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지자체 차원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복지기술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어 상용화되는지를 개발자의 경험을 통해 분석하고 구조화함으로써 복지기술 개발에 대한 정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48847
2022
Korean
Welfare technology ; commercialization ; public-private partnership ; quasi-market ; data ; 복지기술 ; 사업화 ; 민관협력 ; 준시장 ; 데이터
KCI등재
학술저널
37-67(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지자체 차원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복지기술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어 상용화되는지를 개발자의 경험을 통해 분석하고 구조화함으로써 복지기술 개발에 대한 정책...
이 연구는 최근 지자체 차원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복지기술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어 상용화되는지를 개발자의 경험을 통해 분석하고 구조화함으로써 복지기술 개발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기술 관련 기업 개발자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총 46개의 개념이 확인되었으며, 1) 복지기술 사업 참여배경과 제품개발, 2) 복지기술 제품개발 유형과 사업화 과정 등 2개의 주요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복지기술 기업의 특수성과 복지기술 생산과정에서의 민관협력의 실제, 정부의 구체적인 역할 등을 확인하였으며, 복지기술 개발에서 데이터 활용에 대한 정부의 합리적 가이드라인과 규칙 제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용, "효율적인 공공복지 실현을 위한 복지기술의 도입과 VR·AR콘텐츠 활용 방안에 관한 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5 (15): 85-96, 2019
2 어윤경, "호주의 디지털 정신건강 서비스 정책" 16 : 5-15, 2021
3 김선우, "한국과 미국의 중소기업 R&D 지원 비교와 시사점" STEPI 2019
4 박선미,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ICT 활용 사례 연구" 서울디지털재단 2019
5 정유화 ; 정성원, "음악요법을 이용한 노인의 우울증 완화 로봇 ‘BOOGI’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74-85, 2015
6 임홍탁,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발전방안" 보건복지부․한국과학기술원 2015
7 안상훈 ; 김수완 ; 박종연,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167-196, 2017
8 김수완 ; 최종혁, "사회서비스 기술혁신 모델로서 복지기술 리빙랩의 쟁점과 유형"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255-291, 2019
9 김수완, "복지기술플랫폼 구축연구-경기도 산․관․학 협력모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미래복지융복합연구소․Wel-Tech특성화 사업단 2019
10 김수완 ; 임정원 ; 최종혁, "복지기술은 사회 혁신인가: 독거노인을 위한 기술기반 돌봄서비스 사례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7-41, 2021
1 김효용, "효율적인 공공복지 실현을 위한 복지기술의 도입과 VR·AR콘텐츠 활용 방안에 관한 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5 (15): 85-96, 2019
2 어윤경, "호주의 디지털 정신건강 서비스 정책" 16 : 5-15, 2021
3 김선우, "한국과 미국의 중소기업 R&D 지원 비교와 시사점" STEPI 2019
4 박선미,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ICT 활용 사례 연구" 서울디지털재단 2019
5 정유화 ; 정성원, "음악요법을 이용한 노인의 우울증 완화 로봇 ‘BOOGI’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74-85, 2015
6 임홍탁,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발전방안" 보건복지부․한국과학기술원 2015
7 안상훈 ; 김수완 ; 박종연,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167-196, 2017
8 김수완 ; 최종혁, "사회서비스 기술혁신 모델로서 복지기술 리빙랩의 쟁점과 유형"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255-291, 2019
9 김수완, "복지기술플랫폼 구축연구-경기도 산․관․학 협력모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미래복지융복합연구소․Wel-Tech특성화 사업단 2019
10 김수완 ; 임정원 ; 최종혁, "복지기술은 사회 혁신인가: 독거노인을 위한 기술기반 돌봄서비스 사례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7-41, 2021
11 임정원 ; 최종혁 ; 김수완, "독거노인 대상 ICTIoT 기반 복지기술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_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55 : 1-38, 2021
12 최종혁 ; 임정원 ; 김수완,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의 주요 쟁점과 방향성: 현장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8) : 1-34, 2021
13 박소영 ; 이영석 ; 강창욱 ; 박화옥 ; 배성근 ; 이재욱 ; 최승숙,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95-304, 2017
14 임정원 ; 전병혜 ; 길혜민 ; 박영란, "공공실버주택 거주 노인을 위한 복지기술 기반 커뮤니티케어 모델개발 기초연구: 서비스 제공자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40 (40): 1327-1347, 2020
15 서지영,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기획과 성과확산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 STEPI 2013
16 김정근, "고령층을 위한 복지기술과 복지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56-166, 2018
17 김지연 ; 고영준, "고령자 안전생활지원 서비스 개선을 위한 ICT융합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디자인연구소 16 (16): 113-124, 2017
18 Baudin, K., "The policies of provision of assistive and welfare technology-a literature review" 10 (10): 22-, 2020
19 Frennert, S.,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in Swedish municipal eldercare" 43 (43): 1220-1227, 2021
20 Kuoppamaki, S., "The application and deployment of welfare technology in Swedish municipal care: a qualitative study of procurement practices among municipal actors" 21 : 918-, 2021
21 木下康仁, "M-GTA(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弘文堂 2007
22 Frennert, S., "Lost in digitalization? Municipality employment of welfare technologies" 14 (14): 635-642, 2019
23 Frennert, S., "Hitting a moving target : digital transformation and welfare technolgoy in Swedish municipal eldercare" 16 (16): 103-111, 2021
24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Focus on welfare technology"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2010
25 Hofmann, B., "Ethical challenges with welfare technolog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 (19): 389-406, 2013
26 Frennert, S., "Approaches to welfare technology in municipal eldercare" 38 (38): 226-246, 2020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사업관계자 FGI와 설문조사 중심의 고찰
사회적기업의 성장단계별 재정지원의 효과는 어떠한가? -서울시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RE-AIM 틀을 활용하여 살펴본 고독사․자살 예방사업의 시행과정과 성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2 | 1.86 | 2.025 | 0.21 |
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