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터널의 기하학적 형태 및 캐노피 설치가 터널 환기 및 화재 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5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계조절이나 설해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캐노피 구간 내에서의 기류유동특성의 이해는 정상환기 뿐만 아니라 비상시 대처방안 강구를 위한 요건이다. 또한 터널 방재시스템 설계를 위하여서는 종단구배, 평면선형, 단면크기 및 형태 등과 같은 터널의 다양한 특성이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도로터널의 전형적인 특성을 적용한 터널에 캐노피가 된 경우와 종단 및 선형구배, 단면적 및 형태, 곡선구간이 환기 및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CFD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145m길이의 캐노피인 경우 50%정도의 개구율이 기류유동 패턴 및 환기효과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1.8km 터널내에서 20MW 화재발생시 종단구배는 풍속분포와 화재연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제트팬$({\varnothing}1250)$ 4대를 가동한 경우 화재발생 후 5분 경과시 하류 40m지점 부근에서의 화재연 농도는 +2% 구배에서는 13% 감소, -2% 구배의 경우에는 20%정도 증가하며 또한 backlayering거리가 45m정도에 달한다. 직사각형 단면터널의 경우, 화재연 농도 및 풍속분포는 말굽형 터널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다. 3차선 터널에서는 이들 변수는 모두 감소하며 100초 경과시 50m 정도의 backlayering을 보이며 이후 서서히 감소한다. 곡선터널인 경우는 화재연의 확산이 느리며 100초 경과시 50m에 달하던 backlayering현상은 급격히 사라진다.
      번역하기

      시계조절이나 설해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캐노피 구간 내에서의 기류유동특성의 이해는 정상환기 뿐만 아니라 비상시 대처방안 강구를 위한 요건이다. 또한 터널 방재시스템 설계를 위하...

      시계조절이나 설해방지 목적으로 설치되는 캐노피 구간 내에서의 기류유동특성의 이해는 정상환기 뿐만 아니라 비상시 대처방안 강구를 위한 요건이다. 또한 터널 방재시스템 설계를 위하여서는 종단구배, 평면선형, 단면크기 및 형태 등과 같은 터널의 다양한 특성이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도로터널의 전형적인 특성을 적용한 터널에 캐노피가 된 경우와 종단 및 선형구배, 단면적 및 형태, 곡선구간이 환기 및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CFD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145m길이의 캐노피인 경우 50%정도의 개구율이 기류유동 패턴 및 환기효과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1.8km 터널내에서 20MW 화재발생시 종단구배는 풍속분포와 화재연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제트팬$({\varnothing}1250)$ 4대를 가동한 경우 화재발생 후 5분 경과시 하류 40m지점 부근에서의 화재연 농도는 +2% 구배에서는 13% 감소, -2% 구배의 경우에는 20%정도 증가하며 또한 backlayering거리가 45m정도에 달한다. 직사각형 단면터널의 경우, 화재연 농도 및 풍속분포는 말굽형 터널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다. 3차선 터널에서는 이들 변수는 모두 감소하며 100초 경과시 50m 정도의 backlayering을 보이며 이후 서서히 감소한다. 곡선터널인 경우는 화재연의 확산이 느리며 100초 경과시 50m에 달하던 backlayering현상은 급격히 사라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standing the airflow characteristics within the canopy structure installed between closely adjacent tunnels either for light adaptation or for protection from snow hazards is required for the normal ventilation as well as safety system design. Grade, horizontal alignment, cross-sectional area and shape are known to substantially influence the fire smoke behavior and their influences raise great concern for the safety design.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effects of tunnel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canopy installation on the ventilation and fire propagation through CFD analysis. In the case of 145m long canopy, 50% opening ratio is preferred with respect to the airflow pattern and ventilation efficiency. When a 20MW fire occurs in a 1.8km-long tunnel and four 1250mm reversible jet fans are instantly turned on, smoke concentration at 40m downstream of the fire decrease 13% for the upgrade tunnel with 2% gradient and increases 20% for -2% gradient, compared to the standard horizontal tunnel. Backlayering is observed within 45m-long segment toward the entrance in 2% down-graded tunnel. In a rectangular tunn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moke concentration as well as velocity profile from the standard crown tunnel. Three-laned tunnel shows lower level of both profiles and backlayering is detected up to 50m upstream of the fire, while the risky situation rapidly disappears thereafter.
      번역하기

      Understanding the airflow characteristics within the canopy structure installed between closely adjacent tunnels either for light adaptation or for protection from snow hazards is required for the normal ventilation as well as safety system design. Gr...

      Understanding the airflow characteristics within the canopy structure installed between closely adjacent tunnels either for light adaptation or for protection from snow hazards is required for the normal ventilation as well as safety system design. Grade, horizontal alignment, cross-sectional area and shape are known to substantially influence the fire smoke behavior and their influences raise great concern for the safety design.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effects of tunnel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canopy installation on the ventilation and fire propagation through CFD analysis. In the case of 145m long canopy, 50% opening ratio is preferred with respect to the airflow pattern and ventilation efficiency. When a 20MW fire occurs in a 1.8km-long tunnel and four 1250mm reversible jet fans are instantly turned on, smoke concentration at 40m downstream of the fire decrease 13% for the upgrade tunnel with 2% gradient and increases 20% for -2% gradient, compared to the standard horizontal tunnel. Backlayering is observed within 45m-long segment toward the entrance in 2% down-graded tunnel. In a rectangular tunn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moke concentration as well as velocity profile from the standard crown tunnel. Three-laned tunnel shows lower level of both profiles and backlayering is detected up to 50m upstream of the fire, while the risky situation rapidly disappears thereaf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터널특성이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아대학교 2002

      2 "인접터널간 canopy설치에 따른 오염물질 재유입연구" 93-130, 2002

      3 "인접터널간 canopy 설치에 따른 환기효과 분석" 205-210, 2001

      4 "대면교행터널에서 배연시스템구축과 화재모형실험에 의한 적정성평가" 15 (15): 452-461, 2005

      5 "The effect of wind on the ventilation of a road tunnel occupying an exposed position" 3-23, 1997

      6 "Safety features in the 10km long Plabutsch Tunnel" on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ong Tunnels 635-642, 2005

      7 "Air flow simulation and testing in Kastelec Tunnel" 5-16, 2006

      1 "터널특성이 화재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아대학교 2002

      2 "인접터널간 canopy설치에 따른 오염물질 재유입연구" 93-130, 2002

      3 "인접터널간 canopy 설치에 따른 환기효과 분석" 205-210, 2001

      4 "대면교행터널에서 배연시스템구축과 화재모형실험에 의한 적정성평가" 15 (15): 452-461, 2005

      5 "The effect of wind on the ventilation of a road tunnel occupying an exposed position" 3-23, 1997

      6 "Safety features in the 10km long Plabutsch Tunnel" on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ong Tunnels 635-642, 2005

      7 "Air flow simulation and testing in Kastelec Tunnel" 5-16,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터널공학회 ->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KCI등재
      2011-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터널기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UNNELLING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