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믹스 기술을 이용한 발암성 독성평가기술 개발 연구 = Establishment of carcinogenic toxicity test method using omics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rcinogenicity of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is a major concern.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develop methods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including rodent and cell-based approaches. However, rodent carcinogenicity tests for evaluating the carcinogenic potential of a chemical to humans are time-consuming and cost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method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using quantitative PCR (qPCR) and colon cancer stem cells. A toxicogenomic method, mRNA profiling, is useful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Using microarray analysis, we optimized 15 predictive gene sets from five carcinogens (azoxymethane, 3,2'-dimethyl-4-aminobiphenyl, N-ethyl-n-nitrosourea, metronidazole, 4-(n-methyl-n-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used to treat colon cancer stem cell samples. The 15 genes were evaluated by qPCR using 30 positive and negative carcinogens in colon cancer stem cells. Among them, eight genes could differentiat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carcinogens with a p-value of ≤0.05. Our qPCR based prediction system for colon carcinogenesis using colon cancer stem cells is cost- and time-efficient. Thus, this qPCR-based prediction system is an alternative to in vivo carcinogenicity screening assays.
      번역하기

      The carcinogenicity of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is a major concern.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develop methods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including rodent and cell-based approaches. However, rodent carcinogenicity tests for e...

      The carcinogenicity of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is a major concern.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develop methods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including rodent and cell-based approaches. However, rodent carcinogenicity tests for evaluating the carcinogenic potential of a chemical to humans are time-consuming and cost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method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using quantitative PCR (qPCR) and colon cancer stem cells. A toxicogenomic method, mRNA profiling, is useful for predicting carcinogenicity. Using microarray analysis, we optimized 15 predictive gene sets from five carcinogens (azoxymethane, 3,2'-dimethyl-4-aminobiphenyl, N-ethyl-n-nitrosourea, metronidazole, 4-(n-methyl-n-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used to treat colon cancer stem cell samples. The 15 genes were evaluated by qPCR using 30 positive and negative carcinogens in colon cancer stem cells. Among them, eight genes could differentiat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carcinogens with a p-value of ≤0.05. Our qPCR based prediction system for colon carcinogenesis using colon cancer stem cells is cost- and time-efficient. Thus, this qPCR-based prediction system is an alternative to in vivo carcinogenicity screening ass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 속 화학물질의 발암성은 주요 관심사이다. 최근에 들어 발암성을 예측하기 위한 설치류와 세포 기반의 실험법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화학물질의 발암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치류 발암성 시험법은 긴 기간과 고비용이 소요된다. 이 연구는 양적 중합효소연쇄반응과 대장암 줄기세포를 이용한 대체 발암성 평가법을 개발하는데 집중하였다. 유전체 독성법 중에 하나인 mRNA 프로파일링은 발암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용하다. 5가지 발암물질(azoxymethane, 3, 2'-dimethyl-4- aminobiphenyl, N-ethyl-n-nitrosourea, metronidazole, 4-(n-methyl -n- nitrosamino) (3-pyridyl)-1-butanone)을 처리한 대장암 줄기세포에 유전체, 단백체 대사단백체 등을 이용하여 15개의 후보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또한 xenograft를 통하여 in vivo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선별된 유전자를 활용하여 발암성 예측을 위한 qPCR 시험법을 마련하였다. 그 후, 대장암 줄기세포에 30 가지 양성 및 음성물질을 처리하여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그 중, 8가지 유전자가 양성 및 음성물질을 구별할 수 있었다(p-value <0.05). 대장암 줄기세포 및 양적 중합효소 연쇄반을 이용한 실험법은 비용 및 시간절약적인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 양적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반 발암성 예측법은 in vivo(체내에서 진행되는) 발암성 평가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번역하기

      환경 속 화학물질의 발암성은 주요 관심사이다. 최근에 들어 발암성을 예측하기 위한 설치류와 세포 기반의 실험법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화학...

      환경 속 화학물질의 발암성은 주요 관심사이다. 최근에 들어 발암성을 예측하기 위한 설치류와 세포 기반의 실험법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화학물질의 발암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치류 발암성 시험법은 긴 기간과 고비용이 소요된다. 이 연구는 양적 중합효소연쇄반응과 대장암 줄기세포를 이용한 대체 발암성 평가법을 개발하는데 집중하였다. 유전체 독성법 중에 하나인 mRNA 프로파일링은 발암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용하다. 5가지 발암물질(azoxymethane, 3, 2'-dimethyl-4- aminobiphenyl, N-ethyl-n-nitrosourea, metronidazole, 4-(n-methyl -n- nitrosamino) (3-pyridyl)-1-butanone)을 처리한 대장암 줄기세포에 유전체, 단백체 대사단백체 등을 이용하여 15개의 후보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또한 xenograft를 통하여 in vivo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선별된 유전자를 활용하여 발암성 예측을 위한 qPCR 시험법을 마련하였다. 그 후, 대장암 줄기세포에 30 가지 양성 및 음성물질을 처리하여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그 중, 8가지 유전자가 양성 및 음성물질을 구별할 수 있었다(p-value <0.05). 대장암 줄기세포 및 양적 중합효소 연쇄반을 이용한 실험법은 비용 및 시간절약적인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 양적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반 발암성 예측법은 in vivo(체내에서 진행되는) 발암성 평가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