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15년 서울시와 성남시가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서울시의 청년수당 형태의 정책을 도입한 현상을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이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44647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2021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youth allowances by local governments :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Daegu metropolitan city as cases of policy transfer
v, 74 p. ; 26 cm
지도교수: 김원섭
참고문헌: p. 66-70
I804:11009-00000025156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15년 서울시와 성남시가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서울시의 청년수당 형태의 정책을 도입한 현상을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이론...
이 논문은 2015년 서울시와 성남시가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서울시의 청년수당 형태의 정책을 도입한 현상을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여러 지방정부들 중 광주시와 대구시를 대상으로 청년수당 도입과정을 정책이전 이론과 인과과정추적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두 지역 모두 정책이전의 상호의존성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광주시는 동류화(emulation), 동형화(isomorphism) 메커니즘으로, 대구시는 경쟁(competition) 메커니즘으로 판별됐다. 이후 이 분석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두 지역의 정책 도입 과정에서의 정책이전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 내부요인들을 정리해 정치적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의 가설을 도출했다. 반사실적 추론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광주시의 경우 단체장이라는 정치적 요인보다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주요했고 대구시는 선거요인도 물론 있었지만 이보다는 경쟁 지방정부에 대한 대응이라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중요한 영향이 있었다고 분석됐다. 또한 지역사회요인인 청년인구 유출은 두 지역 모두에서 물론 그러한 문제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들이 가장 신경 쓰고 경계하는 경쟁 지방정부인 서울과 같은 곳에서 지역의 구성원들에게 인기를 끄는 정책을 도입한다면 충분히 그에 대한 대응으로 비슷한 정책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따라서 두 지방정부 모두에서 지역사회 요인보다는 정책이전이라는 외부요인이 더 주요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