length and diameter of diffusion p...

      The Process of Pressurized water diffusion is mixing process by pressurized water injection with coagulate and chlorine water in the water treatment 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mixing length and diameter of diffusion plate and distance from injection pipe for complete mixing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rom the results of CFD simulation, when diameter of injection pipe is 50 mm, 100 mm and injection pressure is 5 kg/cm2 and the diameter of inlet pipe is 2,200 mm, the complete mixing length is 4D (D: Length as diameter of inlet pipe). When diameter of injection pipe is 50 mm, the diameter of the diffusion plate in o.1D and distance from injection pipe is 0.2D, the complete mixing length is 3D that is the most short mixing length. But when diameter of injection pipe is 100 mm and mutually related the diameter, distance of diffusion plate, the complete mixing length is 4D over. Therefore, as the diameter of inlet pipe is 2,200 mm, the injection pipe 50 mm is more efficient than 100 m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정수공정시 급속혼화조건이 응집효율에 미치는 영향" 12 (12): 631-640, 2001

      2 정철우, "응집공정에 적합한 In-Line 정적혼화기를 이용한 혼화공정의 개선" 대한상하수도학회 17 (17): 451-459, 2003

      3 Cockx, A., "Use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or simulating hydrodynamics and mass transfer in industrial ozonation towers" 54 (54): 5085-5090, 1999

      4 Clark, M. M., "Selection and Design of Mixing Processes for Coagulation" AWWA Research Foundation 1994

      5 Clark, M. M., "Selection and Design of Mixing Processes for Coagulation" AWWA Research Foundation 1994

      6 Kim, H. C., "Pump diffusion flash mixing for improving coagula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52 : 117-125, 2006

      7 Kim, H. C., "Pump diffusion flash mixing for improving coagula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52 : 117-125, 2006

      8 박영오, "Pump Diffusion Mixer에서압력수량에 따른 응집제 확산분포 특성" 대한상하수도학회 22 (22): 65-71, 2008

      9 Susumu Kawamura, "Integrated design and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60-175, 2000

      10 Hudson, H. E., "Design of Mixing and Sedimentation Basins" 59 (59): 1257-1268, 1967

      1 김은주, "정수공정시 급속혼화조건이 응집효율에 미치는 영향" 12 (12): 631-640, 2001

      2 정철우, "응집공정에 적합한 In-Line 정적혼화기를 이용한 혼화공정의 개선" 대한상하수도학회 17 (17): 451-459, 2003

      3 Cockx, A., "Use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or simulating hydrodynamics and mass transfer in industrial ozonation towers" 54 (54): 5085-5090, 1999

      4 Clark, M. M., "Selection and Design of Mixing Processes for Coagulation" AWWA Research Foundation 1994

      5 Clark, M. M., "Selection and Design of Mixing Processes for Coagulation" AWWA Research Foundation 1994

      6 Kim, H. C., "Pump diffusion flash mixing for improving coagula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52 : 117-125, 2006

      7 Kim, H. C., "Pump diffusion flash mixing for improving coagula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52 : 117-125, 2006

      8 박영오, "Pump Diffusion Mixer에서압력수량에 따른 응집제 확산분포 특성" 대한상하수도학회 22 (22): 65-71, 2008

      9 Susumu Kawamura, "Integrated design and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60-175, 2000

      10 Hudson, H. E., "Design of Mixing and Sedimentation Basins" 59 (59): 1257-1268, 1967

      11 박영오, "CFD모사 기법을 이용한 Pump Diffusion Mixer내의 응집제 확산분포에 대한 평가" 대한상하수도학회 22 (22): 49-63, 2008

      12 Cao, Z., "CFD simulations of net-type turbulence promoters in a narrow channel" 185 : 157-176, 2001

      13 Panneerselvam, R., "CFD simulation of hydrodynamics of gas–liquid–solid fluidised bed reactor" 64 (64): 1119-1135, 2009

      14 박희경, "Analysis of local velocity gradients in rapid mixer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Iwa Publishing 2 (2): 47-55, 2002

      15 Mazzolani, G., "A generalized settling approach in the mumerical modeling of sedimentation tanks" 38 (38): 95-102,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