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긍정적 가부장의 형상과 내적 분화
- Ⅲ. 가부장상에 투영된 담당층의 인식 차이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56411
2014
Korean
151
KCI등재
학술저널
191-219(2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호, "한국의 전통가족과 가장권" 일지사 2 : 67-93, 1976
2 조혜정, "한국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 지성사 1988
3 박병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부장제의 형성" 한일법학회 43-54, 1988
4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5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84
6 장시광,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방한림전" 한국학술정보 2006
7 이순형,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유학적 재해석" 일지사 71 : 92-119, 1993
8 정병설, "조선 후기 정치현실과 장편소설에 나타난 소인의 형상 ‒완월회맹연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4 : 231-259, 2000
9 한길연, "조선 후기 대하소설의 다층적 세계" 소명출판 2009
10 설석규, "조선 중기 사림의 도학과 정치철학"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1 박병호, "한국의 전통가족과 가장권" 일지사 2 : 67-93, 1976
2 조혜정, "한국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 지성사 1988
3 박병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부장제의 형성" 한일법학회 43-54, 1988
4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5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84
6 장시광,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방한림전" 한국학술정보 2006
7 이순형,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유학적 재해석" 일지사 71 : 92-119, 1993
8 정병설, "조선 후기 정치현실과 장편소설에 나타난 소인의 형상 ‒완월회맹연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4 : 231-259, 2000
9 한길연, "조선 후기 대하소설의 다층적 세계" 소명출판 2009
10 설석규, "조선 중기 사림의 도학과 정치철학"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11 김은아, "전근대 중국의 가족공산제와 가부장의 권능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12 : 253-267, 2001
12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998
13 이지하,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9) : 137-168, 2004
14 송성욱, "명주기봉에 나타난 규방에 대한 관심" 한국고전문학회 7 : 378-404, 1992
15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16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171-200, 2005
17 최기숙,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301-338, 2010
18 이승복, "<옥환기봉> 연작의 여성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283-322, 2006
19 이지하, "<옥원재합기연>연작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장시광, "<성현공숙렬기>에 나타난 부부 갈등의 성격과 여성 독자" 동양고전학회 (27) : 7-38, 2007
21 한길연, "<백계양문선행록>의 작가와 그 주변-전주이씨 가문 여성의 대하소설 창작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7) : 329-361, 2005
22 엄태웅, "<방한림전>에 나타난 가부장의 부재와 재현의 양상" 우리어문학회 (39) : 89-117, 2011
23 김종철, "19세기 중반기 장편영웅소설의 한 양상 ‒옥수기, 옥루몽, 육미당기를 중심으로" 일지사 40 : 88-108, 1985
24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57 : 103-176, 198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