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볼트는 시공중 지반조건 및 천공기계의 기계적 원인에 의해 수평으로부터 벗어나게 타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막장볼트가 수평으로부터 벗어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25733
서경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성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창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eo, Kyoung-Won ; Lee, Sung-Won ; Kim, Chang-Yong
2006
Korean
530
KCI등재
학술저널
345-354(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막장볼트는 시공중 지반조건 및 천공기계의 기계적 원인에 의해 수평으로부터 벗어나게 타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막장볼트가 수평으로부터 벗어나...
막장볼트는 시공중 지반조건 및 천공기계의 기계적 원인에 의해 수평으로부터 벗어나게 타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막장볼트가 수평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보강효과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해 주어야 하는 볼트의 개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막장 중앙부부터 타설하는 막장볼트는 가능한 한 수평으로 타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벗어나는 경우에는 볼트를 추가해 주어야 하는 것이 명확해 졌다. 본 연구의 조건하에서는3본/단면을 타설 할 경우 모든 볼트가 $R15^{\circ}$로 수평으로부터 벗어나면 1.5본/단면을 추가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installation of face bolts, they are often deviated from the designed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study, a laboratory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of support effect by them. Also, the number of bolts to be ...
During installation of face bolts, they are often deviated from the designed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study, a laboratory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of support effect by them. Also, the number of bolts to be added for achieving the designed support effect was considered. It was verified in this study that the horizontal installation is more effective. Under the test condition of this study, 1.5 bolts/section should be added in the face of which the installation density was 3 bolts/section when the bolts were installed with $R15^{\circ}$ angle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파쇄대 암반에서 얕은 심도의 터널 굴착시 막장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5 (5): 323-335, 2001
2 "터널표준시방서 산악공법편_동해설" 일본토목학회 1996
3 "장척막장볼트의 적용(안)" 12-17, 1996
4 "장척막장볼트의 시공실태 조사와 분석 Ⅱ" 231-327, 2000
5 "장척막장볼트에 의한 갱구부 막장 대책" 28 (28): 29-35,
6 "모형실험에 의한 수평보강재로 보강된 터널 막장의 거동 분석" 3 (3): 32-40, 2000
7 "막장볼트의 타설각도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22 (22): 1-8, 2006
8 "○○터널 대책공 검토업무 제2회 위원회 위원회자료" 2006
9 "Study on performance and application range of long face bolts" 41-46, 2006
10 "Behaviour of a tunnel face reinforced with longitudinal pipes-laboratory investigation" 4 (4): 91-99, 2002
1 "파쇄대 암반에서 얕은 심도의 터널 굴착시 막장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5 (5): 323-335, 2001
2 "터널표준시방서 산악공법편_동해설" 일본토목학회 1996
3 "장척막장볼트의 적용(안)" 12-17, 1996
4 "장척막장볼트의 시공실태 조사와 분석 Ⅱ" 231-327, 2000
5 "장척막장볼트에 의한 갱구부 막장 대책" 28 (28): 29-35,
6 "모형실험에 의한 수평보강재로 보강된 터널 막장의 거동 분석" 3 (3): 32-40, 2000
7 "막장볼트의 타설각도가 보강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22 (22): 1-8, 2006
8 "○○터널 대책공 검토업무 제2회 위원회 위원회자료" 2006
9 "Study on performance and application range of long face bolts" 41-46, 2006
10 "Behaviour of a tunnel face reinforced with longitudinal pipes-laboratory investigation" 4 (4): 91-99, 2002
11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longitudinal face bolt" Kyoto University 2004
12 "A 3-dimensional excavation model test about the effect of a tunnel pre-lining for the restraint of the ground deformation" 8 : 199-204, 1998
터널 배면의 간극수압이 해저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지반-라이닝 상호작용 모델을 이용한 터널 2차라이닝 설계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터널공학회 ->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영문명 : 미등록 ->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2011-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터널기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UNNELLING TECHNOLOGY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8 | 0.634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