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악 협측 치은에 발생한 모세혈관종 치험례  :  A CASE REPORT = TREATMENT OF CAPILLARY HEMANGIOMA ON MAXILLARY BUCCAL MUCO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1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혈관종은 혈관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유아와 어린이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진성종양으로 보다는 과오종(hamartoma)으로 보며 구강내 호발부위는 입술, 혀, 협점막 구개부 등이다. 임상소견은 편평하거나 융기된 적청색 병소로 보통 단발성이다.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모세혈관성(capillary), 해면상(cavernous), 혼합성(mixed), 경화성(sclerosing)등으로 분류되며 확진된다.
      본 증례는 6세 남자 환아가 치은에 뭐가 났다는 것을 주소로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62, 63 부위의 부착치은에 딸기모양 종물(mass)이 관찰되었다. 조직검사 시행 결과 모세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외과적 절제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혈관종은 재발이 드물며 악성전환이 없지만 출혈 경향이 높으므로 임상적 시술시 주의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혈관종은 혈관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유아와 어린이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진성종양으로 보다는 과오종(hamartoma)으로 보며 구강내 호발부위는 입술, 혀, 협점막 구개부 등이...

      혈관종은 혈관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유아와 어린이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진성종양으로 보다는 과오종(hamartoma)으로 보며 구강내 호발부위는 입술, 혀, 협점막 구개부 등이다. 임상소견은 편평하거나 융기된 적청색 병소로 보통 단발성이다.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모세혈관성(capillary), 해면상(cavernous), 혼합성(mixed), 경화성(sclerosing)등으로 분류되며 확진된다.
      본 증례는 6세 남자 환아가 치은에 뭐가 났다는 것을 주소로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62, 63 부위의 부착치은에 딸기모양 종물(mass)이 관찰되었다. 조직검사 시행 결과 모세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외과적 절제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혈관종은 재발이 드물며 악성전환이 없지만 출혈 경향이 높으므로 임상적 시술시 주의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emangioma, a benign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 is the most common tumor of infancy and childhood. In many instances, the lesion probably represents a hamartoma or malformation rather than a true neoplasm. In the oral cavity, common sites are lips, followed by tongue, buccal mucosa and pal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ppear as a flat or raised reddish-blue lesion and are generally solitary. They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histological appearance into capillary, mixed, cavernous or a sclerosing variety.
      A 6-year-old male of this case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ith a chief complaint of swelling lesion on gingiva. The strawberry appearance mass was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on attached gingiva at the upper left prim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Surgical excision and biopsy were carried out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the lesion was diagnosed with a capillary hemangioma. The risk of recurrence after this therapy is rare, and there is no malignant transformation.
      Despite their benign origins and behaviour, hemangiomas in the region of oral cavity are always clinically important to the dental profession because of bleeding tendency.
      번역하기

      The hemangioma, a benign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 is the most common tumor of infancy and childhood. In many instances, the lesion probably represents a hamartoma or malformation rather than a true neoplasm. In the oral cavity, common sites are ...

      The hemangioma, a benign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 is the most common tumor of infancy and childhood. In many instances, the lesion probably represents a hamartoma or malformation rather than a true neoplasm. In the oral cavity, common sites are lips, followed by tongue, buccal mucosa and pal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ppear as a flat or raised reddish-blue lesion and are generally solitary. They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histological appearance into capillary, mixed, cavernous or a sclerosing variety.
      A 6-year-old male of this case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ith a chief complaint of swelling lesion on gingiva. The strawberry appearance mass was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on attached gingiva at the upper left prim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Surgical excision and biopsy were carried out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the lesion was diagnosed with a capillary hemangioma. The risk of recurrence after this therapy is rare, and there is no malignant transformation.
      Despite their benign origins and behaviour, hemangiomas in the region of oral cavity are always clinically important to the dental profession because of bleeding tend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eatment of maxillary hemangioma with a sclerosing agent" 55 (55): 247-249, 1983

      2 "The use of transarterial micro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angiomas of the perioral region" 43 : 239-242, 1985

      3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W.B. Saunder Co 390-392, 1995

      4 "Invasive hemangioma of the head and neck" 120 : 495-500, 1970

      5 "Hemangiomas in infancy and childhood:a report based on 6479 cases" 36 : 1647-1663, 1956

      6 "Hem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s in infants and children:a classification based on endothelial characteristic" 69 : 412-420, 1982

      7 "Diagnosing and treating common oral pathologies" 38 (38): 1227-1264, 1991

      8 "Capillary hemangioma of maxilla" 268-273, 1990

      9 "Blood and lymphatic vessel tumors:report of 1056 cases" 71 : 569-, 1940

      1 "Treatment of maxillary hemangioma with a sclerosing agent" 55 (55): 247-249, 1983

      2 "The use of transarterial micro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angiomas of the perioral region" 43 : 239-242, 1985

      3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W.B. Saunder Co 390-392, 1995

      4 "Invasive hemangioma of the head and neck" 120 : 495-500, 1970

      5 "Hemangiomas in infancy and childhood:a report based on 6479 cases" 36 : 1647-1663, 1956

      6 "Hem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s in infants and children:a classification based on endothelial characteristic" 69 : 412-420, 1982

      7 "Diagnosing and treating common oral pathologies" 38 (38): 1227-1264, 1991

      8 "Capillary hemangioma of maxilla" 268-273, 1990

      9 "Blood and lymphatic vessel tumors:report of 1056 cases" 71 : 569-, 194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