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 이해 - 『대학』 편장 개정과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6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초기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은 주희의 『대학장구』 편장 개정 및 이른바 “격물보전(格物補傳)”이 『대학』의 본래 의미를 왜곡했다고 보았다. 그는 주희가 전문(傳文) 제4장으로 보았던 “청송[聽訟]” 절이 본래 경문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었던 것이며, 『대학장구』 경문(經文) 중 “知止而后有定” 소절(小節)과 “물유본말(物有本末)” 소절은 착간(錯簡)에 의해 현재의 자리에 놓인 것으로, 본래 그 두 구절은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언적은 “청송” 절을 경문 마지막 부분에 놓음으로써, 통치자가 수양을 통해 도덕성을 회복하고 회복된 도덕성을 바탕으로 덕치(德治)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대학의 핵심 종지라고 이해하였다. 이언적이 제시했던 덕치 이념은 통치자의 위력에 의해 백성을 복종시키는 것을 배제하고, 인심을 감동시키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주희의 덕치 이념보다 철저한 것이었다. 한편, 이언적은 기존의 경문 구절을 갖고 와서 격물치지 전(傳)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그는 “격물치지”에 대해, 사회 제도와 관습의 형식에 매몰되지 않고 그 본질과 그 기원을 찾아내며, 그 본질과 기원이 인간의 덕성에 있다는 것과 그 덕성이 마음의 본원임을 자각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언적이 이해한 “격물치지”는 결국 인간의 덕성 회복으로 귀결되고, 인간이 덕성을 온전히 회복하였을 때 덕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언적의 생각이었다. 대학장구의 편장 개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언적의 성리학설은 겉보기에는 매우 실천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이고 정적(靜的)인 동시에 낙관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는 구체적 상황을 도덕 원칙에 따라 바로 잡기보다 시선을 내면으로 돌려 자기마음 속에서 도덕 원칙을 확인하려 하였고, 도덕 원칙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안정시키려 하였으며, 안정된 마음에서 비롯한 고요한 사유로써 만물의 이치를 관조하는 데 치중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만물의 이치를 체득할 경우 무위의 덕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조선 초기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은 주희의 『대학장구』 편장 개정 및 이른바 “격물보전(格物補傳)”이 『대학』의 본래 의미를 왜곡했다고 보았다. 그는 주희가 전문(傳文) 제4장으로 ...

      조선 초기 유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은 주희의 『대학장구』 편장 개정 및 이른바 “격물보전(格物補傳)”이 『대학』의 본래 의미를 왜곡했다고 보았다. 그는 주희가 전문(傳文) 제4장으로 보았던 “청송[聽訟]” 절이 본래 경문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었던 것이며, 『대학장구』 경문(經文) 중 “知止而后有定” 소절(小節)과 “물유본말(物有本末)” 소절은 착간(錯簡)에 의해 현재의 자리에 놓인 것으로, 본래 그 두 구절은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언적은 “청송” 절을 경문 마지막 부분에 놓음으로써, 통치자가 수양을 통해 도덕성을 회복하고 회복된 도덕성을 바탕으로 덕치(德治)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 대학의 핵심 종지라고 이해하였다. 이언적이 제시했던 덕치 이념은 통치자의 위력에 의해 백성을 복종시키는 것을 배제하고, 인심을 감동시키는 정치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주희의 덕치 이념보다 철저한 것이었다. 한편, 이언적은 기존의 경문 구절을 갖고 와서 격물치지 전(傳)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그는 “격물치지”에 대해, 사회 제도와 관습의 형식에 매몰되지 않고 그 본질과 그 기원을 찾아내며, 그 본질과 기원이 인간의 덕성에 있다는 것과 그 덕성이 마음의 본원임을 자각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언적이 이해한 “격물치지”는 결국 인간의 덕성 회복으로 귀결되고, 인간이 덕성을 온전히 회복하였을 때 덕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언적의 생각이었다. 대학장구의 편장 개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언적의 성리학설은 겉보기에는 매우 실천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이고 정적(靜的)인 동시에 낙관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는 구체적 상황을 도덕 원칙에 따라 바로 잡기보다 시선을 내면으로 돌려 자기마음 속에서 도덕 원칙을 확인하려 하였고, 도덕 원칙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안정시키려 하였으며, 안정된 마음에서 비롯한 고요한 사유로써 만물의 이치를 관조하는 데 치중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만물의 이치를 체득할 경우 무위의 덕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聽訟]”,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forth explanatory notes by Zhu Xi, should be moved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of Daehak. Besides, He thought that the phrase “知止而后有定” and “物有本末” were originally the explanatory note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ring knowledge and moved to the first chapter by edit error in older times. By putting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 in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Lee regarded the core messages of Daehak as the ruler’s restoring of the moral nature and practising moral politics. The idea of moral politics presented by Lee excluded the subduing people with power and Lee pursued the politics of moving people’s heart. This idea of moral politics was more thorough than that of Zhu Xi. According to Le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means that men/women must not be buri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instead they should find the origins and the essences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understood by Lee resulted in the restoring of moral nature, and only then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complet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Lee seems to be very practical, in fact it had the optimistic, quiet,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rrecting concrete situation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he tried to identify moral principles in his mind by turning his eyes inward, and setting his mind at rest by focusing on moral principles. Besides, he was drawn to contemplation of the principles of myriad things and events through the calm mind. Finally, he presented an optimistic outlook that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practiced by fully restoring the moral nature in one’s mind in a way of learning the principles by oneself.
      번역하기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聽訟]”,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forth explanatory notes by Zhu Xi, should be moved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of Daehak. Besides, He thought that the phrase “知止而后有定” and “物有本末” were originally the explanatory note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ring knowledge and moved to the first chapter by edit error in older times. By putting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 in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Lee regarded the core messages of Daehak as the ruler’s restoring of the moral nature and practising moral politics. The idea of moral politics presented by Lee excluded the subduing people with power and Lee pursued the politics of moving people’s heart. This idea of moral politics was more thorough than that of Zhu Xi. According to Le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means that men/women must not be buri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instead they should find the origins and the essences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understood by Lee resulted in the restoring of moral nature, and only then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complet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Lee seems to be very practical, in fact it had the optimistic, quiet,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orrecting concrete situation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he tried to identify moral principles in his mind by turning his eyes inward, and setting his mind at rest by focusing on moral principles. Besides, he was drawn to contemplation of the principles of myriad things and events through the calm mind. Finally, he presented an optimistic outlook that the moral politics would naturally be practiced by fully restoring the moral nature in one’s mind in a way of learning the principles by one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
      • 3. 정이와 주희의 『대학』 편장 개정
      • 4. 경문(經文)의 개정과 덕치 이념의 부각
      • Abstract
      • 1. 머리말
      • 2.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
      • 3. 정이와 주희의 『대학』 편장 개정
      • 4. 경문(經文)의 개정과 덕치 이념의 부각
      • 5. “격물치지”절의 새로운 구성과 철학적 함축
      • 6. 결론
      • 참고문헌
      • 요약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희, "李彦迪의 朱子 『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유교학회 (34) : 202-221, 2008

      2 李學勤, "禮記正義" 北京大學出版社 1999

      3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생애와 사상"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 : 1992

      4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經學思想- 『大學章句補遺』의 분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1 : 1985

      5 김교빈, "한국 성리학을 뿌리내린 철학자 이언적" 성균관대학교 2010

      6 최석기, "조선시대 『대학장구』 개정과 그에 관한 논변" 보고사 2011

      7 이지형, "이회재의 사상과 그 세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

      8 고성애, "이언적의 태극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조창열, "역주 대학장구보유ㆍ속대학혹문" 한국학술정보(주) 2008

      10 정호훈,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의 지식 세계와 그 영향" 한국사상사학회 (51) : 185-239, 2015

      1 이동희, "李彦迪의 朱子 『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유교학회 (34) : 202-221, 2008

      2 李學勤, "禮記正義" 北京大學出版社 1999

      3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생애와 사상"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 : 1992

      4 이동희, "회재 이언적의 經學思想- 『大學章句補遺』의 분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1 : 1985

      5 김교빈, "한국 성리학을 뿌리내린 철학자 이언적" 성균관대학교 2010

      6 최석기, "조선시대 『대학장구』 개정과 그에 관한 논변" 보고사 2011

      7 이지형, "이회재의 사상과 그 세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

      8 고성애, "이언적의 태극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조창열, "역주 대학장구보유ㆍ속대학혹문" 한국학술정보(주) 2008

      10 정호훈,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의 지식 세계와 그 영향" 한국사상사학회 (51) : 185-239, 2015

      11 최재목, "朝鮮에서 朱子 『大学章句』에 대한 한 挑戦 - 盧守愼의 『大學集錄』을 中心으로 -" 한국양명학회 (27) : 121-174, 2010

      12 "書經"

      13 최석기, "晦齋의 「大學章句」 改訂과 後代의 論辨" 정신문화연구원 21 (21): 1998

      14 李彦迪, "晦齋全書" 成均館大學校 大同文化硏究院 1973

      15 김교빈, "晦齋 李彦迪의 哲學과 政治思想" 박영사 2000

      16 楊伯峻, "孟子譯註" 中華書局 2003

      17 李彦迪, "國譯 晦齋全書" 默民回甲記念事業會 1974

      18 朱熹, "四書集註" 藝文印書館 1973

      19 朱熹, "四書或問" 上海古籍出版社 2001

      20 程顥, "二程集"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