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장 2000
3 "한국텍스트과학의 제 과제" 태학사 2001
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한국어의 서법 우리말연구 우리말 연구회" 41-75, 1993
6 "한국어 양태어미 연구" 2004
7 "한국어 서법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연구회" 77-114, 1993
8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89
9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0 "용언토의 분석과 양태 범주" 국어학회 29 : 141-169, 1997
1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장 2000
3 "한국텍스트과학의 제 과제" 태학사 2001
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한국어의 서법 우리말연구 우리말 연구회" 41-75, 1993
6 "한국어 양태어미 연구" 2004
7 "한국어 서법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연구회" 77-114, 1993
8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89
9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0 "용언토의 분석과 양태 범주" 국어학회 29 : 141-169, 1997
11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성경재 2003
12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3, 2003
13 "서법의 정의 및 한국어 서법 범주의 체계화" 한국어학회 1-8, 1999
14 "서법과 양태" 태학사 261-303, 1998
15 "문법교육의 본유적 경험 구조에 대한 일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3 : 491-515, 2007
16 "문법 영역의 내용 선정 방법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4 : 95-129, 2006
17 "국어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18 "국어지식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9 "국어의 양태 체계 정립을 위한 시론" 20 : 317-339, 2001
20 "국어의 시제 연구" 태학사 1996
21 "국어의 서법 체계에 관하여 문말 서법을 중심으로" 1990
22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79) : 2007
23 "국어 인식활동의 경험적 속성" 국어교육학회 27 : 337-373, 2006
24 "국어 양태소의 의미 기능 연구" 1995
25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2006
26 "교육의 과정" 19611992
27 "교육내용의 두 측면-이해와 활동" 교육과학사 1998
28 "Modality: issues in the semantics-pragmatics interface" Elsevier 2000
29 "Genre, text, grammar" Longman 2005
30 "Epistemic modality, language and conceptualiz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31 "Aspects of language" 1975
32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Typological perspective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