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동시에 제시될 때, 두 정보가 모두 지각되기 보다는 시각 정보가 더 우세하게 지각되는 현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시각 우세성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시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9581830
2009
Korean
181.305
KCI등재
학술저널
109-124(16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동시에 제시될 때, 두 정보가 모두 지각되기 보다는 시각 정보가 더 우세하게 지각되는 현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시각 우세성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시각 ...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동시에 제시될 때, 두 정보가 모두 지각되기 보다는 시각 정보가 더 우세하게 지각되는 현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시각 우세성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시각 우세성 효과에 각 정보의 의미적 일치여부의 속성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목표자극이 되는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의 의미적 속성이 서로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오류율의 분석에서는 의미적 일치 여부에 따라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응시간의 분석에서는 의미적 일치 여부에 따라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과제의 특성에 따라 의미적 일치성이 시각 우세성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simultaneously, we perceive visual information dominantly over auditory information. This effect is called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gruence of...
When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simultaneously, we perceive visual information dominantly over auditory information. This effect is called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gruence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on the visual dominance effect. The semantic congruence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dominance effect obtained in error rates was not modulated by semantic congruence, whereas the effect in RT was. It is suggested that this modulation of the influence of semantic congruence on the visual dominance effect would be due to the task typ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성, "자극과 반응의 감각양상에 따른 스트룹 효과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2473-2481, 2006
2 김보성, "자극과 반응양상 부합성이 선택적 대상-기반 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819-831, 2008
3 민윤기, "얼굴표정 방해자극이 감정단어 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1407-1415, 2007
4 정진옥, "단서의 감각양상에 따른 시각탐색과제 수행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521-2531, 2007
5 김보성, "다중 정보 제시 상황에서 공간, 시각, 청각 정보의 정보 양상 우세성 관계: 디스플레이와 제어장치 설계를 위한 함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 (20): 95-107, 2008
6 Posner, M. I, "Visual dominance: An information-processing account of its origins and significance" 83 : 157-171, 1976
7 Cooper, R, "Visual dominance and the control of action" Mahwah 250-255, 1998
8 Sinnett, S, "Visual dominance and attention: The Colavita effect revisited" 69 : 673-686, 2007
9 Rock, I, "Vision and touch: An experimentally created conflict between the two senses" 143 : 594-596, 1964
10 Rock, I., "Vision and touch" 216 : 96-104, 1967
1 김보성, "자극과 반응의 감각양상에 따른 스트룹 효과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2473-2481, 2006
2 김보성, "자극과 반응양상 부합성이 선택적 대상-기반 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819-831, 2008
3 민윤기, "얼굴표정 방해자극이 감정단어 탐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1407-1415, 2007
4 정진옥, "단서의 감각양상에 따른 시각탐색과제 수행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521-2531, 2007
5 김보성, "다중 정보 제시 상황에서 공간, 시각, 청각 정보의 정보 양상 우세성 관계: 디스플레이와 제어장치 설계를 위한 함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 (20): 95-107, 2008
6 Posner, M. I, "Visual dominance: An information-processing account of its origins and significance" 83 : 157-171, 1976
7 Cooper, R, "Visual dominance and the control of action" Mahwah 250-255, 1998
8 Sinnett, S, "Visual dominance and attention: The Colavita effect revisited" 69 : 673-686, 2007
9 Rock, I, "Vision and touch: An experimentally created conflict between the two senses" 143 : 594-596, 1964
10 Rock, I., "Vision and touch" 216 : 96-104, 1967
11 Quinlan, P, "The "late" locus of visual dominance" 5 : 614-628, 2000
12 Shapiro, K. L, "Stimulus-reinforcer interactions in Pavlovian conditioning of pigeons: Implications for selective associations" 8 : 586-594, 1980
13 Koppen, C, "Semantic congruency and the Colavita visual dominance effect" 184 : 533-546, 2008
14 Egeth, H. E, "On the locus of visual dominance" 22 : 77-86, 1977
15 Colavita, F. B, "Human sensory dominance" 16 : 409-412, 1974
16 Hohnsbein, J, "Effects of crossmodal divided attention on the late ERP components: I. Simple and choice reaction tasks" 78 : 438-446, 1991
17 Klein, R. M, "Attention and visual dominance: A chronometric analysis" 3 : 365-378, 197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178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