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알란토인과 카렌듈라 추출물 함유 화장품이 분장으로 인한 피부 자극 완화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osmetics containing allantoin and calendula extracts on the relief of skin irritation caused by the stage make-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27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how effective cosmetics containing 3% allantoin and 10% calendula extracts could be in relieving facial skin irritation. To achieve this, a randomized double study was conducted on 24 21-year-old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rough January 16 to February 29, 2016. They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llantoin- and calendula extracts-free) of 8 women, an allantoin group (containing 3% allantoin) of 8 women, and a calendula group (containing 10% calendula extracts) of 8 women. The control group, allantoin group and calendula group spent 3 hours at a time and 3 hours every day for 2 weeks to apply each group's toner and cream, and continued for 3 hours after applying the distributed make-up base and grease paint foundation to adhere to their face. They washed their face with cleansing cream provided after 3-hour make-up, and then their facial skin was measured after 20 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se of grease paint foundation for 3 hours at a time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has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brightnes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p<.05), but the proportion of porphyrin increased (p<.05). The skin tone became dark as the erythema and skin tone tended to increase the R and B value, but decrease the G value. The allantoin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All R, G and B value tended to increase. There was an increase in brightness (p<.05).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G value, and the skin tone became bright. The calendula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porphyrin and total sebum (p<.05). The moisture content and normal sebum tended to increase,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brightness (p<.05). There was no change in the R value of erythema and skin tone. But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n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the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rightness. The use of grease paint foundation for 3 hours every day in 2 week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has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moisture content, normal sebum, porphyrin and total sebum, and there is a decrease in brightness (p<.05). The epidermal pigment and dermal pigment tended to increase, and there was a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erythema tended to increase due to the chang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dark as there was a decrease in brightness. The allantoin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ightness (p<.05). The calendula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normal sebum, and there was a decrease in pigment index, porphyrin and total sebum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rightness (p<.05). Consequently, the change in R, G and B value and brightness of the allantoin group and the calendula group is considered help improve the erythema and skin tone due to the irritation of stage make-up. The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erythema and skin tone can be seen by pictures. As for the findings stated above, cosmetics containing 3% allantoin and 10% calendula extracts help you relieve the skin irritation of stage make-up. Consequently, they can't improve pigment, erythema and skin tone, but reduce porphyrin effectively. Especially, as the oxidized sebum, porphyrin is one of factors that cause trouble by stage make-up, the use of cosmetics suitable for the skin type to reduce porphyrin effectively can minimize facial skin irritation of many people who make-up.
      번역하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how effective cosmetics containing 3% allantoin and 10% calendula extracts could be in relieving facial skin irritation. To achieve this, a randomized double study was conducted on 24 21-year-old women living in Seo...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how effective cosmetics containing 3% allantoin and 10% calendula extracts could be in relieving facial skin irritation. To achieve this, a randomized double study was conducted on 24 21-year-old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rough January 16 to February 29, 2016. They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llantoin- and calendula extracts-free) of 8 women, an allantoin group (containing 3% allantoin) of 8 women, and a calendula group (containing 10% calendula extracts) of 8 women. The control group, allantoin group and calendula group spent 3 hours at a time and 3 hours every day for 2 weeks to apply each group's toner and cream, and continued for 3 hours after applying the distributed make-up base and grease paint foundation to adhere to their face. They washed their face with cleansing cream provided after 3-hour make-up, and then their facial skin was measured after 20 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se of grease paint foundation for 3 hours at a time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has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brightnes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p<.05), but the proportion of porphyrin increased (p<.05). The skin tone became dark as the erythema and skin tone tended to increase the R and B value, but decrease the G value. The allantoin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All R, G and B value tended to increase. There was an increase in brightness (p<.05).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G value, and the skin tone became bright. The calendula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porphyrin and total sebum (p<.05). The moisture content and normal sebum tended to increase,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brightness (p<.05). There was no change in the R value of erythema and skin tone. But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n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the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rightness. The use of grease paint foundation for 3 hours every day in 2 week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has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moisture content, normal sebum, porphyrin and total sebum, and there is a decrease in brightness (p<.05). The epidermal pigment and dermal pigment tended to increase, and there was a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erythema tended to increase due to the chang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dark as there was a decrease in brightness. The allantoin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there was a decrease in epidermal pigment, dermal pigment, normal sebum, porphyrin, total sebum and the proportion of porphyrin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ightness (p<.05). The calendula group ha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pore and normal sebum, and there was a decrease in pigment index, porphyrin and total sebum (p<.05). The moisture content tended to increase. The erythema tended to decrease due to a tendency towards an increase in R, G and B value. The skin tone became bright a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rightness (p<.05). Consequently, the change in R, G and B value and brightness of the allantoin group and the calendula group is considered help improve the erythema and skin tone due to the irritation of stage make-up. The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erythema and skin tone can be seen by pictures. As for the findings stated above, cosmetics containing 3% allantoin and 10% calendula extracts help you relieve the skin irritation of stage make-up. Consequently, they can't improve pigment, erythema and skin tone, but reduce porphyrin effectively. Especially, as the oxidized sebum, porphyrin is one of factors that cause trouble by stage make-up, the use of cosmetics suitable for the skin type to reduce porphyrin effectively can minimize facial skin irritation of many people who make-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알란토인 3% 함유 기초화장품과 카렌듈라 함유 10% 기초화장품이 분장으로 인한 안면 피부 자극 완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평균 나이 21세 여성 24명을 randomized double study 배정하여 대조군(알란토인과 카렌듈라 추출물 무함유) 8명, 알란토인군(알란토인 3% 함유) 8명, 카렌듈라군(카렌듈라 추출물 10% 함유) 8명으로 나누었다. 연구 기간은 2016년 1월 16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회 3시간과 2주간 매일 3시간씩, 그룹별로 대조군, 알란토인군, 카렌듈라군은 각 군의 스킨과 크림을 바르고, 배포한 메이크업 베이스와 분장용 파운데이션을 얼굴에 도포하여 밀착시킨 후 3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분장 3시간 후 제공된 클렌징으로 세안하고 20분 후 안면 피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회 3시간 기초 화장품과 분장 파운데이션을 사용한 결과 대조군은 모공,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명도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수분함유량은 감소하였고(p<.05), 포르피린 비는 증가하였다(p<.05). 홍반과 피부 톤은 R값과 B값 증가경향을, G값 감소경향을 보이며 홍반은 증가경향을, 피부 톤은 어두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알란토인군의 모공은 감소경향을,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포르피린 비는 감소하였고(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보였고, R, G, B값 모두 증가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홍반은 G값의 상승으로 감소경향을, 피부 톤은 밝아졌다. 카렌듈라군은 모공은 감소경향을,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와 포르피린, 전체피지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수분함유량과 일반 피지는 증가경향을, 명도는 높아졌다(p<.05). 카렌듈라군의 홍반과 피부 톤은 R값 변화가 없었으며, G값과 B값은 증가경향을 보여 홍반은 감소경향을, 명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며 피부 톤은 밝아졌다. 2주간 매일 기초 화장품을 바른 후 3시간씩 분장 파운데이션을 사용한 결과 대조군은 모공, 수분함유량,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는 감소경향을, 명도는 감소하였고(p<.05),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는 증가경향을, 포르피린 비는 증가하였다(p<.05). 대조군의 R, G, B값의 수치변화로 홍반도 증가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낮아지며 피부 톤이 어두워졌다. 알란토인군의 모공은 감소경향을 보였고,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포르피린 비는 감소하였다(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R, G, B값의 증가경향으로 홍반이 감소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p<.05), 피부 톤이 밝아졌다. 카렌듈라군은 모공, 일반 피지는 감소경향을 보였고, 색소지수와 포르피린, 전체 피지는 감소하였다(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R, G, B값의 증가경향으로 홍반이 감소경향 보였고, 명도는 유의미하게 높아지며(p<.05), 피부 톤이 밝아졌다. 이에 알란토인군과 카렌듈라군은 R, G, B값과 명도의 수치변화로 분장의 자극으로 인한 홍반과 피부 톤 개선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되며, 홍반과 피부 톤 개선의 차이는 사진으로도 확인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분장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알란토인 3% 함유 기초화장품과 카렌듈라 함유 10% 기초화장품이 완화시켜주어 색소와 홍반, 피부 톤을 개선해주고, 포르피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화된 피지인 포르피린은 분장으로 인한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므로 포르피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는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면 분장을 하는 많은 이들의 안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알란토인 3% 함유 기초화장품과 카렌듈라 함유 10% 기초화장품이 분장으로 인한 안면 피부 자극 완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

      본 연구는 알란토인 3% 함유 기초화장품과 카렌듈라 함유 10% 기초화장품이 분장으로 인한 안면 피부 자극 완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평균 나이 21세 여성 24명을 randomized double study 배정하여 대조군(알란토인과 카렌듈라 추출물 무함유) 8명, 알란토인군(알란토인 3% 함유) 8명, 카렌듈라군(카렌듈라 추출물 10% 함유) 8명으로 나누었다. 연구 기간은 2016년 1월 16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회 3시간과 2주간 매일 3시간씩, 그룹별로 대조군, 알란토인군, 카렌듈라군은 각 군의 스킨과 크림을 바르고, 배포한 메이크업 베이스와 분장용 파운데이션을 얼굴에 도포하여 밀착시킨 후 3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분장 3시간 후 제공된 클렌징으로 세안하고 20분 후 안면 피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회 3시간 기초 화장품과 분장 파운데이션을 사용한 결과 대조군은 모공,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명도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수분함유량은 감소하였고(p<.05), 포르피린 비는 증가하였다(p<.05). 홍반과 피부 톤은 R값과 B값 증가경향을, G값 감소경향을 보이며 홍반은 증가경향을, 피부 톤은 어두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알란토인군의 모공은 감소경향을,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포르피린 비는 감소하였고(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보였고, R, G, B값 모두 증가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홍반은 G값의 상승으로 감소경향을, 피부 톤은 밝아졌다. 카렌듈라군은 모공은 감소경향을,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와 포르피린, 전체피지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수분함유량과 일반 피지는 증가경향을, 명도는 높아졌다(p<.05). 카렌듈라군의 홍반과 피부 톤은 R값 변화가 없었으며, G값과 B값은 증가경향을 보여 홍반은 감소경향을, 명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며 피부 톤은 밝아졌다. 2주간 매일 기초 화장품을 바른 후 3시간씩 분장 파운데이션을 사용한 결과 대조군은 모공, 수분함유량,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는 감소경향을, 명도는 감소하였고(p<.05),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는 증가경향을, 포르피린 비는 증가하였다(p<.05). 대조군의 R, G, B값의 수치변화로 홍반도 증가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낮아지며 피부 톤이 어두워졌다. 알란토인군의 모공은 감소경향을 보였고, 표피성 색소, 진피성 색소, 일반 피지, 포르피린, 전체 피지, 포르피린 비는 감소하였다(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R, G, B값의 증가경향으로 홍반이 감소경향을 보였고, 명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p<.05), 피부 톤이 밝아졌다. 카렌듈라군은 모공, 일반 피지는 감소경향을 보였고, 색소지수와 포르피린, 전체 피지는 감소하였다(p<.05), 수분함유량은 증가경향을, R, G, B값의 증가경향으로 홍반이 감소경향 보였고, 명도는 유의미하게 높아지며(p<.05), 피부 톤이 밝아졌다. 이에 알란토인군과 카렌듈라군은 R, G, B값과 명도의 수치변화로 분장의 자극으로 인한 홍반과 피부 톤 개선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되며, 홍반과 피부 톤 개선의 차이는 사진으로도 확인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분장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알란토인 3% 함유 기초화장품과 카렌듈라 함유 10% 기초화장품이 완화시켜주어 색소와 홍반, 피부 톤을 개선해주고, 포르피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화된 피지인 포르피린은 분장으로 인한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므로 포르피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는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면 분장을 하는 많은 이들의 안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무대분장 4
      • 2. 무대분장용 파운데이션 6
      • I.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무대분장 4
      • 2. 무대분장용 파운데이션 6
      • 3. 국가별 화장품 원료 및 색소에 관한 규정 8
      • 3.1. 한국 8
      • 3.2. 미국 9
      • 3.3. 중국 10
      • 3.4. 유럽 10
      • 3.5. 일본 11
      • 4. 알란토인(Allantoin) 12
      • 5. 카렌듈라(Calendula officinalis flower extract) 14
      • 6. 해양심층수(Deep sea water) 16
      • Ⅲ. 재료 및 방법 17
      • 1. 실험 재료 17
      • 1.1. 알란토인 17
      • 1.2. 카렌듈라 17
      • 1.3. 분장용 스틱 파운데이션 17
      • 2. 실험방법 19
      • 2.1. 연구 대상 선정 및 연구 기간 19
      • 2.2. 연구 방법 19
      • 2.3. 기초화장품 제조 21
      • 2.3.1. 스킨(skin) 제조 방법 및 처방 21
      • 2.3.1.1. 대조군 스킨(control skin) 처방 22
      • 2.3.1.2. 알란토인군 스킨(allantoin skin) 처방 23
      • 2.3.1.3. 카렌듈라군 스킨(calendula skin) 처방 24
      • 2.3.2. 크림(cream) 제조 방법 및 처방 24
      • 2.3.2.1. 대조군 크림(control cream) 처방 25
      • 2.3.2.2. 알란토인군 크림(allantoin cream) 처방 26
      • 2.3.2.3. 카렌듈라군 크림(calendula cream) 처방 27
      • 2.4. 안면 피부 측정 방법 28
      • 3. 자료 분석 29
      • IV. 결과 및 고찰 30
      • 1. 실험 전 안면 피부 동질성 검정 30
      • 2. 1회 3시간 도포 시 안면 피부 변화 31
      • 2.1. 모공의 변화 31
      • 2.2. 색소의 변화 33
      • 2.3. 수분함유량의 변화 37
      • 2.4. 유분의 변화 39
      • 2.4.1. 일반 피지(normal sebum) 39
      • 2.4.2. 산화된 피지(porphyrin) 40
      • 2.4.3. 전체 피지(total sebum) 41
      • 2.4.4. 포르피린 비(porphyrin ratio) 41
      • 2.5. 홍반과 피부 톤 변화 46
      • 3. 2주 도포 시 안면 피부 변화 52
      • 3.1. 모공의 변화 52
      • 3.2. 색소의 변화 54
      • 3.3. 수분함유량의 변화 58
      • 3.4. 유분의 변화 60
      • 3.4.1. 일반 피지(normal sebum) 60
      • 3.4.2. 산화된 피지(porphyrin) 60
      • 3.4.3. 전체 피지(total sebum) 61
      • 3.4.4. 포르피린 비(porphyrin ratio) 61
      • 3.5. 홍반과 피부 톤 변화 66
      • 4. 설문을 통한 주관적 평가 71
      • 4.1. 일반적 특성 71
      • 4.2. 신뢰도 검증 71
      • 4.3. 안면 피부타입 72
      • 4.4. 안면 피부 민감도 72
      • 4.5. 실험 후 만족도 73
      • 5. 안면 피부의 육안평가 75
      • V. 결 론 90
      • 참고문헌 94
      • 국문초록 10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피부자외선, 전병언, 장경훈, 홍승필, 안성구, 김현정, 박장서, 천승현, 정세규, 박하나, 정우의학서적, 서울 : 정우의학서적, p.60, , 2013

      2. 『신화장품』, 김상진, 김한식, 김주덕, 파주 : 도서출판 동화기술, , 2007

      3. 『화장품학』, 하병조, 파주 : 수문사, pp55-116, , 2010

      4. 『화장품학』, 강인오, 배상설, 전영식, 김영주, 조미영, 조종환, 서울 : 훈민 사, pp115-121, , 2005

      5. 『화장품학』, 박선주, 박상기, 권미윤, 대경, 대전 : 도서출판 대경, pp3-51, , 2008

      6. 『화장품학』, 권태순, 김양수, 훈민사, 서울 : 훈민사, , 2012

      7. 최신화장품학, 신정은, 김주덕, 파주 : 광문각, , 2011

      8. 『화장품화학』, 하병조, 수문사, 파주 : 수문사, pp30-31, , 2002

      9.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서울 : 도서출판 여초, 초판 , 개정판 2014, , 2008

      10. 『색채 디자인』, 김희선, 광문각, 파주 : 광문각, , 2009

      1. 피부자외선, 전병언, 장경훈, 홍승필, 안성구, 김현정, 박장서, 천승현, 정세규, 박하나, 정우의학서적, 서울 : 정우의학서적, p.60, , 2013

      2. 『신화장품』, 김상진, 김한식, 김주덕, 파주 : 도서출판 동화기술, , 2007

      3. 『화장품학』, 하병조, 파주 : 수문사, pp55-116, , 2010

      4. 『화장품학』, 강인오, 배상설, 전영식, 김영주, 조미영, 조종환, 서울 : 훈민 사, pp115-121, , 2005

      5. 『화장품학』, 박선주, 박상기, 권미윤, 대경, 대전 : 도서출판 대경, pp3-51, , 2008

      6. 『화장품학』, 권태순, 김양수, 훈민사, 서울 : 훈민사, , 2012

      7. 최신화장품학, 신정은, 김주덕, 파주 : 광문각, , 2011

      8. 『화장품화학』, 하병조, 수문사, 파주 : 수문사, pp30-31, , 2002

      9.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서울 : 도서출판 여초, 초판 , 개정판 2014, , 2008

      10. 『색채 디자인』, 김희선, 광문각, 파주 : 광문각, , 2009

      11. 『색채학 사전』, 최재영, 박현일, 서울 : 국제, , 2006

      12. 화장품 생물 신소재, 이진태, 안봉전, 이창언, 파주 : 광문각, , 2009

      13. 『에센스 화장품학』, 김경영, 배유경, 이은주, 김은애, 안선례, 김수미, 파주 : 메디시안, , 2013

      14. 『화장품 성분과학』, 이근광, 현문사, 서울 : 현문사, p.256, , 2004

      15. 『동아대백과사전 30권』, 권태오, 서울 : 동아출판사, p.405, , 1983

      16. 『황현규의 분장이야기』, 황현규, 서울 : 넥서스, pp1-20, , 2000

      17. 『화장품과 접촉성 피부염』, 김용환, 부천 : 여성의학 순천향병원, , 1999

      18. “기초 화장품 이론 및 실습”, 이정노, 이담Books, 일산 : 이담Books, pp21-118, , 2012

      19. 『피부미용인을 위한 화장품학』, 최상섭, 정담미디어·학지사, 서울 : 정담미디어, , 2011

      20. 『분장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이상훈,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2005

      21. 『화장품용 색소관리 방안 연구』, 안정림,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화장품협회, , 2007

      22. 『메이크업 후 피부개선 방안 연구』, 도은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9

      23. 『무대분장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임유경,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10

      24. 「무대분장에 대한 공연자 인식조사」, 김찬수, 류세자, 『한국인체예술학 회』, 4(2), 105-114, :, , 2003

      25. 『무대분장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강명주,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3

      26. 「UPLC에 의한 화장품 중 타르색소분석」, 김유경, 이명숙, 채영주, 박원희, 조인순, 정희정, 『보건환경연구원보』, 제44권 176-187 1229-3660, :, , 2008

      27. 「영상매체를 위한 노인분장기법 연구」, 김영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예술학회』, 4(2), 263-274, :, , 2003

      28. 「파동수를 이용한 피부미용 효과연구」, 곽선순, 김은희, 이도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대한피 부미용학회지』, 8(1), 75-86, :, , 2010

      29. 『연극분장의 효과적 실행에 관한 연구』, 김영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1994

      30. 『Allantoin의 인지능력 강화와 신경생성 효과』, 안영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31. 『무대분장의 캐릭터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황윤정, 대구카톨릭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32. 『스톤테라피가 민감성 피부에 미치는 영향』, 윤지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33. 『분장용 화장품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이현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34. 『오페라 공연에 나타난 분장의 실증적 연구』, 정은화,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35. 『한국 현대 뮤지컬 공연의 분장에 관한 연구』, 김지은,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36. 「울금(CurcumalongaL)의 항산화활성에 대 한 연구」, 김정은, 최재수, 김애라, 정해영, 『한국생명과학회 학술대회』, 31(1) 74, : , Feb, 20, , 2001

      37. 『한국의 무대 공연에 나타난 분장에 관한 연구』, 박승배, 홍익대학교 산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9

      38.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안면피부 외관상태 비교연구, 최미건,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39. 홍삼 섭취량에 따른 30대 여성의 안면피부상태 비교, 강상모, 백혜연, 한국피부과학연구원, 『한국미용학회지』, 10(4), 893-900, :, , 2012

      40. 국내시판 중인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최채만,황영숙,박애숙,정삼주,김현정,김정헌, 황영숙, 정삼주, 김현정, 김정헌, 최채만, 박애숙,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40(3), :, , 2014

      41. 『베이스 메이크업의 도포도구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 김성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42. 『항염증성 천연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영숙,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2

      43. 「노화에 따른 피부조직의 변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조광현, 『대한피 부과학연구학회지』, 5(1), 21-25, :, , 1998

      44. 「여대생의 지각된 안면피부유형과 피부상태지표 분석」, 전해정, 한국미용학회, 『한국미 용학회지』, 21(5), 919-928, :, , 2015

      45. 『천연 염료를 이용한 페이스 페인팅 제품 제조 및 검증』, 김현지, 원광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46. 『바디페인팅제품유형에 따른 발색 착색 및 안전성 평가』, 이경희, 원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47. 『白鼠의 創傷治療에 미치는 琥珀과 카렌듈라 오일의 影響』, 정선형, 삼육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48. Hydrometer와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표면 수분상태의 비교 측정, 이승헌, 정준, 권오규, 강진수, 안성구, 대한피부과학회, 『대한피부과학회지』, 32(4), 599-608, :, , 1994

      49. 『귀리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조정남, 건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50. 『의약품, 의약외품 및 화장품용 타르색소 안정관리 연구Ⅱ』, 이원재, 조선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51. 『약용식물로부터 피부 약리성 물질 효능검증과 화장품응용』, 최인선, 대구 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52. 「수종의 피부 질환에서 피부 각질층의 보습기능에 관한연구」, 강호정, 『대한피부과학지』, 31(6), 890-895, :, , 1993

      53. 『미용 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분장 재료의 첩보검사』, 여혜연, 원 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54.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용 화장료의 안전성 및 인체 효능평가』, 이보미, 건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55. 『20대 초반 여성의 안면 부위별 피부 표면 유수분에 관한 연구』, 장경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56. 『분장용 화장품의 자극 감소에 천연 기초 화장품이 미치는 영향』, 박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57. 「캐릭터 메이크업으로서의 수염분장의 역할과 유형별 기법 및 특 징」, 오인영, 『한국인체예술학회』, 5(1), 137-157, :, , 2004

      58. 『양파추출물 및 알란토인 복합제제의 피부염 및 창상흉터 치료효 과』, 조경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9. 「유용발효액 함유 화장품이 분장용 화장품의 자극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 강상모, 『한국미용학회지』, 22(1), 100-113, :, , 2016

      60. 『레이저, 고주파 및 침전극저주파 적용이 피부기능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희경,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61.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홍조 민감성 피부 개선에 미치 는 연구』, 장혜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62. 연극분장이 심리상태 및 공연수행에 미치는 영향(연극영 화과 학생을 중심으로), 이명선, 정경은,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21(5), 875-882, , 2015

      63. 『금잔화(Calendula arvensis)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색소의 모 발 천연염색 특성』, 권호선,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64. 「자운고유 함유 화장품 제형이 분장용 화장품의 안면 피부 자극개선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 강상모,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22(1), 145-159, :, , 2016

      65. 『가금사료 첨가제로서의 복분자, 박하 및 매리골드 추출물의 이용 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란, 한국가금학회,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66. 천연화장품을 사용한 림프관리 마사지가 안면 피부 보습, 피지, 모공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박진오, 최미라, 석장미, 현무열, 이병철, 김범준, 권정희, 최선영, 정상욱, 최경임,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9(6), , 2013

      67. 『콜라겐과 난백 및 식초의 복합식이가 40-60대 여성의 손등 피부 와 손톱에 미치는 효과』, 신은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68. 『Manual lymph drainage가 모세혈관 확장성 민감 피부의 홍반과 색소 및 민감성 완화에 미치는 영향』, 진은효,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 2010

      69. 『분장이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 마르셀 뒤샹, 모리무라 야스마사, 신디셔먼의 작품을 중심으로』, 유우정,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70. 화장품에 의한 접촉성피부염이 의심 되는 환자에게 방부제 성분에 대한 첩포검사 결과에 대한 고찰, 홍종수, 은희철, 정재윤, 나르만다흐, 『대 한피부과학회지』, 48(2), , 2010

      71. 『Hairless 마우스와 인체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메리골드(Tagetes erecta L.) 메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강철호,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 2013

      72. 『자극성 피부염의 홍반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새 로운 피부색 분포분석법을 이용한 연구』, 홍석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2

      73. 『안면 피부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피부 관리습관, 식습관, 영양소 섭취량, 혈액성상 및 신체계측 요인의 분석』, 류화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 사 학위논문, ,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