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조선 중기 주자학이 대세를 이루던 시대에 살았던 현실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浦渚 趙翼의 『中庸』에 대한 관점을 경학사의 관점에서 문화다원론적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조익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중기 주자학이 대세를 이루던 시대에 살았던 현실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浦渚 趙翼의 『中庸』에 대한 관점을 경학사의 관점에서 문화다원론적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조익의 ...
이 글은 조선 중기 주자학이 대세를 이루던 시대에 살았던 현실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浦渚 趙翼의 『中庸』에 대한 관점을 경학사의 관점에서 문화다원론적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조익의 시대는 이미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에 의해 주자학이 조선에 일정 정도 일반화된 시대였다. 형이상학적 입장에서나 현실 정치학적 입장에서도 조선의 國是인 성리학이 자리를 공고하게 잡아가던 시기였다. 『중용』 관련한 최초의 논설인 「中庸說」은 이후 『中庸私覽』과 『中庸困得』 저작의 대체적 방향과 내용을 논한 것으로 그 두 책의 기본 사상노선을 예고한 것이었다. 「中庸困得後說上下」는 중용 관련한 마지막 논설로서 「중용설」로부터 시작된 자신의 『중용』관을 종합적으로 재천명하면서 정리한 글이다. 이 글은 조익의 대표적인 『중용』 관련 저작으로 29세 때 지은 『中庸私覽』과 37세 때의 『中庸困得』을 중심으로 경학적 전이와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조익의 경학에 대한 초기 연구가 양명학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작업에서 시작되어 마치 양명학자인 것처럼 오인되어 왔으나, 전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익의 경학을 가정의 방식으로 양명학으로 치부하는 것은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양명학으로 보기에는 주자학적 색채가 너무나 강하다. 조익 스스로 朱子를 높인 언설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주변인들도 조익의 경학을 주자학 외의 것으로 규정한 바가 없다. 『중용』의 분절 방식에서 饒魯의 설을 채택한 부분이 많은 것을 가지고 반주자학으로 매도하는 것도 이미 朱熹의 설 가운데에 饒魯의 분절 방식이 먼저 존재했기 때문에 근거가 없다. 또한 그의 교유관계를 가지고 양명학자로 간주하는 것도 당대 사람들의 평가와 조익 자신의 글에 있는 자료들을 놓고 보면 전혀 근거가 없는 것들이다. 지각본선설이나 만물일체사상 같은 경우도 이미 朱熹의 저서에 내포되어 있다. 현실정치적인 실천성을 가지고 양명학적 良知良能의 실현으로 본다거나, 陽朱陰王說도 전혀 근거가 없는 것들이다. 조익은 朱熹를 공자 이후 가장 훌륭한 일인자로 평가하였고, 그를 존숭하고 심복하였다. 그가 주희와는 다른 견해들을 제출한 것은 주자학을 보다 더 공고히 하는 데에 세심함을 더했을 뿐이다. 경학사적으로 볼 때, 조익의 경학은 주자학의 테두리 안에서 퇴계학과 율곡학의 계열과는 다른 계열의 학문을 전개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것은 한국의 경학사를 풍부하게 하는 일면으로 연구하고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보인다. 그것은 조선의 유학사를 이기론과 심성론과 같은 형이상학 위주의 서술에서 더하여 경전에 대한 분류론, 구성론 등의 문법학으로 확장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수 있으며, 경도된 성인론에서 탈피하여 진리론 그 자체에 대한 탐구로 진전시킬 수 있는 큰 계기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article of Pojeo Cho Yik (浦渚 趙翼: 1579~1655)’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the mid-Joseon Dynasty, when Neo Confucianism was overwhelming. At the age of 24, he wrote the Article of Doc...
This paper is a article of Pojeo Cho Yik (浦渚 趙翼: 1579~1655)’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the mid-Joseon Dynasty, when Neo Confucianism was overwhelming. At the age of 24, he wrote the Article of Doctrine of the Mean (jung yong seol 中庸說) which was explained the basic lines of the books related to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o be written later. He wrote the Indivisual Opinion of Zhongyong (jung yong sa ram 中庸私覽) at 29, and wrote the Hard-earned Zhongyong (jung yong gon deuk 中庸困得) at 37.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s and consistency of his point of view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n Korean History of Classical Learning, focusing on the Indivisual Opinion of Zhongyong (中庸私覽) and the Hard-earned Zhongyong (中庸困得). The early research on his scholarship started from the work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 Yangming (王陽明) and it has been mistaken as one of the schools derived from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but it turns out to be absolutely irrelevant. His thoughts and arguments are so strong in the colors of Neo Confucianism, whicd is derived from the teachings of Zhu Xi (朱熹). And the scholars who knew him at that time absolutely did not define his study as the study of Wang Yang-ming. We can not say that he is the opposite of Zhu Xi, just because his way of distinguishing sentences of the book of Doctrine of the Mean (中庸) is different from Zhu Xi. Because Zhu Xi had already mentioned it in his other works. And although he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Yangming scholars, they had never mentioned him as a Yangming scholar. Cho Yik regarded Zhu Xi as the best person after Confucius, and genuinely admired him. His submission of opinions different from Zhu Xi only added to his meticulousness to further strengthen Zhu Xi’s neo Confucia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乙浩, "한국철학연구 중권" 동명사 1978
2 黃義東,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3 李相鉉, "포저(浦渚)조익(趙翼 : 1579~1655)의 생애와 사상" 민족문화추진회 2005
4 전재동,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영남퇴계학연구원 (20) : 63-92, 2017
5 최석기, "조선시대 中庸圖說" 보고사 2013
6 朱彛尊, "點校補正經義考" 中央硏究院 中國文哲硏究所 1997
7 趙翼, "韓國文集叢刊 85" 民族文化推進會 1988
8 최석기, "陽村 權近의 [中庸]解釋과 그 意味" 경남문화연구원 (17) : 163-214, 2004
9 강문식, "趙翼의 『大學』 연구와 『大學困得』의 특징" 조선시대사학회 (49) : 99-134, 2009
10 倪士毅, "續修四庫全書經部160" 上海古籍出版社 1995
1 李乙浩, "한국철학연구 중권" 동명사 1978
2 黃義東,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3 李相鉉, "포저(浦渚)조익(趙翼 : 1579~1655)의 생애와 사상" 민족문화추진회 2005
4 전재동,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영남퇴계학연구원 (20) : 63-92, 2017
5 최석기, "조선시대 中庸圖說" 보고사 2013
6 朱彛尊, "點校補正經義考" 中央硏究院 中國文哲硏究所 1997
7 趙翼, "韓國文集叢刊 85" 民族文化推進會 1988
8 최석기, "陽村 權近의 [中庸]解釋과 그 意味" 경남문화연구원 (17) : 163-214, 2004
9 강문식, "趙翼의 『大學』 연구와 『大學困得』의 특징" 조선시대사학회 (49) : 99-134, 2009
10 倪士毅, "續修四庫全書經部160" 上海古籍出版社 1995
11 趙翼, "浦渚全集(上下)" 보경문화사 1989
12 조남권, "浦渚 조익선생의 생애와 경륜(2)"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5 : 1999
13 조남권, "浦渚 조익선생의 생애와 경륜 (1)"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4 : 1998
14 장병한, "浦渚 趙翼의 ?中庸私覽?에 대한 연구(1)- ‘中庸’과 ‘費隱’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19 : 333-356, 2002
15 함영대, "浦渚 趙翼의 학문관과 경학" 동방한문학회 (34) : 203-241, 2008
16 장병한, "浦渚 趙翼의 中庸 이해" 한국실학학회 (14) : 57-92, 2007
17 이신경, "浦渚 趙翼의 『중용』 분절-『中庸困得』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32 (32): 171-199, 2015
18 강지은, "浦渚 趙翼의 『中庸私覽』의 經學的 고찰 -雙峯 饒魯 說 受容과 관련하여-" 한국한문학회 (48) : 113-142, 2011
19 張炳漢, "浦渚 趙翼의 『中庸私覽』에 대한 연구 (2) -17세기初 性理學的 經學思惟의 극복성향과 관련하여" 33 : 2003
20 한정길, "浦渚 趙翼과 양명학의 연관성 주장에 대한 타당성 검토" 한국실학학회 (14) : 93-136, 2007
21 宋錫準, "浦渚 趙翼 經學思想의 哲學的 基礎-性理說과 陽明學的 性格을 中心으로-" 6 : 1985
22 柳承國, "東洋哲學硏究" 槿域書齋 1977
23 宋錫準, "朱子學 批判論者들의 經典解釋-"대학"의 해석을 중심으로-" 22 : 2000
24 최석기, "寒洲 李震相의 『中庸』分節說" 동양한문학회 34 (34): 305-340, 2012
25 朱熹, "四書章句集註" 中華書局 1983
26 周予同, "周予同經學史論著選集" 上海人民出版社 1996
27 趙翼, "中庸私覽 (포저 조익선생의 삶과 사상)" 경기문화재단 2007
28 최석기, "『中庸』의 分節問題와 崔象龍의 解釋" 우리한문학회 19 : 1265-1291, 2008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 이해 - 『대학』 편장 개정과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중심으로
이언적의 『中庸九經衍義』와 『中庸九經衍義別集』의 경학사상사적 특색
16-17세기 朝鮮 經學에 있어서 朱子 中和說의 수용과 비판 – 趙翼과 朴世堂의 中和說을 중심으로
遲川 崔鳴吉의 『대학』관 - 주희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의 한 양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