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법교육의 지식의 구조 체계화 방향 = The Systematization of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33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out the concept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we should focus on its experienti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structure of experience`, that is, it represents what a grammatical experience is. Once it is reconceptualized as such, it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between `out-of-class grammatical experience` and `in-class one`. For examining the grammatical experie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knowing a language`. In that sense, based on the concept of `stratum`, this study considers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as a layered entity. It means, if we want to explore `knowing a language` and its experiential meaning, then we should examine it in detailed as `what to know`, `how to know` and so on. In this study, we especially pay attention to `how to deal with language`. The structuralism and functionalism in language study represent the different views and ways to deal with language, so it could give us a meaningful reference to systematize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번역하기

      About the concept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we should focus on its experienti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structure of experience`, that is, it represents what a grammatical experienc...

      About the concept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we should focus on its experienti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structure of experience`, that is, it represents what a grammatical experience is. Once it is reconceptualized as such, it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between `out-of-class grammatical experience` and `in-class one`. For examining the grammatical experie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knowing a language`. In that sense, based on the concept of `stratum`, this study considers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as a layered entity. It means, if we want to explore `knowing a language` and its experiential meaning, then we should examine it in detailed as `what to know`, `how to know` and so on. In this study, we especially pay attention to `how to deal with language`. The structuralism and functionalism in language study represent the different views and ways to deal with language, so it could give us a meaningful reference to systematize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장 2000

      3 "한국텍스트과학의 제 과제" 태학사 2001

      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한국어의 서법 우리말연구 우리말 연구회" 41-75, 1993

      6 "한국어 양태어미 연구" 2004

      7 "한국어 서법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연구회" 77-114, 1993

      8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89

      9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0 "용언토의 분석과 양태 범주" 국어학회 29 : 141-169, 1997

      1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장 2000

      3 "한국텍스트과학의 제 과제" 태학사 2001

      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5 "한국어의 서법 우리말연구 우리말 연구회" 41-75, 1993

      6 "한국어 양태어미 연구" 2004

      7 "한국어 서법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연구회" 77-114, 1993

      8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1989

      9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0 "용언토의 분석과 양태 범주" 국어학회 29 : 141-169, 1997

      11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성경재 2003

      12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3, 2003

      13 "서법의 정의 및 한국어 서법 범주의 체계화" 한국어학회 1-8, 1999

      14 "서법과 양태" 태학사 261-303, 1998

      15 "문법교육의 본유적 경험 구조에 대한 일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3 : 491-515, 2007

      16 "문법 영역의 내용 선정 방법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4 : 95-129, 2006

      17 "국어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18 "국어지식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9 "국어의 양태 체계 정립을 위한 시론" 20 : 317-339, 2001

      20 "국어의 시제 연구" 태학사 1996

      21 "국어의 서법 체계에 관하여 문말 서법을 중심으로" 1990

      22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79) : 2007

      23 "국어 인식활동의 경험적 속성" 국어교육학회 27 : 337-373, 2006

      24 "국어 양태소의 의미 기능 연구" 1995

      25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2006

      26 "교육의 과정" 19611992

      27 "교육내용의 두 측면-이해와 활동" 교육과학사 1998

      28 "Modality: issues in the semantics-pragmatics interface" Elsevier 2000

      29 "Genre, text, grammar" Longman 2005

      30 "Epistemic modality, language and conceptualiz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31 "Aspects of language" 1975

      32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Typological perspectives"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