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방정환의 「마음의 꽃」에 나타난 ‘마음으로 피우는 꽃’의 의미 = A Comparative Study on ‘Flower of Heart’ by Bang Jung-Hwan and ‘Flower Competition’ Story in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06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수록된 「마음의 꽃」(1922)과 북한 옛이야기 그림책 『마음의 꽃』(1986), 중국 교과서에 수록된 「빈 화분을 든 아이(手捧空花盆的孩子)」(2001)를 비교 연구하여 ‘꽃 피우기’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쟁점은 방정환의 「마음의 꽃」과 후대의 작품들이 지닌 친연성이 아니라 ‘꽃피우기’ 서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소통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 과정에서 ‘마음이 착한 사람이 키우는 꽃’, ‘아름다운 꽃’의 의미를 찾아서 이 이야기가 지닌 현재적 가치를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주인공이 정성을 다하여 꽃을 길러도 만발하지 않는 과정을 극복하고 스스로 마음의 꽃을 피우는 여정을 통해 ‘마음으로 피워내는 꽃’의 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감동이 시대를 거슬러 독자와 소통하게 된 중요한 열쇠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수록된 「마음의 꽃」(1922)과 북한 옛이야기 그림책 『마음의 꽃』(1986), 중국 교과서에 수록된 「빈 화분을 든 아이(手捧空花盆的孩子)」(2001)를 비교...

      이 논문은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수록된 「마음의 꽃」(1922)과 북한 옛이야기 그림책 『마음의 꽃』(1986), 중국 교과서에 수록된 「빈 화분을 든 아이(手捧空花盆的孩子)」(2001)를 비교 연구하여 ‘꽃 피우기’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쟁점은 방정환의 「마음의 꽃」과 후대의 작품들이 지닌 친연성이 아니라 ‘꽃피우기’ 서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소통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 과정에서 ‘마음이 착한 사람이 키우는 꽃’, ‘아름다운 꽃’의 의미를 찾아서 이 이야기가 지닌 현재적 가치를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주인공이 정성을 다하여 꽃을 길러도 만발하지 않는 과정을 극복하고 스스로 마음의 꽃을 피우는 여정을 통해 ‘마음으로 피워내는 꽃’의 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감동이 시대를 거슬러 독자와 소통하게 된 중요한 열쇠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flowering by comparing The flower of heart(1922) in The gift of love of Jung Hwan Bang, The flower of the mind(1986) of the old story book in North Korea, and The empty flower pot(2001) in the Chinese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flowering’.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 narratives of ‘the flowering of flowers’ are constantly maintained and communicated, not the affection of the ‘flower of the heart’ and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 the process, I want to show the present value of this story by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flower grown by a good heart’, ‘beautiful flower’. In particular, the hero conveys the meaning of the flower that blooms through the mind through the journey to overcome the process that does not bloom even if the flower grows with all its soul, and to bloom the flower of the heart by oneself. The impression that emerges in this process is an important key to communicate with the reader through the age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flowering by comparing The flower of heart(1922) in The gift of love of Jung Hwan Bang, The flower of the mind(1986) of the old story book in North Korea, and The empty flower pot(2001) in the Chinese textbook...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flowering by comparing The flower of heart(1922) in The gift of love of Jung Hwan Bang, The flower of the mind(1986) of the old story book in North Korea, and The empty flower pot(2001) in the Chinese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flowering’.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 narratives of ‘the flowering of flowers’ are constantly maintained and communicated, not the affection of the ‘flower of the heart’ and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 the process, I want to show the present value of this story by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flower grown by a good heart’, ‘beautiful flower’. In particular, the hero conveys the meaning of the flower that blooms through the mind through the journey to overcome the process that does not bloom even if the flower grows with all its soul, and to bloom the flower of the heart by oneself. The impression that emerges in this process is an important key to communicate with the reader through the ag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